• 제목/요약/키워드: 이중편파

검색결과 216건 처리시간 0.029초

범부처 이중편파레이더의 강우 추정 향상을 위한 경험적 방법의 적용 (Application of an empirical method to improve radar rainfall estimation using cross governmental dual-pol. radars)

  • 윤정수;석미경;남경엽;박종숙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9권7호
    • /
    • pp.625-634
    • /
    • 2016
  • 기상청, 국토교통부 및 국방부는 각 기관의 특성에 맞게 기상, 수문 및 항공 관측용 레이더를 운영하고 있다. 2015년까지 국내에는 총 8대의 이중편파레이더(백령도, 용인테스트베드, 진도, 면봉산, 비슬산, 소백산, 모후산, 서대산 레이더)가 도입되어 운영되고 있다. 레이더를 운영 중인 세개 부처는 관측목적이 달라 레이더에 대한 운영방식, 자료 처리 방식 및 활용 방안 등에서 서로 많은 차이를 보여 왔으며 이러한 차이는 각 부처에서 운영하는 레이더 자료의 정확도가 달라지게 하는 원인이 되고 있다. 이에, 세 부처는 2010년 "기상-강우 레이더 자료 공동 활용에 관한 합의서"를 체결하고, 서로 다른 부처에서 생산된 모든 레이더 자료를 공동 활용하는 체계를 마련하였다. 범부처 이중편파레이더 자료의 합성을 위해서는 부처별 레이더 간의 정확도가 서로 유사해야한다. 서로간의 정확도가 다른 상태에서 레이더 강우 자료를 합성하게 된다면 공간적으로 품질이 다른 합성 강우장이 생산될 수밖에 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범부처 이중편파레이더 강우량의 정확도 향상과 통합을 위해 2015년도에 용인테스트베드 레이더에서 시행되었던 경험적 방법을 이용하였다. 그 결과 2015년 5월부터 10월까지의 백령도, 비슬산 및 소백산 레이더 자료에 대한 강우량 정확도(1-NE)가 70% 수준으로 향상되었다. 또한 레이더 편파변수 조절 전에는 정확도가 30~60%까지 넓은 범위를 보이고 있으나 조절 후 65~70%로 그 범위가 줄어들었다.

무선 LAN용 원형편파 패치안테나에 이중 적층 상부덮개를 적용한 이득 향상 (Gain Enhancement of a Circularly-Polarized Patch Antenna with a Double-Layered Superstrate for Wireless LAN)

  • 이상록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40권12호
    • /
    • pp.2427-2433
    • /
    • 2015
  • 무선 LAN 대역에서 동작하는 이중 적층 상부덮개를 적용한 고이득 원형편파 패치 안테나를 제안한다. 상부덮개는 단위 셀을 주기적으로 배열하는 구조를 갖고, 패치안테나 위에 일정한 높이의 공기층을 두고 배치된다. 제안된 안테나는 최대 9.59dBi의 안테나 이득을 얻을 수 있는데 이는 패치안테나만 있는 경우에 비해 6.48dB 향상된 결과이다. 또한, 제안된 안테나는 높은 안테나 이득을 유지하면서 3dB 이하의 낮은 축비를 갖는데 이는 패치안테나의 원형 편파 특성이 잘 유지됨을 의미한다. $4{\times}4$ 배열구조를 갖는 상부덮개와 패치안테나 간의 공기층 높이는 25mm에서 최적이고, 이는 2.45GHz 주파수에서 대략 $0.2{\lambda}$에 해당된다. 결과적으로 상부덮개를 이중으로 적층함으로써 유효 개구면 크기가 증가되고, 이에 따라 패치안테나의 이득이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H-커플링 슬롯 광대역 이중편파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 (Wideband Dual-polarized Microstrip Antenna with H-shaped Coupling Slot)

  • 김장욱;전주성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71-79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H-형 커플링 슬롯을 가진 광대역 이중 편파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를 제안하였다. 제안된 안테나는 통신사업자들이 경쟁적으로 공공장소에 구축하고 있는 hot-spot zone과 같은 제한된 장소에서 많은 통신 단말기가 동시에 사용되면 상호 간섭이나 다중경로 페이딩에 의한 전송품질의 열화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설계된 안테나는 2.7GHz 이하의 주파수 대역에서 33.98%의 임피던스 대역폭($SWR{\leq}2$)과 8.58 dBi (at 2.11 GHz)의 최대 이득을 갖는 것을 측정결과를 통하여 확인하였다. 제안된 안테나는 단순한 구조로 다중 주파수 대역을 수용할 수 있으며 다양한 상업적인 적용이 가능하도록 대량생산의 장점을 갖는다.

방사개구면에 역 L형 기생소자를 세운 GPS용 이중대역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 설계 (A Design of Dual-band Microstrip Antenna Loading Inverted-L-shaped Parasitic Elements Vertically at Radiation Apertures for GPS Applications)

  • 최윤선;우종명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38-43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마이크로스트립 패치 안테나의 방사개구면에 역 L형 기생소자를 수직으로 세운 이중대역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를 설계 및 제작하였다. 제안된 안테나는 GPS $L_1(1.575 GHz)$$L_2(1.227 GHz)$ 대역을 수용하도록 설계하였다. 먼저, GPS $L_1$ 대역은 반파장 마이크로스트립 패치 안테나를 이용하여 수용하였고, 섭동법을 이용하기 위해 방사개구면에 수직으로 세워 역 L형 기생소자를 패치안테나와 커플링시켜 공진시킴으로써 GPS $L_2$ 대역을 수용하였다. 다음으로 두 대역에서 모두 원형편파를 발생시키기 위해서 급전점 반대편 방사개구면에 각각의 편파에 해당하는 방사개구면에 역 L형 기생소자를 각각 세웠고, 패치 안테나의 급전점을 대각선으로 옮겨 이중대역 원형편파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를 설계하였다. 이렇게 설계된 원형편파 안테나의 크기는 $88.5{\times}79{\times}10.4mm^3$ ($0.36{\lambda}_L{\times}0.32{\lambda}_L{\times}0.04{\lambda}_L$, ${\lambda}_L$은 1.227 GHz의 공기 중 파장)의 크기를 가지며, 단층으로 저자세를 유지한다. -10 dB 대역폭은 GPS $L_1$대역에서 116.3 MHz(7.4%), GPS $L_2$대역 64.3 MHz(5.2%)로 측정되어 GPS $L_1$$L_2$ 대역의 요구대역폭(각각 24 MHz)을 만족하였다. 3 dB 축비 대역폭은 11.7 MHz(0.74%)와 14 MHz(1.14%)로 각각 측정되었으며, 방사패턴은 두 대역에서 모두 브로드 사이드 방사패턴을 형성하였다.

듀얼칼만필터를 이용한 이중편파 레이더 강우의 실시간 편의보정 (Real-time bias correction of Beaslesan dual-pol radar rain rate using the dual Kalman filter)

  • 나우영;유철상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3권3호
    • /
    • pp.201-214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듀얼칼만필터를 이용하여 이중편파 레이더 강우의 편의를 실시간으로 보정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듀얼칼만필터는 기존의 칼만필터와 달리 두 개의 시스템(상태추정시스템, 모형추정시스템)이 동시에 가동되면서 실시간으로 상태변수가 예측된다. 강우강도 추정치에 보정계수를 적용함으로써 편의보정이 이루어지며, 보정계수는 듀얼칼만필터의 상태-공간모형에 의해 실시간으로 예측된다. 해당 기법을 2016년 7월에 발생한 지속시간이 긴 호우사상에 대해 적용하고 편의보정 결과를 평가하였다. 먼저, 보정계수는 대부분 1과 2 사이의 값으로 산정되어 지상관측 강우강도보다 레이더 강우강도가 약간 과소추정되는 경향을 보였다. 보정계수에 대한 시계열을 설명할 수 있는 모형으로는 AR(1) 모형이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아울러 듀얼칼만필터로 예측한 보정계수는 관측된 자료를 이용하여 산정한 보정계수와 유사한 경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칼만필터와의 비교 결과, 보정계수의 변동성이 커질수록 듀얼칼만필터가 칼만필터에 비해 우수한 예측 성능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강우의 변동성이 크고, 지속시간이 긴 호우사상에 대한 듀얼칼만필터의 적합성이 검증되었다.

차량 정밀 측위용 이중대역 GPS 안테나 설계 (Design of a Vehicle-Mounted GPS Antenna for Accurate Positioning)

  • 느팜;정재영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145-150
    • /
    • 2016
  • 자율주행 차량 구현에 있어 차량의 위치에 대한 정확한 정보가 실시간으로 제공되어야 한다. 이동기준국 차분 측위 기술은 차량에 복수의 안테나에서 수신한 신호의 위상차를 통해 정밀 측위 정보를 생성하는 기술로, 이를 위해 차량의 평평하고 넓은 루프를 접지면으로 하는 이중대역 및 이중 원형편파 안테나 개발이 필수적이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안테나는 GPS L1과 L2 주파수 대역에서 공진을 일으키는 이중대역 안테나로써, 기존 안테나와 달리 급전부가 안테나 측면에 위치하여 복수의 안테나를 필요로 하는 시스템에 적합하다. 안테나 설계안은 중요 파라미터들의 이론값을 토대로 모델링한 초기 모델을 3D 전파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를 이용해 최적화하는 방법으로 도출하였다. 최적화된 안테나의 시뮬레이션값과 측정값을 분석한 결과, L1과 L2에서 대역폭 6.1%와 3.7%, 축비 1% 이상임을 확인하였다. 안테나 크기는 $73mm{\times}73mm{\times}6.4mm$로 소형 구조의 장점을 갖췄다.

분포형 비차등위상차를 이용한 S-밴드 이중편파레이더의 정량적 강우 추정 (Quantitative Rainfall Estimation for S-band Dual Polarization Radar using Distributed Specific Differential Phase)

  • 이건행;임상훈;장봉주;이동률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8권1호
    • /
    • pp.57-67
    • /
    • 2015
  • 이중편파레이더는 강우입자의 모양, 크기, 위상, 방향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줌으로써 단일편파레이더보다 정확한 정량적 강우 추정에 장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이중편파레이더 강우 추정 알고리즘인 JPOLE 알고리즘과 CSU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강우량을 산정 비교하였다. 이 두 알고리즘은 강우의 크기에 따라 반사도, 차등반사도, 비차등위상차를 각각 이용하거나 조합하여 강우량을 계산한다. 비차등위상차는 강우입자의 모양과 분포밀도에 대한 정보를 주는 차등위상차에 필터링이나 회귀분석기법을 이용하여 계산되는데, 대류성 강우 지역에서는 비차등위상차의 첨두값이 과소 추정되거나 음의 값을 보일 수 있으며, 약한 강우지역에서는 진동하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Lim et al. (2013)에서 제안된 새로운 분포형 비차등위상차 산정방법의 이용을 제안하였다. 2012년도의 두 강우사상에 대한 국토교통부의 비슬산 레이더 자료를 이용하여 분포형 비차등위상차를 산정한 후 강우 추정 알고리즘에 적용하였다. 산정된 분포형 비차등위상차는 첨두값이 개선되었으며, 크게 진동하거나 음의 값이 산정되지 않았다. 이를 이용하여 추정된 강우량에 있어서는 일강우량 80mm 이상의 강한 강우에 대해 일강우량의 누적값이 AWS 관측값에 가깝게 개선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80mm 이하의 약한 강우에서는 개선 정도가 미약하였다. 이는 강우 추정 알고리즘에서 강우강도가 높은 경우에 비차등위상차가 사용되고, 낮은 경우에는 반사도와 차등반사도가 사용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를 통해 향후 이중편파레이더를 이용한 강우량 추정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코채널 이중편파 기술을 적용한 B-WLL 의 주파수 배치 및 채널간섭 제거기에 대한 연구 (Frequency Planning and Interference Rejection with Co-Channel Dual-Polarization Technique in B-WLL Applications)

  • 이재원;서경환;정한욱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1999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821-824
    • /
    • 1999
  • In this article, as a way of pursuing high spectral efficiency and flexible cell planning, co-channel dual-polarization techniques are suggested for B-WLL applications. It provides a double down stream capacity compared with conventional scheme and also makes some flexibility in cell planning. In order to implement co-channel B-WLL system, some frequency plans, interference cancellation methods, and system block diagrams are presented here.

  • PDF

4.7 GHz 대역에서 동작하는 이중 선형편파 적층 안테나의 설계 및 제작 (Design and Fabrication of Dual Linear Polarization Stack Antenna for 4.7GHz Frequency Band)

  • 윤중한;유찬세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251-258
    • /
    • 2023
  • 본 논문에서는 특화망에 적용 가능한 DLP(Dual Linear Polarization) 적층 안테나를 제안하였다. 제안된 안테나는 일반적인 적층구조를 갖고 최대이득을 얻을 수 있도록 공기 갭을 갖도록 설계하였다. 격리도를 개선하기 위해서 두 개의 급전포트를 각 층으로 분리하여 설계하였다. 각각 패치의 크기는 하위층, 17.80 mm×16.70 mm(W1×L1) 그리고 상위층 18.56 mm×18.73 mm(W2×L2)이며 적층 안테나의 전체 크기는 40.0 mm(W)×40.0 mm(L)이며, 모두 두께(h) 1.6 mm, 그리고 비유전율이 4.4인 FR-4 기판을 사용하였다. 제작 및 측정결과로부터, -10 dB 반사손실을 기준으로 입력포트 1에서 100.0 MHz (4.74~4.84 GHz), 입력포트 2에서 150.0 MHz (4.67~4.82 GHz)의 대역폭을 얻었으며 전달계수 S21은 -20 dB 이하의 값을 얻었다. 또한 각 급전포트에서의 편파분리도를 얻었다.

그래프 이론 기반의 편파 및 주파수 지정 알고리즘 (Joint Polarization and Frequency Assignment Algorithm Based on Graph Theory)

  • 구본홍;채찬병;박성호;박휘성;함재현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41권8호
    • /
    • pp.954-957
    • /
    • 2016
  • 군용 통신망의 작전상황 등에서 빠른 시간 내에 주파수 배정 문제의 해를 찾는 상황은 빈번하게 발생한다. 이때 사용되는 자원 개수를 최소화하는 것은 비용과 연관되어 중요한 문제이다. 이중 편파 안테나의 편파를 적절히 분배하면 주파수 자원 개수 성능을 최소화하는데 도움이 된다. 본 논문은 그래프의 매칭 이론을 기반으로 하여 편파와 주파수를 $O(N^2)$의 복잡도 이내에 배정하는 알고리즘을 제시한다. 제시하는 알고리즘의 해는 단일 편파 알고리즘 대비 2배에 가까운 성능개선을 보이며 이론적인 최적의 값에 근접함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