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이중편파

Search Result 216, Processing Time 0.03 seconds

Estimation of Design Flood by Nakdong-river basin Using Dual Polarization Radar Rainfall Areal Reduction Factor (이중편파 레이더 면적감소계수를 이용한 낙동강 유역내 면적별 설계홍수량 산정)

  • Hyun, Sukhoon;Lee, Dongjoo;Kang, Boo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429-429
    • /
    • 2015
  • 면적감소계수(ARF)는 면적강우에 대한 지점강우의 비로 정의되며, 과거 면적확률강우량 산정시 유역 내의 여러 지점강우량을 티센기법, Kriging 기법 등을 통해 공간보정을 실시하고 면적강우량을 산정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은 강우의 시공간분포 특성을 정확히 반영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기 때문에, 최근에는 많은 연구에서 레이더 강우를 활용한 ARF를 산정한다. 기존의 연구에서 이중편파레이더를 사용하여 낙동강 유역의 호우중심형 ARF를 산정한 바 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산정된 ARF 값을 적용한 설계홍수량은 분석해보고자 한다. 대상유역은 낙동강 유역내의 유역들을 대상으로 하고자 한다. 낙동강 유역에는 약 $175km^2{\sim}2000km^2$의 다양한 면적의 유역들이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면적별로 대표적인 유역을 선정하여 설계홍수량을 산정하기에 적합한 지역이라 판단된다. 설계홍수량을 산정하기 방법으로는 강우-유출 모형을 이용하고자 한다. 이용할 모형은 호주에서 개발된 IHACRES 모형으로써, 개념적인 모형으로 장기 및 단기 강우사상을 모두 모의할 수 있는 특징을 갖고 있다. 따라서 낙동강 내의 선정된 유역들을 실제 강우자료를 통해 각 유역의 매개변수를 산정하고, 확률강우량과 Huff분포를 이용한 지속시간 24시간의 설계강우량을 산정하고자 한다. 산정된 설계강우량에 앞서 소개한 이중편파레이더 ARF를 적용하여 설계홍수량을 산정하고, ARF를 적용하지 않고 산정한 설계홍수량, 두 값의 차이를 통해 ARF를 통해 감소된 설계강우량의 비와 ARF 적용 유무에 따른 설계홍수량 차이의 비를 비교하여 이중편파레이더 ARF가 면적별로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 PDF

Capacity Improvement of Dual-Polarized Antenna Systems in Non-Line-of-Sight Channels (비가시선 채널에서 이중 편파 안테나 시스템의 용량 증대)

  • Shin, Changyong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6 no.7
    • /
    • pp.4918-4924
    • /
    • 2015
  • In this paper, we consider the capacity improvement of systems exploiting dual-polarized antennas for two-user transmission. To this end, we analyze the upper bounds of ergodic capacities for multicast and unicast data services in the systems, and propose the condition for adjusting the complex cross-polarization discriminations (XPDs) to maximize the ergodic capacities. In addition, we present the adjustment condition of the complex XPDs that can achieve spectral efficiencies close to the maximum ergodic capacities with lower system complexity. Lastly simulation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systems using the proposed conditions can obtain higher spectral efficiencies than the ones employing different adjustment conditions including the exiting adjustment condition.

Dual-Polarized Tx/Rx Antenna for UHF RFID Reader (UHF RFID 리더기용 송수신 겸용 이중 편파 안테나)

  • Kang Chae-Woon;Yun Gi-Ho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 /
    • v.16 no.12 s.103
    • /
    • pp.1213-1221
    • /
    • 2005
  • In this paper, dual-polarized antenna for UHF RFID reader has been described. Feeding network and antenna structure have been designed, such that both port isolation between transmitting and receiving port and cross-polarization be maximized, and overall antenna size be minimized as well. In addition, sequentially rotated feeding scheme has been adopted to secure axial ratio bandwidth in the circular polarization. Test results show 2.35 dBi antenna gain in 900 to 928 MHz frequency range and 150 MHz axial ratio bandwidth, respectively. And, the proposed antenna has a port isolation of -40 to -38 dB and a cross-polarization of -40 to -30 dB.

The study on target recognition method to process real-time in W-band mmWave small radar (밀리미터파대역(W-대역)공대지 레이다의 이중편파 채널을 활용한 지상 표적 식별 기법에 관한 연구)

  • Park, Sungho;Kong, Young-Joo;Ryu, Seong-Hyun;Yoon, Jong-Suk
    •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v.18 no.3
    • /
    • pp.61-69
    • /
    • 2018
  •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for recognizing ground target using dual polarization channels in millimeter waveband air-to-surface radar. First, the Push-Broom target detection method is described and the received signal is modeled considering flight-path scenario of air-to-surface radar. The scattering centers were extracted using the RELAX algorithm, which is a time domain spectral estimation technique, and the feature vector of the target was generated. Based on this, a DB for 4 targets is constructed. As a result of the proposed method, it is confirmed that the target classification rates is improved by more than 15% than the single channel using the data of the dual polarization channel.

An Efficient Weather Radar Data Management and Compression Technique for Multi purposes and users (다중 사용자를 위한 효율적인 기상레이더자료 관리 및 압축 기법)

  • Jang, Bong-Joo;Lee, Keon-Haeng;Lee, Sanghun;Lee, Dong-Ryu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9-9
    • /
    • 2015
  • 레이더 기술의 발전으로 말미암아, 현재의 기상 레이더는 그 관측 범위와 정밀성 뿐 아니라, 시공간 해상도의 월등한 향상을 이룩하였으며, 특히 이중편파 기술을 이용한 기상 관측을 통해 기존의 단일편파 레이더로 해석할 수 없었던 다양한 대기현상 분석을 가능케 하였다. 이처럼 기상레이더 관측 기술의 발전은 광범위한 관측반경과 높은 시공간해상도로 관측 정확성을 향상시킨 반면, 해상도 증가에 따른 기본적인 자료량이 증가되었으며 이중편파를 활용한 자료해석기법의 다양화로 인해 레이더 자료의 용량 또한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게 되었다. 이러한 이유로 현재 도입이 진행중인 고성능의 기상레이더들로부터 광범위한 국토 범위에 대해 지속적으로 관측되는 방대한 양의 레이더 자료를 저장하고 분석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과 비용이 요구될 것으로 우려된다. 그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레이더 자료의 유통 특성을 분석한 바, 기상레이더 자료는 자료의 획득시부터, 신호처리, 품질관리, 기상분석 등의 단계를 거치며, 각 단계의 사용자에 의해 각각 처리되고 가공되는 특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제안 기법은 각 레이더 자료의 특성을 재해석하는 방법으로 압축함으로써 용량을 최소화시키는 동시에, 레이더 자료의 각 유통 단계의 여러 사용자들에게 서비스 될 수 있는 생성, 가공 및 단순화된 형태의 자료를 모두 포함하면서 각 단계의 사용자들에 적합한 자료의 형태로 제공할 수 있는 기법을 제안한다. 실험 결과, 기상레이더 자료의 특성과 기상 에코의 분포를 이용한 내용 기반 손실 압축 기법을 통해 다양한 사용자들을 위한 적응적이고, 효율적인 압축을 수행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Design of Dual-band Ortho-mode Transducer for Ka-band VSATs (Ka 대역 VSAT용 이중대역 직교모드변환기 설계)

  • Lee, Hongyeol;Uhm, Manseok;Yun, Sohyeun;Yom, Inbok;Kim, Hyunsoo;Park, Jeongwoo
    • Journal of Satellit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 /
    • v.8 no.3
    • /
    • pp.47-51
    • /
    • 2013
  • In this paper, we present design and test results of a Ka-band dual-band ortho-mode transducer (OMT) for use in a feed assembly for the very small aperture terminals (VSATs). The designed ortho-mode transducer have wideband characteristics to separate the signals that have two orthogonal linear polarizations operating at 20GHz of receive frequency band and at 30GHz of transmit frequency band. In addition, in order to reduce the volume of the feed assebly, a Boifot based ortho-mode transducer has been designed with a dual-band. Experimental results for the design verification, the return loss in the receive band and in the transmit band for the horizontal polarization showed over 20dB and 21dB, respectively, and for the vertical polarization showed over 20dB and 24dB, respectively. The port isolation for the horizontal polarization and the vertical polarization showed over 43dB and 52dB, respectively, in the receive band and in the vertical band.

Orthogonally-Polarized Dual-Band Switchable Microstrip Antenna Using PIN-Diode Loaded H-Shape Slot (PIN 다이오드가 구비된 H 모양 슬롯을 이용한 직교편파 이중대역 변환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

  • Lim, Eunsook;Pyo, Seongmin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 /
    • v.27 no.2
    • /
    • pp.156-162
    • /
    • 2016
  • This paper proposes a novel orthogonally-polarized dual-band switchable microstrip antenna. The proposed antenna consists of a perpendicular feeding network and an radiator with a PIN-installed H-shaped slot. When the states of one single PIN diode in H-slot are controlled by bias voltages, the controlled physical geometry of the H-slot determines the operation frequencies of switchable 1.80 GHz and 2.43 GHz for vertically polarized linear polarization and fixed 2.06 GHz for horizontally linear polarization. The implemented antenna experimentally demonstrates reconfigurable dual-band capability by means of controling the states of the PIN diode. The simulation and measurement results of the implemented antenna have been in good agreement with the reflection coefficients, realized antenna gains and far-field radiation patterns at each of the PIN diode sta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