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이중과제훈련

검색결과 29건 처리시간 0.022초

이중과제 동작관찰 신체훈련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보행 능력과 일상생활 활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Dual-task Action Observation Physical Training on the Walking Ability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Chronic Stroke Patients)

  • 이현민;이정아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83-91
    • /
    • 201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icacy of dual-task action observation training (AOT) and single-task AOT related with daily living task on walking ability and ADL performance in chronic stroke patients. METHODS: Twenty-seven chronic stroke subjects were included in the study. They were randomly assigned to three task categorieds as follows: whole dual-task AOT or partial dual-task AOT or single-task AOT rehabilitation. Whole dual-task AOT observed the movement at once and partial dual-task AOT observed the movement divided into 4 parts related functional gait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task for 2 minutes 30 seconds. Single-task AOT observed the movement related functional gait for 2 minutes 30 seconds. Both groups had physical training session for 12 minutes 30 seconds. The study was conducted for four weeks, with three training sessions a week, for twelve weeks. All subjects were evaluated for their walking ability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through devices, 10m walking test (10MWT), dynamic gait index (DGI), and Korea-Modified Barthel Index (K-MBI). RESULTS: A significant improvement of walking ability and ADL performance happened among dual-task AOT subjects, compared with a single-task AOT subjects, during the 4-weeks course treatment.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10MWT (p<0.05) and DGI (p<0.05), and K-MBI (p<0.05). CONCLUSION: Our results indicated that dual-task AOT has a positive additional impact on recovery of walking ability and ADL performance in chronic stroke patients.

ICF 구성요소 기반 이중과제 훈련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보행 능력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Dual Task Training based on the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 on Walking Ability and Self-Efficacy in Chronic Stroke)

  • 이정아;이현민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21-129
    • /
    • 2017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dual-task training (based on the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 ICF) on walking ability and self-efficacy in individuals with chronic stroke. METHODS: 22 chronic stroke pati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Participants were randomly allocated into either the single-task group (n=11) or the dual-task group (n=11). Both groups had physical training three a week for 4 weeks, and at a three-week follow-up. Outcome measures included the 10m walking test (10MWT), figure of 8 walk test (F8WT), dynamic gait index (DGI), and Self-efficacy scale. All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18.0 for Windows. Between-group and within-group comparison were analyzed by using the Mann-Whitney U test and Wilcoxon singed-rank test respectively. RESULTS: In the dual-task group, the 10MWT, time and steps of F8WT, DGI, and self-efficac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re- and post-test (p<.05). The Changes between the pre- and post-test values of 10MWT (p<.05), DGI (p<.05), and self-efficacy scale (p<.05)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dual-task group and single-task group. CONCLUSION: Participants reported improved walking ability and self-efficacy, suggesting that dual-task training holds promise in the rehabilitation of walking in chronic stroke patients. This study showed that ICF-based on a dual-task protocol contiributes to motor learning after chronic stroke.

이중 운동 과제 훈련이 아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균형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Dual Motor Task Training on Balance of Subacute Stroke Patients)

  • 지상구;김명권;차현규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9
    • /
    • 2013
  • PURPOSE: This study compared the effects of dual motor task training and simple task training on the balance of subacute stroke patients. METHODS: A total of 23 subacute stroke pati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subjects were allocated randomly to two groups: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Both groups received conventional treatment for 50 minutes, 5 times per week for 6 weeks. In addition, the experimental group stacked blocks, moved catch cups, and moved rings while standing and gait. To evaluate the effects of the exercises, subjects were evaluated by using the balance system and the timed get up and go test(TUG) for balance measurement. The data was analyzed using a paired t-test and independent t-test to determine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RESULT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on the medial-lateral and anterior-posterior stability index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p<.05) for the simple task and a significant decrease on the medial-lateral and anterior-posterior stability index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for the dual task. In additio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TUG tim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p<.05). CONCLUSION: These results support the perceived benefits of dual motor task training to augment the balance of subacute stroke patients. Therefore, dual motor task training is recommended for subacute stroke patients.

이중과제 보행훈련이 파킨슨병 환자의 균형, 보행능력 및 일상생활동작에 미치는 효과 -단일사례연구- (The Effect of Dual-task Gait Training on Balance, Gait,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for Patients with Parkinson's Disease -A Single-subject Experimental Design-)

  • 박현주;이언주;나규민;강태우
    • PNF and Movement
    • /
    • 제17권3호
    • /
    • pp.339-351
    • /
    • 2019
  • Purpose: This study identified the effects of dual-task gait training on balance, gait function, and activity of daily living in patients with Parkinson's disease. Methods: This study used a single-subject design. Two patients with Parkinson's disease participated in this study. Dual-task gait training was performed 1 hour per day 8 times during intervention phase. The subjects were measured 8 times in the baseline phase, 8 times in the intervention phase, and 8 times in the follow-up phase. The outcome measurements included a timed up and go test (TUG), a Berg balance scale (BBS), a 10 meter walk test (10MWT), a 6 minute walk test (6MWT), a dynamic gait index (DGI) and a Korean modified Barthel index (K-MBI). Results: When compared to the average of the baseline process, the data collected during the intervention period showed that the TUG and 10MWT results improved and the tendency line was above the baseline. In addition, BBS, 6MWT, DGI, and K-MBI values for both patients increased remarkably after the training.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dual-task gait training may be helpful to improve balance, walking function, and activity of daily living for patients with Parkinson's disease. Further studies need to confirm our findings.

대졸 청년층의 내일배움카드제 참여경험과 노동시장 성과 (A Study on Individual Training Account System Experiences and Labor Market Outcomes of the College Graduate Youth)

  • 권혜영
    • 한국사회정책
    • /
    • 제23권1호
    • /
    • pp.151-178
    • /
    • 2016
  • 본 연구는 대졸 청년층의 내일배움카드제 참여현황을 살펴보고, 참여경험이 대졸 청년층의 노동시장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2012년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다중회귀분석과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내일배움카드제에 대해 들어본 경험이 있는 경우는 2,707명(27.6%)이며, 이중 실질적으로 참여한 사람은 695명(25.7%)으로 나타났다. 내일배움카드제의 참여경험이 노동시장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참여경험은 취업여부와 고용형태(정규직취업)에 있어 긍정적인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월평균임금에 있어서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연구결과의 함의를 도출하고, 내일배움카드제의 정책 효과성 향상을 위한 정책 과제를 제안하였다.

보행환경 가변성에 따른 이중과제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균형, 보행 및 기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Dual Task Training According to Variability of Walking Environment on Balance, Gait and Function of Stroke Patients)

  • 김수진;이효정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23-33
    • /
    • 2021
  • Purpose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ual-task training according to the variability of the walking environment on balance, gait, and function in patients with stroke. Methods : Twenty-five patients with stroke were randomly assigned to experimental group I (n=12) and experimental group II (n=13). Experimental group I and II performed obstacle and non-obstacle walking training, respectively, along with cognitive tasks for 21 minutes per session, 3 times a week for 6 weeks. Both groups received additional general physical therapy for 30 minutes per session. The functional reach test (FRT), gait analyzer (G-Walk), and 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 (FIM) were used to evaluate balance, gait and function of pre- and post-interventions, respectively, while gait cadence, gait velocity, and stride length were evaluated using a gait analyzer. Results : In the within-group comparison of FRT, all the two groups showed significant post-intervention improvements (p<.05). In within-group comparison of gait cadence, all the two groups showed significant post-intervention improvements (p<.05). In within-group comparison of gait velocity, all the two groups showed significant post-intervention improvements (p<.05). In within-group comparison of stride length, experimental group I showed significant post-intervention improvements (p<.05), while experimental group II did not show significant post-intervention improvements (p>.05). In within-group comparison of FIM scores, experimental group I showed significant post-intervention improvements (p<.05), while experimental group II did not show significant post-intervention improvements (p>.05).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hange of FIM scores pre- and post-intervention (p<.05) in the between-group comparison. Conclusion :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dual-task training with cognitive tasks and walking training can improve the balance, gait and function of patients with stroke, and obstacle walking training is effective for improving functions including activities of daily living compared to non-obstacle walking training.

도시침수 모의 기술 국내 연구동향 리뷰: 2001-2022 (A review on urban inundation modeling research in South Korea: 2001-2022)

  • 이승수;김보미;최현진;노성진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5권10호
    • /
    • pp.707-721
    • /
    • 2022
  • 본 총설연구에서는 도시침수 모의 기술의 체계와 발전 과정을 정리하고, 주요 성과와 한계점을 파악하여 향후 연구 방향과 도전 과제를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2000년대 이후 국내 주요 학술논문집에 수록된 도시침수 모의 관련 논문 160여편을 분석하여 연구의 핵심 주제와 내용을 살펴본 후, 물리 및 데이터 기반 모형의 침수모의 세부 방법론별로 기술의 발전 현황에 대해 정리하였다. 또한, 국내 도시침수 모의 기술의 활용목적별 동향, 국외 및 연관 분야 연구동향에 대해서도 분석하였다. 국내 도시침수 모의 연구에서 Storm Water Management Model (SWMM) 모형을 활용하는 비율이 60%를 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이중 배제(dual drainage)의 도시침수 물리 과정을 상세히 해석하는 국내 기술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한편, 딥러닝(deep learning) 등 데이터 기반 모의 기술은 도시침수 해석의 새로운 분야로 자리매김하였다. 다만, 모형 훈련을 위한 극한기상조건에 대한 침수자료는 관측 만으로 확보할 수 없으므로, 고정확도 물리 모형과 데이터 기반 모형 연구는 상호보완적으로 진행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도시침수 모의 기술은 인공지능이나 IoT, 메타버스 등 타 분야 신기술과의 접목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기후 위기 적응과 재해 피해 저감을 위해 지속적인 사회적 투자와 융합 연구가 필요한 분야로 판단된다.

암 예후를 효과적으로 예측하기 위한 Node2Vec 기반의 유전자 발현량 이미지 표현기법 (A Node2Vec-Based Gene Expression Image Representation Method for Effectively Predicting Cancer Prognosis)

  • 최종환;박상현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8권10호
    • /
    • pp.397-402
    • /
    • 2019
  • 암 환자에게 적절한 치료계획을 제공하기 위해 암의 진행양상 또는 환자의 생존 기간 등에 해당하는 환자의 예후를 정확히 예측하는 것은 생물정보학 분야에서 다루는 중요한 도전 과제 중 하나이다. 많은 연구에서 암 환자의 유전자 발현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환자의 예후를 예측하는 기계학습 모델들이 많이 제안되어 오고 있다. 유전자 발현량 데이터는 약 17,000개의 유전자에 대한 수치값을 갖는 고차원의 수치형 자료이기에, 기존의 연구들은 특징 선택 또는 차원 축소 전략을 이용하여 예측 모델의 성능 향상을 도모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접근법은 특징 선택과 예측 모델의 훈련이 분리되어 있어서, 기계학습 모델은 선별된 유전자들이 생물학적으로 어떤 관계가 있는지 알기가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유전자 발현량 데이터를 이미지 형태로 변환하여 예후 예측이 효과적으로 특징 선택 및 예후 예측을 수행할 수 있는 기법을 제안한다. 유전자들 사이의 생물학적 상호작용 관계를 유전자 발현량 데이터에 통합하기 위해 Node2Vec을 활용하였으며, 2차원 이미지로 표현된 발현량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합성곱 신경망 모델을 사용하였다. 제안하는 모델의 성능은 이중 교차검증을 통해 평가되었고, 유전자 발현량 데이터를 그대로 이용하는 기계학습모델보다 우월한 예후 예측 정확도를 가지는 것이 확인되었다. Node2Vec을 이용한 유전자 발현량의 새로운 이미지 표현법은 특징 선택으로 인한 정보의 손실이 없어 예측 모델의 성능을 높일 수 있으며, 이러한 접근법이 개인 맞춤형 의학의 발전에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한다.

품질속성 기반 설계방법을 적용한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설계 사례연구 (A Case Study of Software Architecture Design by Applying the Quality Attribute-Driven Design Method)

  • 서용석;홍석붕;김현수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14D권1호
    • /
    • pp.121-130
    • /
    • 2007
  • 소프트웨어 개발에 있어서 구현에 앞서 아키텍처를 설계하는 일은 프로젝트의 성공을 위해 필수적이다. 본 논문은 한국원자력연구소 내에서 가동 중인 하나로 원자로의 방사선감시시스템 소프트웨어 개발과정에서 품질속성 기반 설계방법을 적용하여 소프트웨어 아키텍처를 설계한 사례를 보여준다. 품질속성 기반 설계방법은 Bass[1]가 제시한 속성 기반 설계방법을 변형한 것이다. 이는 먼저 시스템의 기능요건 및 품질요건을 아키텍처 드라이버(driver)로서 도출하고, 이를 만족하기 위한 전술(tactic)을 선택하고, 선택된 전술에 근거하여 아키텍처를 결정하고, 결정된 아키텍처를 구현 및 검증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하나로 원자로 방사선감시시스템의 개발요건으로부터 가용성, 유지보수성, 호환성과 같은 품질요건이 추출되었으며, hot-standby 서버 이중화와 약결합의 모듈화와 같은 전술이 선택되었으며, 이중화 서버에 다수의 클라이언트가 연결되는 클라이언트-서버 구조와 객체지향적 데이터 처리 구조가 방사선감시시스템을 위한 아키텍처로 결정되었다. 상용도구인 Adroit를 이용하여 아키텍처가 구현되었으며, 아키텍처 검증은 기능 중심의 시험을 통해 이루어졌다. 적은 예산과 단기간 내에 완수해야 하는 방사선감시시스템 개발에 품질속성, 기반 설계방법을 적용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과제를 성공시킬 수 있었다. 방사선감시시스템 개발에서 설계된 아키텍처는 한국원자력연구소 내 다른 설비의 방사선감시시스템 개발에 재사용할 예정이다. 추가적으로 방사선감시시스템 아키텍처를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작업이 필요하다.B-트리, CR-트리를 구현하는 방법을 기술한다. CC-GiST를 이용함에 따라 메인 메모리 데이터베이스 응용에서 여러 개의 캐시 인식 트리를 관리하는 번거로움에서 벗어날 수 있고, 응용의 요구에 따른 새로운 캐시 인식 트리를 최소한의 노력으로 효율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에 따라 증가한다. 에틸렌 함량이 50 wt% 보다 많을 경우, 혼합용매들의 극성인력 효과가 밀도 효과보다 커서 온도가 낮아짐에 따라 cloud-point 압력은 증가하였다. 에틸렌 함량이 50 wt% 보다 적을 경우, 혼합용매들의 극성인력 효과가 밀도 효과보다 작아서 온도가 낮아짐에 따라 cloud-point 압력은 감소하였다. 2번 150.2 cGy, 200 cGy, 환자 3번 150.5 cGy, 211.4 cGy, 환자 4번 155.5 cGy 198.6 cGy의 결과를 얻었다. 결 론: 본 원에서 변형 근치적 유방절제술 후 흉벽 방사선치료의 가장 적절한 볼루스 적용 횟수는 전 치료횟수의 $50{\sim}60%$ 적용이다.적인 기준을 마련하고 환자들이 치료과정에서 실질적으로 알고자 하는 의문점들을 체계적으로 교육해 나간다면 지금까지 보다 훨씬 더 나은 환자 만족과 치료 결과를 얻을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적 교육 훈련이 더 엄격하게 진행되므로, 부서 관의 협력으로 방사선사 보수교육에 합산하는 방안이 필요할 것이다. 임신이 확인된 방사선관계종사자의 피폭관리도 새로이 반영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업무의 특성상 사용되는 특별한 용어 외에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용어의 통일은 반드시 필요하며, 방사선분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