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이원 함수

Search Result 173,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임의중도절단된 이 표본자료에서 누적위험함수의 비에 대한 동시신뢰대

  • 송명언;이원기;박희주;송재기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v.5 no.3
    • /
    • pp.819-826
    • /
    • 1998
  • 임의중도 절단된 이 표본의 수명자료에서 누적위험함수의 비는 시간의 변화에 따른 두 집단의 위험률을 서로 비교할 수 있는 수단이 된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두 집단의 누적위험함수의 비에 대한 추정량을 제안하고, 제안된 추정량의 점근성을 유도하였다. 또한 누적위험함수의 비에 대한 여러 가지 동시신뢰대들을 제안하였으며, 실제 자료에 적용하여 보았다.

  • PDF

The Study and Improvement of Boolean Function Property of MD5 Hash Function (MD5 해쉬함수의 부울함수 특성 고찰 및 개선)

  • 이원준;이국희;문상재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s of Information Security and Cryptology Conference
    • /
    • 1995.11a
    • /
    • pp.185-194
    • /
    • 1995
  • 일방성 해쉬함수는 임의 길이의 입력메세지를 일정한 길이의 출력메세지로 축약하는 함수로서, 디지탈서명에서 서명을 생성하는 시간을 단축하고 메세지 인증을 위한 암호학적 도구로 사용되고있다. 본 논문에서는 부울함수를 기초로 하는 해쉬함수 중에서 MD5의 부울함수를 정보이론의 관점에서 분석하여 암호학적으로 강하고 기존의 MD5에서 사용된 부울함수의 성질을 이용한 공격을 막을 수 있는 새로운 부울함수를 제안한다.

  • PDF

Technique of Low-Order stable IIR HRTF Modeling (안정성을 유지하는 머리전달함수의 저차 IIR 모델링 기법)

  • 김홍철;이원철
    • Proceedings of the IEEK Conference
    • /
    • 2000.09a
    • /
    • pp.807-810
    • /
    • 2000
  • 입체음향 시스템에서 모노음에 방향감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으로 FIR 필터 형태의 머리전달함수( HRTF : Head-Related Transfer Function)를 사용한다. 그러나 이때 사용되는 FIR형태의 머리전달함수는 높은 차수를 가지고 있어 실시간 음상정위 처리가 어려운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FIR 형태의 머리전달함수를 ARMA 시스템 인지기법을 이용하여 저차의 IIR필터 형태로 모델링하여 실시간 데이터 처리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ARMA 시스템 인지기법을 이용하게 되면 주어진 고차의 FIR형태의 머리전달함수를 다양한 안정성을 갖는 IIR모델들을 얻을 수 있으며, 이들 중 적절한 스펙트럼오차를 갖는 저차의 IIR모델을 선택 할 수 있다.

  • PDF

이원혼합모형에서 고정효과의 신뢰구간에 관한 분산성분추정량의 선택

  • 이장택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v.5 no.3
    • /
    • pp.623-632
    • /
    • 1998
  • 이원혼합모형에서 고정효과의 추정가능한 함수에 대한 신뢰구간을 구하는 경우에 어떤 분산성분추정량을 선택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가를 모의실험을 통하여 살펴본다 혼합모형에서는 t-분포와 일반화최소제곱추정량을 사용하여 신뢰구간을 구할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분산성분을 알 수 없기 때문에 분산성분을 반드시 추정하여야만 한다. 이 경우 분산성분의 추정량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추정량들인 Henderson의 방법 III 추정량, 사전추측값이 1인 MINQUE 추정량, MLE(최우추정량), REMLE(제한최우추정량)를 이용하여 분산행렬을 추정하고, 신뢰구간의 포함범위확률과 평균길이를 모의실험을 통하여 살펴본다. 모의실험의 결과는 4가지 추정량 모두 비슷한 신뢰구간의 포함범위확률과 평균길이를 갖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 PDF

Low-Order Modeling of HRTF using ARMA-System (ARMA시스템을 이용한 머리전달함수 저차 모델링)

  • Kim Hong-Choul;Lee Ou-Seb;Lee Won-Cheol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spring
    • /
    • pp.203-206
    • /
    • 2000
  • 입체음향 시스템에서 모노음에 방향감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으로 FIR 필터 형태의 머리전달함수( HRTF : Head-Related Transfer Function)를 사용한다. 그러나 이때 사용되는 FIR형태의 머리전달함수는 높은 차수를 가지고 있어 실시간 음상정위 처리가 어려운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FIR 형태의 머리전달함수를 ARMA 시스템 인지기법을 이용하여 저차의 IIR필터 형태로 모델링하여 실시간 데이터 처리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ARMA 시스템 인지기법을 이용하게 되면 주어진 고차의 FIR형태의 머리전달함수를 다양한 안정성을 갖는 IIR모델들을 얻을 수 있으며, 이들 중 적절한 스펙트럼오차를 갖는 저차의 IIR모델을 선택 할 수 있다.

  • PDF

Feature Extraction and Classification using SVM for Biomedical Signal (생체 신호의 특징 추출 및 SVM을 이용한 분류)

  • 김만선;이상용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10a
    • /
    • pp.181-183
    • /
    • 2003
  • 최근 대용량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유용한 정보를 발견하고 데이터간에 존재하는 연관성을 탐색하고 분석하는 데이터 마이닝에 관한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다양한 생체 신호를 분석하기 위하여 데이터 마이닝 기법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심전도 신호의 패턴을 분류하기 위하여 신경망 기법을 적용하였다. 최근 패턴분류에 있어서 각광을 받고 있는 SVM 모델은 학습과정에서 얻어진 확률분포를 이용하여 의사결정함수를 추정한 후 이 함수에 따라 새로운 데이터를 이원분류 하는 것으로 분류 문제에 있어서 일반화 기능이 매우 높다. 기존에 많이 이용되던 BP 모델과 비교평가 하였다.

  • PDF

Parameters Identification of TSK Fuzzy Model using Modulating Function Method (변조 함수법을 이용한 TSK 퍼지모델의 파라미터 인식)

  • 류은태;정찬익;이원창;강근택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2004.04a
    • /
    • pp.381-384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변조 함수법을 이용하여 비선형 연속시스템의 퍼지모델 파라미터 인식을 위한 새로운 알고리즘을 제시하였다. 동력학 미분방정식은 미분항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입출력 데이터를 이용하여 퍼지모델 파라미터를 인식하는 경우 외란의 영향을 무시할 수 없으므로 퍼지모델 파라미터 인식이 어렵다. 그러나 변조 함수법을 이용하면 미분항을 소거할 수 있어 미분항이 없는 연립방정식으로부터 쉽게 퍼지모델 파라미터 인식이 가능하다 몇 개의 시뮬레이션을 통해 제안한 변조 함수법을 이용한 퍼지모델 파라미터 인식의 정확성과 유효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Parameter Analysis of the Seismic Fragility Function for URM Buildings Using Capacity Spectrum Analysis (역량스펙트럼 해석에 의한 비보강 조적조 건축물의 지진취약도함수 매개변수 분석)

  • Lee, Jung-Han;Park, Min-Kyu;Kim, Hye-Won;Jung, Woo-Young;Park, Byung-Cheol;Yi, Waon-Ho
    • Proceedings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Conference
    • /
    • 2009.04a
    • /
    • pp.383-386
    • /
    • 2009
  • 본 연구는 HAZUS에서 제시하고 있는 비보강 조적조 건축물의 구조적 손상상태에 대한 지진취약도함수와 관련하여 층간변위율 및 스펙트럼 변위 등의 매개변수를 평가하고 또한 국내 상황에 적합한 기존 비보강 조적조 건축물의 지진취약도곡선의 도출을 목적으로 하였다. 국내 상황을 고려한 지진피해를 추정하기 위하여 먼저 기존 비보강 조적조 건축물의 현황파악 및 지진취약도함수 산출방법을 분석하였다. 일반적으로 HAZUS에서 제시하고 있는 지진취약도함수는 역량스펙트럼을 변환시킨 가속도-변위응답 스펙트럼법을 기본적으로 사용하는 상황으로 국내 기존 비보강 조적조 건축물에 대한 지진취약도함수 개발을 위하여 Midas GEN Ver.741 구조해석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실제 23개동의 비보강 조적조 건축물을 대상으로 역량스펙트럼 해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를 통하여 지진취약도함수의 주요 매개변수인 손상상태별 층간변위율 및 스펙트럼 변위를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