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이용자서비스

검색결과 3,241건 처리시간 0.042초

Help-Desk 지식관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Help-Desk Knowledge Management)

  • 장우권
    • 한국정보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관리학회 2004년도 제11회 학술대회 논문집
    • /
    • pp.141-145
    • /
    • 2004
  • Help-Desk 서비스는 도서관 현장에서 사서가 이용자와 직접 대면하는 서비스로 이용자가 도서관을 이용할 때 일어나는 커뮤니케이션이다. 이는 최초의 지식관리활동이다. 이용자의 요구에 따라다양하게 제공되고 발생되는 Help-Desk 서비스는 이용자 질문-해답서비스, 이용자 교육서비스, 참고정보서비스, 전자우편서비스, 전자게시판, 개인정보관리, SDI, 공개자료, 교수연구지원서비스 등이다. 이 연구는 국내 대학도서관의 Help-Desk 서비스 실태를 조사·분석하여 사서와 이용자 사의의 바람직한 지식관리유형으로서 Help-Desk 지식관리를 제시하고자한다.

  • PDF

바우처를 활용한 사회서비스의 이용자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Social Service Satisfaction Using Voucher - Focusing on the Community Social Investment Service -)

  • 신창환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4권4호
    • /
    • pp.137-161
    • /
    • 2012
  • 바우처를 활용한 사회서비스가 확대되면서 성과평가가 강조되고 있으며, 바우처의 이용자중심 재정지원방식이라는 특성상 이용자 측면의 평가인 이용자 만족도가 중요한 의미를 갖게 되었다. 하지만 아직 바우처 사회서비스의 성과에 대한 실증적 연구는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는 바우처 사회서비스의 성과를 이용자 만족도로 규정하고, 서비스 이용자의 특성과 서비스 제공기관의 조직 특성을 고려하여 이용자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자료로는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의 지역개발형 서비스 이용자 1445명과 서비스 제공기관 70개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분석방법으로 이용자수준과 조직수준의 다층분석에 적합한 위계선형모형(HLM)을 사용하였다. 사회복지서비스 성과와 관련된 선행연구와 바우처와 관련된 선행연구들을 통해서 이용자수준(수요측면)과 조직수준(공급측면)의 변인들을 추출하였으며 이러한 변인들이 이용자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이용자수준에서는 성, 욕구수준이 이용자 만족도의 차이를 유의미하게 설명하였으며 조직수준에서는 서비스유형과 지역 및 기관유형 변인이 제공기관 간 이용자 만족도의 차이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바우처 사회서비스 정책에 대한 정책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 PDF

국립 및 공공도서관 이용자 응대서비스 매뉴얼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ing a Manual for User Service of National and Public Library)

  • 황금숙;이영숙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25-42
    • /
    • 2012
  • 최근 도서관에서는 실업률 증가와 지역사회 정신보건 문제 등 총체적인 사회적 현상과 맞물려서 도서관 서비스에 불만을 품거나 이상행동을 하는 이용자들이 도서관으로 유입되면서 많은 문제행동을 일으키고 있다. 일부 이용자의 문제행동은 다른 이용자의 이용만족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도서관직원에게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이는 결국 서비스의 불만족과 이로 인한 도서관 조직에 악영향을 끼치며 전반적인 도서관 서비스의 질적 저하를 유발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본 연구는 도서관서비스에 대한 이용자 만족도를 제고하고, 친절하고 품위 있는 공공서비스 문화의 선진화를 촉진하기 위여 국가 및 공공도서관 직원을 대상으로 도서관 응대서비스 문제점 및 문제이용자 현황과 응대서비스 매뉴얼 개발에 관련된 요구사항을 분석하여 일반이용자 및 문제이용자 응대서비스 매뉴얼을 개발하였다.

도서관이용자 응대서비스 매뉴얼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ing a manual for library user service)

  • 황금숙;이영숙
    • 한국정보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관리학회 2012년도 제19회 학술대회 논문집
    • /
    • pp.41-44
    • /
    • 2012
  • 최근 도서관에서는 실업률 증가와 지역사회 정신보건 문제 등 총체적인 사회적 현상과 맞물려서 도서관 서비스에 불만을 품거나 이상행동을 하는 이용자들이 도서관으로 유입되면서 많은 문제행동을 일으키고 있다. 일부 이용자의 문제행동은 다른 이용자의 이용만족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도서관직원에게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이는 결국 서비스의 불만족과 이로 인한 도서관 조직에 악영향을 끼치며 전반적인 도서관 서비스의 질적 저하를 유발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본 연구는 도서관서비스에 대한 이용자 만족도를 제고하고, 친절하고 품위 있는 공공서비스 문화의 선진화를 촉진하기 위여 국가 및 공공도서관 직원을 대상으로 도서관 응대서비스 문제점 및 문제이용자 현황과 응대서비스 매뉴얼 개발에 관련된 요구사항을 분석하여 일반이용자 및 문제이용자 응대서비스 매뉴얼을 개발하였다.

  • PDF

이용자 행태분석 기반의 SaaS 서비스 (SaaS Service Perspective based on User Behavior Analysis)

  • 서광규;최한별;김병무;송기정
    • 대한안전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안전경영과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481-489
    • /
    • 2011
  • 디지털 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시간과 공간의 제약이 없는 인프라 환경이 구현되면서 더욱 더 유연하고 빠른 적응성에 대한 요구가 정치, 경제, 문화 전반에 확산됨에 따라 IT 기술을 통해서 이러한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서비스로 대두되고 있는 것이 바로 클라우드 서비스이다. 이러한 클라우드 서비스 시대의 개막은 관련 기업뿐만 아니라 공공기관, 개인에 이르기까지 모든 영역의 서비스 이용자들의 삶에도 큰 변화를 가져올 것이다. 그러나 클라우드 서비스에 대한 기존의 논의는 주로 사업자의 입장에서 클라우드 비즈니스 모델의 발굴, 수익 모델의 발굴, 클라우드 기술 발전에 따른 전망 등에 초점을 맞추어져 왔다. 따라서 정작 클라우드 서비스 이용자는 상대적으로 낮은 관심을 받아온 것이 사실이다. 이는 새로운 기술에 비즈니스 모델이 등장하면 반복되던 현상이 클라우드 서비스 분야에서도 반복되고 있는 것으로도 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클라우드 서비스중 SaaS 서비스의 이용자 측면에서 서비스 이용행태를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향후 SaaS 서비스의 전망에 대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SaaS 서비스 이용자를 현재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이용자군과 현재에는 SaaS 서비스를 이용하지는 않지만 향후에는 서비스를 이용할 의도를 가지고 있는 잠재이용자군로 구분하여 설문조사를 수행한 설문결과를 토대로 이용자의 이용행태를 분석하고 향후 SaaS 서비스 전망을 기술하기로 한다.

  • PDF

대학도서관의 주제전문서비스 이용자 만족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ser Satisfaction of Subject Service in the University Library)

  • 민다혜
    • 한국정보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관리학회 2018년도 제25회 학술대회 논문집
    • /
    • pp.61-64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도서관 주제전문서비스를 이용하는 이용자의 만족도와 이용자특성에 따른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대학도서관 이용자 서비스 제공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경기도에 소재한 K대학도서관 서비스를 이용하는 학부생 40명, 대학원생 40명, 교직원 20명, 총 100명을 대상자로 하였다. 연구방법은 대학도서관 주제전문서비스를 이용하는 이용자들의 인식에 관한 문항 설문지로 하였다. 이용자 특성에 따라 도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학도서관 주제전문서비스를 이용하는 학부생의 만족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2. 대학도서관 주제전문서비스를 이용하는 대학원생, 교직원의 만족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용자가 선호하는 서비스 방법은 도서관 홈페이지를 통해 제공받는 방식을 선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종합해보면 향후에는 본 연구를 바탕으로 주제전문서비스를 처음 시행하는 대학도서관이 주제전문서비스를 시행할 때 목표달성에 기여하고,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좋은 귀감이 될 것이라 판단된다.

  • PDF

국회도서관 의회정보서비스 이용자 만족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ser Satisfaction with the Legislative Information Services of the National Assembly Library)

  • 조찬식;김원진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95-113
    • /
    • 2012
  • 오늘날 초고속통신망의 구축과 인터넷의 확산으로 인한 정보화의 급격한 진행은 국회도서관의 의회정보서비스에도 많은 변화를 초래하였다. 같은 맥락에서 의회정보서비스도 이용자들의 정보요구와 변화에 부응하여 이용자들이 만족하는 정보서비스를 제공하여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우리나라 국회도서관 의회정보서비스 이용자 만족도를 제고시키기 위한 방안을 고찰하고 이용자가 만족하는 도서관 서비스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국회에 소속되어 있는 국회의원 및 보좌진을 대상으로 국회도서관 의회정보서비스에 대한 이용자들의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의회정보서비스 의견을 수렴하고 이를 분석.반영하여 이용, 홍보, 만족도 등 국회도서관 의회정보서비스의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

이용자 속성을 고려한 버스서비스권역 결정모형의 개발 (Determination of A Bus Service Coverage Area Reflecting Passenger Attributes)

  • 김점산;권용석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49-159
    • /
    • 2005
  • 버스서비스권역의 결정은 버스서비스체계를 계획하는 단계에서 가장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한다. 이용자의 출발지 또는 목적지에서 이용이 가능한 버스정류장이 있는가의 문제는 버스서비스 선택가능성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버스서비스 이용 자체가 불가능할 경우, 다른 서비스 질적 측면의 구성요소의 개선은 해당서비스를 선택하는데 전혀 영향을 주지 못한다. 따라서 버스서비스권역은 이용자의 출발지 또는 목적지로부터 합리적인 도보거리 또는 일정 도보시간으로 결정되어져야한다. 계획단계에서 버스서비스권역을 좀더 현실적으로 결정하기 위해서는 이용자의 속성이 고려되어야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1) 이용자 속성에 따른 한계도보시간의 차이를 조사 분석하고, 2) 이용자 속성을 고려한 버스서비스권역 결정모형을 유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버스서비스권역 결정모형을 1) 이용자 속성을 무시하는 경우 2) 이용자 연령을 고려하는 경우. 그리고 3) 이용자 수입을 고려하는 경우로 구분하여 유도하였으며, 이를 통해 어떤 지역에서 목표 버스이용자수를 확보할 수 있는 버스정류장의 간격을 결정하기 위한 산정과정을 예제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버스서비스권역 결정모형은 계획가가 어떤 지역의 버스서비스 계획단계 또는 개선단계에서 최적 버스정류장 간격을 채택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홈네트워크 서비스의 잠재 이용자 특성 별 포지셔닝 분석 (Positioning Analysis of Home Network Services According to Potential Customers' Characteristics)

  • 윤성환;김광용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IT서비스학회 2007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581-586
    • /
    • 2007
  • 정부의 IT839정책과 함께 유비쿼터스 환경이 실현되고 있는 요즘, 홈 네트워크 산업은 크게 성장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발맞추어 홈네트워크 산업의 활성화를 위해 정책 제안이나 현황 보고와 같은 연구들이 많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이용자들의 입장에서 홈네트워크 서비스에 대한 관심이나 선호분포에 관한 연구는 부족하다. 따라서 븐 연구의 목적은 홈네트워크 서비스들에 대한 이용자들의 선호도를 조사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먼저 다양한 홈네트워크 서비스들을 특성에 따라 분류한 후 잠재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각 서비스에 대한 호감도를 조사하였다. 그 후 잠재 이용자들의 특성에 따라 홈네트워크 서비스들과 대응일치분석(Correspondence Analysis)을 하였다. 연구 결과 모든 잠재 이용자들이 안전관련 서비스에 높은 관심을 표하였으며 특히 고령일수록 그 관심은 더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인터넷을 거의 사용하지 않는 집단은 홈네트워크 서비스에 낮은 관심을 보였다.

  • PDF

대통령기록관 전시서비스에 대한 이용자 인식 및 요구에 관한 연구 어린이 및 동반 성인 이용자를 중심으로 (A Study on Users' Awareness and Needs of Exhibit Services in the Presidential Archive : Focusing on Children and Accompanying Adults)

  • 김혜윤;김지현
    • 기록학연구
    • /
    • 제62호
    • /
    • pp.139-183
    • /
    • 2019
  • 오늘날 기록관은 생존과 발전을 위해 이용자에게 더욱 친근하고 개방적인 공간으로 나아가고, 세분화된 이용자의 행태와 요구를 기반으로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해야 하는 과제를 가지고 있다. 특히 어린이를 대상으로 하는 서비스의 구축은 대중의 의식을 전환시키고 현재와 앞으로의 고객을 확충하기 위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대통령기록관 전시서비스에 대한 어린이 이용자의 인식과 요구를 파악함으로써 전시서비스 개선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외 대통령기록관의 전시서비스 사례와 현황을 알아보고, 대통령기록관을 방문하여 전시서비스를 경험한 어린이 및 어린이를 동반한 성인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어린이 이용자의 관점을 토대로 기록관 전시서비스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에서 살펴본 어린이 이용자의 만족도 및 요구 분석은 기록문화의 확산과 어린이 이용자의 방문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