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이온저장

Search Result 419,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Research Review of Sodium and Sodium Ion Battery (나트륨을 활용한 이차전지 연구동향)

  • Ryu, Cheol-Hwi;Kang, Seong-Gu;Kim, Jin-Bae;Hwang, Gab-Jin
    • Journal of Hydrogen and New Energy
    • /
    • v.26 no.1
    • /
    • pp.54-63
    • /
    • 2015
  • The secondary battery using sodium is investigating as one of power storage system and power in electric vehicles. The secondary battery using sodium as a sodium battery and sodium ion battery had merits such as a abundant resources, high energy density and safety. Sodium battery (sodium molten salt battery) is operated at lower temperature ($100^{\circ}C$) compared to NAS and ZEBRA battery ($300{\sim}350^{\circ}C$). Sodium ion battery is investigating as one of the post lithium ion battery. In this paper, it is explained for the principle and recent research trends in sodium molten salt and sodium ion battery.

A Performance Evaluation of a Heat Dissipation Design for a Lithium-Ion Energy Storage System Using Infrared Thermal Imaging (적외선 열화상을 활용한 리튬 이온 ESS의 방열설계 성능평가에 관한 연구)

  • Kim, Eun-Ji;Lee, Gyung-Il;Kim, Jae-Yeol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nufacturing Process Engineers
    • /
    • v.19 no.5
    • /
    • pp.105-110
    • /
    • 2020
  • The global battery market is rapidly growing due to the development of vehicles(EV) and wireless electronic products. In particular logistics robots, which hielp to produce EVs, have attracted much interest in research in Korea Because logistics sites and factories operate continuously for 24 hours, the technology that can dramatically increase the operation time of the logistics equipment is rapidly developing, and various high-level technologies are required for the batteries used in. for example, logistics robots. These required technologies include those that enable rapid battery charging as well wireless charging to charge batteries while moving. The development of these technologies, however, result in increasing explosions and topical accidents involving rapid charging batteries These accidents due to the thermal shock caused by the heat generated during the charging of the battery cell. In this study, a performance evaluation of a heat dissipation design using infrared thermal imaging was performed on an energy storage systrm(Ess) applied with an internal heat conduction cooling method using a heating plate.

Topography Modeling and Simulation for the Complex Structures of ULSI Interconnects (복잡한 ULSI 배선 구조 생성을 위한 토포그래피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

  • Gwon, O-Seop;Yun, Seok-In;Kim, Yun-Tae;Yun, Im-Dae;Won, Tae-Yeong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SD
    • /
    • v.39 no.4
    • /
    • pp.26-34
    • /
    • 2002
  • A dynamically-allocated topographical model, so-called cell advancing model, has been developed modifying the cell model. Memory requirements are reduced by dynamically allocating completed topography and material information only at surface cells, and setting other cells as a material index. In this paper, this model is presented and verified with applications to etching process by using the analytic model and Monte Carlo model for the incident ion flux, deposition process, and process integration. In case of DRAM cell fabrication process with 5,440,500(130$\times$155$\times$270) cells takes about 22MB memory to represent the topography.

Estimation of reservoir temperatures and subsurface environments for $CO_2-rich$ springs in Kangwon Province (강원도 지역 탄산용출수에 대한 심부온도 및 심부환경의 추정)

  • 최현수;고용권;윤성택;배대석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3.09a
    • /
    • pp.520-523
    • /
    • 2003
  • 강원도 지역의 대표적인 탄산용출수에 대한 수리지구화학적 연구를 통하여 심부 지열 저장지의 온도와 심부환경을 추정하였다. 탄산용출수는 공통적으로 약산성의 pH와 높은 이온함량으로 특징되지만, 화학적으로는 Na-HCO$_3$형, Ca-Na-HCO$_3$형, 그리고 Ca-HCO$_3$형으로 뚜렷이 구분된다. 심부에서 생성된 탄산용출수가 지표로 상승하는 도중에 수반된 지표수 혼합차이로 인해 이런 화학조성의 차이가 유발된 것으로 판단된다. Na-HCO$_3$형 탄산수는 화학 조성상 ‘mature water’의 특징을 보여주는 반면, 다른 두 유형의 탄산수들은 ‘immature water’에 해당하였다. Na-HCO$_3$ 형 탄산수에 대하여 실리카, Na-K 및 Na-K-Ca 지온계를 적용한 결과, 약 l15-157도의 심부저장지 온도가 산출되었으며, 이 결과는 다성분 평형계를 이용한 추정 온도 (약 140-160도)와도 잘 일치하였다. 반면, Ca-HCO$_3$ 형 탄산수들은 지표수와의 혼합 때문에 상대적으로 낮고 넓은 범위의 추정 온도 (약 60-130도)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연구지역 내 탄산용출수의 심부저장지 온도는 Na-HCO$_3$형에 대해서만 타당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약 140-160도일 것으로 추정된다.

  • PDF

탄소 음이온 빔에 의해 증착된 DLC 필름의 특성 평가

  • 김인교;김용환;이덕연;최동준;한동원;백홍구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1999.07a
    • /
    • pp.59-59
    • /
    • 1999
  • DLC(diamond-like carbon)필름은 다이아몬드와 유사한 강도, 낮은 마차계수, 높은 Optical band gap, NEA(negative electron affinity)등의 우수한 특성을 가지고 있어, 내마모 코팅이나 정보저장 매체의 윤활 코팅, FED(field emission display)의 전계방출소자등 다양한 분야에의 응용이 연구되고 있다. DLC 필름은 PECVD(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IBAD(ion beam assisted deposition), Laser ablation, Cathodic vacuum arc등의 process를 이용하여 증착되고 있다. 특히 이러한 필름의 물성은 입사되는 이온의 에너지에 의해 좌우되는데, Lifshitz 등의 연구에 의하여 hyperthermal species를 이용한 DLC 필름의 성장은 초기에 subsurface로의 shallow implantation이 일어난 후 높은 sp3 fraction을 갖는 필름이 연속적으로 성장한다는 subplantation model이 제시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기판과 subplantation 영역이 이후 계속하여 증착되는 순수 DLC 필름의 특성 변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관심을 가지고 실험을 행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상기 제시되어 있는 방법보다도 더욱 정확하고도 독립적으로 탄소 음이온의 에너지와 flux를 조절할 수 있는 Cs+ ion beam sputtering system을 이용하여 탄소 음이온의 에너지를 40eV에서 200eV까지 변화시키며 필름을 증착하였다. Si(100) 웨이퍼를 기판으로 사용하였고 증착 압력은 5$\times$10-7torr 였으며 인위적인 기판의 가열은 하지 않았다. 또한 Ion beam deposited DLC film의 growth process를 연구하기 위하여 200eV의 탄소 음이온을 시간(증착두께)을 변수로 하여 증착하였고, 이 때에는 Kaufman type의 gas ion beam을 이용하여 500eV의 Ar+ ion으로 pre-sputering을 행하였다. 탄소 음이온의 에너지와 증착두께에 따라 증착된 film 내의 sp3/sp2 ratio 의 변화를 XPS plasmon loss 와 Raman spectr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증착두께에 따른 interlayer의 결합상태를 관찰하기 위하여 AES와 XPS 분석을 보조로 행하였다.

  • PDF

Quantum Yield of Photoinduced Electron Transfer Across Microemulsion Interfaces (마이크로 에멀젼 계면을 통과하는 광유발전자의 양자수득률)

  • Yong-Tae Park
    •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v.27 no.3
    • /
    • pp.213-217
    • /
    • 1983
  • Devices that mimic the natural photosynthetic pathway are of considerable interest as fuel sources. Quantum yield of viologen radical formation in several water-in-oil microemulsion system were measured. The yield of hexadecylviologen radical formation in microemulsion system using EDTA as an electron donor, ruthenium bipyridinium complex as photosensitizer, and hexadecylviologen as an electron acceptor was 12%. When benzylnicotinamide was inserted in the interface of the microemulsion and azo compound was dissolved in oil face, the quantum yield of hydroazo compound was 0.16. Organic dye (Rose bengal) was used as photosensitizer for the photoinduced electron transfer reaction. In anionic microemulsion no electrontransfer was observed.

  • PDF

Characteristics of Water Leakage from Cooling Components in a Storage Ring (방사광 차단용 진공부품의 냉각수 누설 특성)

  • Park, C.D.
    • Journal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 /
    • v.17 no.1
    • /
    • pp.1-8
    • /
    • 2008
  • We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water leakage from cooling components of the storage ring in the Pohang Light Source. The water leaks led localized pressure bumps and abnormal pressure changes. The leakage also changed the residual gas compositions depending not only on the position between leakage place to gas analyzer but also on on/off switching of ion pump and electron beam. We found that the residual gas analysis of $CH_4$, CO, NO was useful in determining water leaks.

핵 융합로 구축재질용 Stainless Steel 304의 수소 누설거동 실험

  • Lee, Seok-Gwan;On, Yeon-Gil;Choe, Min-Sik;Lee, Ju-Ho;Park, Jae-Ung;Kim, Hui-Su;No, Seung-J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2.02a
    • /
    • pp.511-511
    • /
    • 2012
  • 핵 융합로는 고밀도, 고에너지 플라즈마에 지속적으로 노출되며 고열부하 및 중성자, 플라즈마 이온에 의한 물성변화에 대한 다양한 핵 융합로 구축 재질의 실험데이터가 요구된다. 특히 핵 융합 반응의 핵심연료인 삼중수소의 재질별 누설거동 특성은 삼중수소의 블랑켓에서의 증식율, 열 교환기 및 공급과 회수과정에서의 손실율, 저장, 취급 및 차폐 등의 계산에 활용되므로 핵 융합로의 안전성과 경제성 확보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핵 융합로 구축 재질 선정시 삼중수소의 누설거동 특성은 반드시 고려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삼중수소 누설거동 특성 해석을 위한 기초실험으로, 수소동위원소를 사용하는 누설거동실험 장치를 설계 제작하여 누설 거동실험을 수행하였다. 누설 가스로는 수소를 사용하였고, 시편은 스테인레스 스틸(SUS-304)을 사용하였으며, 시편의 가열온도는 500, 600, 700, $800^{\circ}C$에서 각각 수소누설거동 실험을 실시하였다. 수소에 대한 SUS-304 재질의 permeability, diffusivity, solubility에 대한 실험 결과를 발표하고자 한다.

  • PDF

TiO2 나노 튜브 형성 조건에 따른 광전기화학 반응

  • Lee, Gi-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6.11a
    • /
    • pp.116.2-116.2
    • /
    • 2016
  • n-type 반도체의 성질을 가지고 있는 $TiO_2$는 화학적 안정성, 3.2 eV의 밴드갭 에너지 등에 의하여 다양한 형태의 에너지 변환 및 저장 소재로 많이 연구되어지고 있다. 특히, Fujishima-Honda의 발견에 의한 광촉매적 특성은 $TiO_2$의 가장 대표적인 응용 분야라 할 수 있다. 이런 $TiO_2$는 솔-겔, 수열합성법, 침전법 등의 화학적 방법을 통하여 제조 한다. 하지만 이런 방법은 $TiO_2$를 전극으로 사용하기 위한 추가적인 공정이 필수적일 뿐 아니라 그 구조를 제어하기가 쉽지 않다. 이에 약 10여 년 전부터 많은 연구자, 과학자들은 금속 기판위에 $TiO_2$를 형성하는 양극산화 법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꾸준히 연구되어져 왔다. 양극산화법을 통한 $TiO_2$는 그 조건에 따라 박막, 기공(포어)구조, 튜브 구조 및 다양한 나노 구조를 형성할 수 있게 한다. 그렇지만 대표적인 구조는 기공간의 공간을 유지하는 나노 튜브의 형태라 할 수 있다. $TiO_2$ 나노 튜브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극미량의 fluoride 이온이 첨가된 전해질에서 이루어진다고 알려져 왔다. 본 발표에서는 이런 전해질의 조건에 따른 나노튜브 구조의 변화를 보고 그 변화에 따른 광전기화학적 차이점에 대하여 논하고자 한다.

  • PDF

Lithium-ion Battery Energy Storage System for Power Quality Improvement in Electrical Propulsion Ships (전기추진선박의 전력품질 개선을 위한 리튬-이온 배터리 에너지저장시스템 적용)

  • Ku, Hyun-Keun;Seo, Hye-Rim;Kim, Jang-Mok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Power Electronics
    • /
    • v.20 no.4
    • /
    • pp.351-355
    • /
    • 2015
  • This paper explained the application of a lithium-ion battery energy storage system to electric propulsion ships. The power distribution in electric propulsion ships has low power quality because of the variation in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propulsion motor. For proper operation of the ship, the power quality needs to be improved, and the battery energy storage system is used to solve power-quality problems. The simulation models of electric propulsion ship and battery energy storage systems are constructed on MATLAB/Simulink to verify the improvement in power quality. The proposed system is applied in various scenarios of the propulsion motor state. The power quality achieved by using the battery energy storage system in both voltage and frequency satisfies the standards set by IEC-60092/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