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이야기 방식

Search Result 246,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Analyzing Writer's Storytelling Task and Designing a Support System (작가의 스토리텔링 집필 직무 분석 및 지원 시스템 설계)

  • Ahn, Kyung-Jin;Yoon, Wan-Chul;Jun, Bong-Guan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2b
    • /
    • pp.670-675
    • /
    • 2006
  • 이야기는 그 자체만으로 전달될 수 없기 때문에, 이야기만큼이나 중요한 것은 가공되지 않은 상태의 이야기를 구성지게 전달하는 텔링의 방식이다. 디지털 매체가 발전하고 보다 다양한 전달 방식이 등장하면서 텔링이 더욱 강조되고 이야기보다는 스토리텔링이라는 개념이 주목 받게 되었다. 이 연구는 스토리와 텔링을 구분하는 관점에서, 스토리텔링을 개발하는 작가들의 작업을 분석하고 그들을 도와주는 지원 시스템을 설계했다. 작가의 태스크를 분석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집필 프로세스에 대해 현업 작가를 인터뷰하고 기존의 writing tool의 기능과 이야기 구조 이론을 참고하여 검토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이야기가 흘러감에 따라 변화하는 정보-인물 간 관계, 사실 정보-들을 고려하였다. 작가는 이야기가 흘러가는 매 순간 모든 이야기 속의 사실을 알고 있지만, 독자와 이야기 속의 등장 인물들은 이야기가 흘러감에 따라 작가가 의도하는 순서와 방식으로 사실 정보들을 하나씩 습득하게 된다. 이러한 데이터를 수집/관리하고, 다시 변형하고, 또 유지/보수하는 것이 작가에게 가장 큰 인지적인 부담이기 때문에 이를 지원하도록 노력했다.

  • PDF

The Effect of Facing What Is True in Counseling - Reporting Style Based on Narrative Methods - (문제 직시가 상담성과에 미치는 영향 - '이야기 방식'에 기초한 보고 형태 -)

  • Sung-sook Chang
    • Korean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
    • /
    • v.15 no.4
    • /
    • pp.529-546
    • /
    • 2009
  • Korean clients show a tendency to hide the real causes of problem. Therefore the 'grasping the real cause of a problem' is regarded as the first characteristic in Reality Dynamic Counseling. Many counselors stress over how express empathy with a client rather than understanding a problem. However the attitude change wouldn't be attained without grasping the real cause of a problem. The researcher tries to demonstrate how this characteristic is at play in counseling process. The researcher illustrates this process by 'narrative method' as one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The client who had received counseling for stress disorder and insomnia took a turn for the better as soon as getting at the truth of his problem.

  • PDF

종합 서평-최수철.김영현.최인석의 소설집

  • Choe, Seong-Sil
    • The Korean Publising Journal, Monthly
    • /
    • s.252
    • /
    • pp.30-30
    • /
    • 1999
  • 세 작가의 작품은 모두 주변인물에 대한 순간적인 인상을 이야기거리로 삼아 80년대를 반추하거나 90년대의 지리멸렬한 삶을 비판한다. 인간에 애증이 뒤섞인 이들의 언사는 단순한 소재를 통해 이전과는 다른 방식의 삶을 이야기하려 한다.

  • PDF

An online storytelling authoring and viewing tool using user defined sketch (사용자 스케치를 이용한 온라인 이야기 저작 및 감상 도구)

  • Kim, Jeong-Sik;Lee, Eun-Woo;Nam, Yang-He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2.04a
    • /
    • pp.179-182
    • /
    • 2002
  • 웹을 저작 공간으로 사용한 Wiki Wiki Web[4]은 텍스트 자원을 사용한 복잡하고 다양한 이야기의 표현이 가능하며 실시간은 아니지만 시분할 방식의 이야기 공동 저작과 감상을 지원한다. 하지만 이러한 도구를 사용하여 그림일기와 같은 그림과 텍스트 내공이 복합된 이야기를 저작하는 경우, 저작자는 텍스트 자원을 사용하여 이야기를 구성해야 하기 때문에 그림이 표현되어야 하는 부분을 표현할 수 없으며 공동저작을 손쉽게 하는 자동화 도구를 제공하지 않기 때문에 저작도구의 사용에 대한 불편함을 느끼게 된다. 이처럼 그림일기나 동화 등의 다양한 형태의 이야기를 표현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멀티미디어 자원들을 사용하도록 하고 손쉬운 이야기를 구성하도록 하는 디지털 스토리텔링 저작도구가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저작자가 온라인상에서 직접 그린 스케치 영상을 사용하여 이야기의 배경과 캐릭터를 만들고 그것을 이야기 저작 소재로 사용하도록 하는 배경 및 액터 생성도구를 제공하고 다양한 형태의 이야기를 저작자가 손쉽게 표현하도록 하는 이야기 구성의 자동화 도구를 제공하면서 여러 사용자들이 실시간으로 이야기 저작과 감상에 공동으로 참여하도록 하여 저작된 결과를 애니메이션으로 감상할 수 있도록 하는 디지털 스토리텔링 도구를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 PDF

A Hybrid Approach for Interactive Storytelling Engine Design (하이브리드 방식의 인터랙티브 스토리텔링 엔진 설계)

  • Shin, Jun-Sup;Chang, Jun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9.11a
    • /
    • pp.941-942
    • /
    • 2009
  • 스토리텔링 엔진은 이야기 생성을 위한 서술 구조를 만드는 인터랙티브 스토리텔링 시스템의 핵심이다. 지금까지 스토리텔링 엔진에 대한 많은 연구가 있었지만,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스토리텔링 엔진 모델에 웹 검색 기술을 이용한 모듈을 추가하여 하이브리드 방식으로 이야기를 생성하는 스토리텔링 엔진 모델을 제안한다.

출판동네 '아는 사람들'의 이야기

  • Gang, Cheol-Ju
    • The Korean Publising Journal, Monthly
    • /
    • s.224
    • /
    • pp.21-21
    • /
    • 1997
  • 술자리 귀동냥이건 책을 통해서건 가장 궁금한 것은 역시 '출판동네' 아는 사람들 이야기다. 납활자시대의 역사와 세상사를 술회한 최일남의 소설을 비롯해, 박덕규.이진우의 작품은 모두 문화생산의 현장과 일상을 각기 다른 방식으로 다루고 있다. 이 책들 사이의 넓고 깊은 골의 호오는 독자의 몫으로 남는다.

  • PDF

Some Possibities of Community Archivs (공동체아카이브, 몇 가지 단상)

  • Lee, Young-Nam
    •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 /
    • no.31
    • /
    • pp.3-42
    • /
    • 2012
  • This paper considers some possibilities of community archives by exploring the concepts ans meanings of archival description. The author deals with two interesting cases -Herstory Writers Workshop Collection of Stony Brook University in New York and Poolmoo Collection of Poomoo Agricultural School in Korea. The author argues that archivists should know the specifications of Community Archives related to National Archives when they organizing and preserving records and archives of community archives.

The Instructional Design Using Storytelling in Home Economics Education (가정교과에서의 스토리텔링(storytelling)을 활용한 수업 설계 방안)

  • Kim, Eun-Jeung
    •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 /
    • v.23 no.1
    • /
    • pp.143-157
    • /
    • 2011
  • It is a story through which people share their ideas and express their thoughts. Storytelling is temporally and spatially interconnected narration that consists of characters, background, its beginning and its conclusion. Furthermore, the story in storytelling is a means of delivering culture and history; thanks to the development of various media, delivering and exchanging the story are conducted in a variety of forms. Due to the technological advancement, the way storytelling is done has changed, which was a method called digital storytelling. This storytelling has been frequently used in education; that is, teachers utilize stories to communicate their thoughts. As receivers, students understand a shade of meaning and the role of language, thus reorganizing the important factors in the context of meaningful events. However, in practice the classes are so teacher-centered that the role of students are relegated to that of passive learners, thus debilitating the interaction between participants; as a result, this situation shows serious limitations in that it does not improve students' practical skills. Despite this situation, home economics has attempted to broaden students' practical knowledge and has enabled them to acquire procedural knowledge as its main objectives in the context of the entire life. To overcome this problem, this study attempts to demonstrate the lesson model utilizing the storytelling where the lively participation in the process and results of learning can increase learners' self-confidence and responsibility. This lesson model is believed to facilitate the communication among participants including teachers and students. Through this alternative teaching method, learners can participate in the process of learning so that they can acquire practical knowledge: this method can be a step-stone for further development. In conclusion, the development of curriculum and lesson plans should be encouraged.

  • PDF

An analysis of mathematical story writing activities of 1st grade students (초등학교 1학년 학생들의 수학 이야기 쓰기 활동 분석)

  • Lee, Yuna;Ko, Junghwa
    •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 /
    • v.18 no.1
    • /
    • pp.15-37
    • /
    • 2015
  • As the value and importance of mathematical communication was recognized, mathematical communication in mathematics education has been strengthened more and more. Written communication as well as verbal communication is emphasized. On the other hand, storytelling is introduced for elementary students to learn mathematical concept more naturally and easily in the 2009 revised curriculum. So, we noticed that they are familiar with story. In this study, we analyze the story writing activity levels with a focus on story writing, and how to think about it. And we offer some suggestions about mathematical story writing activity.

A study of Scratch Education Programming Language Curriculum using Problem-Based Storytelling Strategies (문제 중심의 스토리텔링 기법을 이용한 스크래치 EPL 프로그래밍 교육과정 연구)

  • Chae, Su-O;Hur, Kyeong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1a
    • /
    • pp.83-88
    • /
    • 2010
  • 본 논문은 다양한 사고력 향상을 위한 문제 중심의 이야기를 만들어 스크래치 EPL 프로그래밍 교육과정에 접목시켜 전통적 수업방식인 시범, 실습 프로그래밍 교육과정과 비교하여 문제해결력, 프로그래밍 학습에 대한 흥미도를 통하여 새로 개발한 문제 중심의 스토리텔링 기법을 이용한 스크래치 EPL 프로그래밍 교육과정의 효과를 분석한다. 이를 통해서 학생들에게 흥미로운 이야기에 문제상황을 가미한 스크래치 EPL 프로그래밍 교육과정이 학생들의 문제해결력 및 흥미도를 향상 시키는 내용임을 검증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