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이송 속도

Search Result 509,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Analysis and Estimation of Long Distance Dredged Soil Transport Technology (준설토 장거리 이송기술 분석 및 평가)

  • Kim, Eunsung;Jeong, Soon Yong;Kim, Yu Seung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6 no.4
    • /
    • pp.2891-2898
    • /
    • 2015
  • The new developed long distance transport technology uses the effect of electro-magnetic energy. But it's difficult to estimate the new technology. We monitored the velocity profile and pressure drops in pipes and estimated the technology quantitatively from data analysis. Laboratory test and field test gave us that the effects of electro-magnetic energy changed the flow properties and increased the velocity, especially at the slip layer. When transporting the dredged soil, electro-magnetic field generation reduces the frictional resistances at the slip layer, increases the velocity of flow. Furthermore, it would be possible to transport the dredged materials up to 15km long with one pump station.

Evaluation of a Wafer Transportation Speed for Propulsion Nozzle Array on Air Levitation System (공기 부상방식 이송시스템의 추진 노즐 배치방법에 따른 웨이퍼 이송 속도 평가)

  • Hwang Young-Kyu;Moon In-Ho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B
    • /
    • v.30 no.4 s.247
    • /
    • pp.306-313
    • /
    • 2006
  • Automated material handling system is being used as a method to reduce manufacturing cost in the semiconductor and flat panel displays (FPDs) manufacturing process. Those are considering switch-over from the traditional cassette system to single-substrate transfer system to reduce raw materials of stocks in the processing line. In the present study, the wafer transportation speed has been evaluated by numerical and experimental method for three propulsion nozzle array (face, front, rear) in an air levitation system. Test facility for 300 mm wafer was equipped with two control tracks and a transfer track of 1,500mm length. The diameter of propulsion nozzle is 0.8mm and air velocity of wafer propulsion is $50\sim150m/s$. We found that the experimental results of the wafer transportation speed were well agreed with the numerical ones. Namely, the predicted values of the maximum wafer transportation speed are higher than those values of experimental data by 16% and the numerical result of the mean wafer transportation speed is higher than the experimental result within 20%.

진공 플라즈마 용사코팅시 분말 이송가스 유량이 적층효율에 미치는 영향

  • Jeong, Yeong-Hun;Nam, Uk-Hui;Byeon, Eung-S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4.02a
    • /
    • pp.161-161
    • /
    • 2014
  • 열플라즈마는 주로 아크 방전에 의해 발생시킨 전자, 이온, 중성입자(원자 및 분자)로 구성된 부분 이온화된 기체로, 국소열평형상태를 유지하여 구성입자가 모두 수천에서 수만도에 이르는 같은 온도를 갖는 고속의 제트 화염 형태를 이루고 있다. 이렇게 고온, 고열용량, 고속, 다량의 활성입자를 갖는 열플라즈마의 특성을 이용하여, 종래 기술에서는 얻을 수 없는 다양하고 효율적인 산업적 이용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용사코팅은 노즐 출구를 통해서 외부로 방출되는 열 플라즈마 화염을 이용하는 것으로 이 화염의 와류 특성으로 인하여 외기의 가스가 화염내부로 침투하는 특성을 가진다. 이러한 현상은 열원의 냉각효과 외에도 외기를 구성하는 기체 분자의 내부 유입을 의미하는 것으로 대기 상태에서 공정이 이루어진다면 열원 내로 유입되는 대기 내의 산소가 모재 표면과 반응하여 산화가 진행된다. 이러한 산화과정은 용사 코팅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므로, W, Ti 등과 같은 반응성이 높은 재료의 코팅은 산화과정을 방지하기 위하여 진공에서 코팅을 하여야만 한다. 진공 플라즈마용사코팅은 진공 또는 저압의 불활성 분위기 중에서 열플라즈마 화염에 용사재료를 투입하여 플라즈마 화염 내부에서 순간적으로 이를 용융시킨 후 고속으로 분출, 모재에 적층시키는 코팅공정이다. 이때 분말상의 용사재료를 고속으로 화염 중심에 투입하여 최대 에너지 전달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적층효율 및 코팅품질을 향상에 필수적이다. 하지만 플라즈마 화염 내부를 고속으로 이동하는 입자의 온도와 속도 및 궤적을 측정하여 제어하는 것은 매우 어렵기 때문에, 통상 형성된 코팅의 구조와 두께로부터 경험적으로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초고속 레이저 카메라와 이미지 분석용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플라즈마 화염내의 비행입자 궤적을 추적하고, 이를 통해 분말 이송가스의 유량이 코팅 효율 및 미세구조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플라즈마 화염은 중심부가 가장 높은 온도와 속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분말 이송가스의 유량이 적을 경우 투입된 분말은 단지 플라즈마 화염의 상부 경계면을 지나는 궤적을 갖게된다. 이로 인해 분말의 용융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아 적층 효율이 낮고 미용융 입자 및 기공이 많은 미세구조를 보였다. 이송가스 유량을 증가시키게 되면, 분말의 궤적은 플라즈마 화염의 중심부를 지나게 되어 적층 효율이 증가하고 미세구조 또한 개선되었다. 하지만 이송가스 유량이 지나치게 클 경우, 투입된 분말 입자는 플라즈마 화염을 조기에 관통하게 되어 비행궤적은 온도와 속도가 낮은 영역에 형성되었다.

  • PDF

Comparison of Effects of Oriental Medicines from Rutaceae Fruits on Gastric Emptying and Intestinal Transit in Mice (운향과 식물의 과실 유래 한약재들이 마우스의 위 배출 속도 및 장 이송률에 미치는 영향 비교)

  • Lee, Hyun-Tai
    • Journal of Life Science
    • /
    • v.26 no.12
    • /
    • pp.1466-1469
    • /
    • 2016
  • A group of traditional folk medicines obtained from the fruits of Rutaceae plants, such as Ponciri Fructus Immaturus (PFI) from Poncirus trifoliata Raf., Aurantii Fructus Immaturus (AFI) and Aurantii Pericarpium (AP) from Citrus aurantium L., and Aurantii Nobilis Pericarpium (ANP) from Citrus unshiu Marc., has been widely used for improving poor gastrointestinal function in East Asia, including in China and Korea. In the present study, the effects of Rutaceae-fruit-derived folk medicines on gastrointestinal motor function were investigated and compared by measuring in vivo gastric emptying and intestinal transit in mice. Among the aqueous and ethanolic extracts of some Rutaceae-fruit-derived folk medicines, an ethanolic extract of AP (AP-E) significantly accelerated intestinal transit in a dose-dependent manner without affecting gastric emptying. Furthermore, the intestinal transit rate of AP-E was the highest among all extracts examined in this study, including aqueous extracts of PFI, AFI, and ANP, of which the activities of accelerating intestinal transit have been already reported.

New Treatment of Source Terms in Upwind Schemes (상류이송기법에서의 새로운 생성항 처리 기법)

  • Kim, Won;Han, Kun-Yeun;Woo, Hyo-Seop;Choi, Kyu-Hyu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8 no.2
    • /
    • pp.155-166
    • /
    • 2005
  • Upwind schemes are very well adapted to the discontinuous flow and have become popular for applications Involving dam break flow, transcritical Slow, etc. However, upwind schemes have been applied mainly to the idealized problems not to the natural channels with irregular geometry so far because of the error due to source terms. In this paper, the new type of upwind discretization of source terms, which uses the normalized Jacobian to discretize the source terms, is proposed. As results of tests to flows with source terms by the upwind models, the method proposed in this paper is proved as efficient and accurate. This generalized method for differencing source terms is simple and might beapplicable to diverse type of flux upwind discretization scheme in finite difference method.

Transport of a capsule immersed in a vertical pipe (수직한 수송관 내부의 캡슐 이송)

  • Kim, Taehong;Park, Ryeol;Jeong, Joonho;Kim, Wonju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Visualization
    • /
    • v.17 no.1
    • /
    • pp.19-25
    • /
    • 2019
  • We report a study on the dynamics of the transport of a capsule immersed in a vertical pipe. Techniques to convey objects through liquid flow pipes using a hydraulic mean are used to transport sludge and hazardous materials. For the better understanding of the techniques, we developed a theoretical model to predict the transport speed of a cylindrical capsule in a vertical pipe. The comparison of the model prediction with the experiments shows that our model using the lubrication approximation precisely describes the experimental observations in cases where the gap between the capsule and pipe wall is sufficiently small. Our study suggests parameters to control the falling speed and thus enable an accurate control of the capsule speed in hydraulic transport systems.

자동화 컨테이너 터미널의 AGV 및 ALV 기반 이송시스템의 생산성 비교

  • Bae, Hyo-Yeong;Choe, Lee;Park, Tae-Jin;Ryu, Gwang-Ryeo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07.12a
    • /
    • pp.253-254
    • /
    • 2007
  • 오늘날 자동화 컨테이너 터미널은 대부분 AGV(Automated Guided Vehicle) 기반의 무인이송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 AGV는 컨테이너의 상하차 작업 시 타장비의 도움을 필요로 한다. 이로 인하여 장비 간 대기시간이 발생하며, 이는 생산성을 떨어뜨리는 요인이 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한 무인이송장비로 ALV(Automated Lifting Vehicle)가 있다. ALV는 자가하역기능이 있어 타장비의 도움 없이 상하차 작업이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각 이송시스템의 생산성을 비교하였다. 시뮬레이션은 이송시스템의 배차 방식과 안벽장비의 종류를 다양하게 설정하고, 무인이송장비의 가감속 운동 및 충돌을 고려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 소수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ALV 기반의 이송시스템이 AGV 기반의 이송시스템보다 높은 생산성을 보여주었다.

  • PDF

Effect of turbulence intensity and settling velocity on size distribution of suspended sediment (부유사의 입도분포에 난류 강도와 침강속도가 미치는 영향)

  • Byun, Jisun;Son, Minw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308-308
    • /
    • 2020
  • 유사는 이동 형태에 따라 소류사와 부유사로 구분된다. 하천의 흐름을 통해 이동하는 유사의 대부분은 부유사의 형태로 이동하며, 부유사의 부유 거동은 난류 강도와 유사 입자의 침강 속도로 인해 결정된다. 이에 따라 부유사의 부유 거동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침강 속도의 산정과 난류에 대한 이해가 요구된다. 유사의 침강 속도는 밀도와 크기로 대표되는 유사의 특성을 이용하여 결정된다. 하천에서 부유사가 여러 크기를 갖는 유사 입자들이 혼재된 형태로 이동하는 것을 생각해 볼 때, 침강 속도의 분포를 이해하기 위해서 입도 분포에 대한 연구는 필수적임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사 입자의 입도 분포에 난류 강도가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다.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모래의 입도 분포가 로그 정규 분포를 따를 것이라는 가정을 적용하여 난류의 영향을 고려하는 부유사의 입도 분포 모형이 개발되었다. 부유사의 입도 분포는 흐름의 유사 이송 능력에 따라 분포의 표준 편차와 같은 물리량이 변화할 것으로 예측되는데, 흐름 내 유사의 이동과 흐름의 유사 이송 능력을 함께 고려하기 위해 개발되는 유사의 입도 분포 모형은 유사 이동 모형과 결합된다.

  • PDF

Study on Preliminary Design of Fuel Transfer Jet Pump Using SIMULINK (SIMULINK를 이용한 연료 이송용 제트펌프 기본 설계에 관한 연구)

  • Kong Chang-Duk;Park Jong-Ha;Han Dong-Jo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 /
    • v.10 no.1
    • /
    • pp.38-43
    • /
    • 2006
  • In the present study, preliminary design and analysis for a jet pump, which is able to transfer fuel from the tank to the engine, were performed as an aerospace component technology development project. The jet pump is a core part, which is normally installed in the fuel tank, to supply the fuel from the tank to the engine feed pump, or to transfer the feed between tanks. In order to design preliminarily installed in the jet pump, equations for design were modelled using SIMULINK, and the design was carried out based on the simulation model.

Comparison of adaptation length coefficient equations for nonequilibrium sediment transport simulation (비평형 유사이송 모의를 위한 적응거리계수 산정 공식 비교)

  • Jeong, Anchul;Kim, Seongwon;An, Hyunuk;Jang, Chang-Lae;Jung, Kwansu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76-76
    • /
    • 2018
  • 하천에서의 유사이송과 하상변동을 분석하는 대표적인 방법으로는 현장에서 유사량이나 하상고를 측정하여 분석하는 실측에 의한 방법, 수리모형 실험과 수치모형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이 중에서 실측에 의한 방법은 시간과 비용의 한계로 수치해석모형을 이용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 지고 있다. 현재까지 개발된 다양한 하상변동 수치모형들은 유사이송 상태를 평형 유사이송 상태를 가정하고 개발되어 왔다. 평형 유사이송은 흐름과 하상재료 등의 조건이 발생시킬 수 있는 유사이송능력과 실제 유사이송률이 동일하다고 가정하는 것이다. 그러나, 실제 유사이송에서는 흐름 및 지형 등의 변화에 따라서 지속적으로 새롭게 형성되는 유사이송능력에 실제 유사이송률이 빠르게 도달하지 못하면서 유사이송능력과 유사이송률 사이에 시 공간의 격차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상황을 비평형 유사이송이라고 하며 지속적인 하상 상승 및 저하가 발생하는 구간, 댐과 같은 구조물에 의해서 유사의 연속성이 차단되는 구간, 하상재료가 불연속한 구간 등에서 주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비평형 유사이송을 수학적으로 모의하기 위한 대표적인 방법에는 적응거리계수와 회복계수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위의 계수들은 흐름 및 하상 특성을 이용하여 공간에 대한 유사이송의 지체현상을 고려하는 방법으로 이를 산정하기 위한 다양한 공식들이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각 공식들에 의해서 제시되는 값에 많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실내실험과 수치실험을 통해서 평형/비평형 유사이송 및 집중형/분포형 적응거리계수를 고려한 모의 결과를 비교하였으며, 적응거리계수 산정공식에 따른 비평형 유사이송 모의 결과를 비교하였다. 본 연구에서 적용한 실내실험에 대해서는 평형 유사이송보다는 비평형 유사이송을 고려한 경우와 비평형 유사이송 공식을 이용하여 적응거리계수를 분포형 매개변수로 이용하는 경우가 실제 하상변동 모의 결과에 더 근접한 수치실험 결과를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