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이송속도 제어

Search Result 79,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Design of Levitation and Propulsion Controller for Magnetic Levitated Logistic Transportation System (자기부상 물류이송시스템의 부상 및 추진제어기 설계)

  • Choi, Dae-Gyu;Kim, Yong-Tae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 /
    • v.27 no.2
    • /
    • pp.106-112
    • /
    • 2017
  • In the paper, we propose a levitation and a propulsion controller for the magnetic levitation logistic transportation system. The levitation controller is designed considering the mutual influence of the electromagnets to minimize roll and pitch movements. In order to solve the structural disadvantages of the magnetic levitation transportation system, we improve the problem of the existing controller by applying the exponential filter to the reference input. DSP-based control hardware is developed and the levitation control method is verified by levitation experiments to the air gap goal. The propulsion controller uses the space vector voltage modulation method. The propulsion controller is designed to follow the position and velocity profile by detecting the absolute position from the bar code information attached to the rail. The position control result shows satisfactory performance through the propulsion control reciprocating motion experiment.

Sliding-Mode Control of Container Cranes (컨테이너크레인 시스템의 슬라이딩모드제어)

  • Lee Suk-Jae;Park Hahn;Hong Keum-Shik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 /
    • v.29 no.8 s.104
    • /
    • pp.747-753
    • /
    • 2005
  • In this paper, as an anti-sway control strategy of container cranes, we investigate a variable structure control in which the moving load follows a given trajectory, whereas both the trolley and hoist controllers achieve their positioning problems. It is crucial, in an automated container terminal, that collisions should be avoided during the transference of containers from one place to another. It is also necessary, in the case of a quay crane, to select suitable loading and unloading trajectories of containers, so that possible collisions with surrounding obstacles are avoided. After a brief introduction of the mathematical model, a robust control scheme (i.e., a second-order sliding mode control that guarantees a fast and precise transference and a suppression of the resulted swing) is presented. Despite model uncertainties and unmodeled actuators dynamics, the swing suppression from the given trajectory is obtained by constraining the system motion on suitable sliding surfaces, which include both the desired path and the swing angle. The proposed controller has been tested with a laboratory-size pilot crane. Experimental results are provided.

A Study on the Control of Micro Drilling by the GA-based Fuzzy Interence (GA-based Fuzzy 추론에 의한 미세드릴가공의 제어에 관한 연구)

  • 백인환;정우섭;권혁준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5.04b
    • /
    • pp.64-68
    • /
    • 1995
  • 미세드릴가공은 최근의 공업제품의 소형 경량화 추세로 인해 수요가 급증하고 있으나 가공시에 있어서 많은 난 점이 존재 하기 때문에 강도 높은 가공기와 숙련된 가공전문가를 필요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미세드릴가공을 수행하기 위해 우선 절삭상태 검출방법으로써 실용적이고 가공상황에 간섭을 일으키지 않는 주축용 모터의 전류 값을 이용하며 제어기 설계를 위해 퍼지추론과 유전알고리즘 이론을 도입한다. 이러한 지능형 가공방법을 미세 드릴가공에 구현하기 위해서 오프라인으로 안정한 가공조건을 초기화한 다음 퍼지제어기를 이용하여 일정한 절삭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실시간으로 이송속도를 제어하며 가공상황 변동에 따른 적절한 퍼지규칙을 자기 동조하는 최적화 알고리즘을 제안한 후 실제가공을 통하여 미세드릴가공의 특성과 제어기의 성능을 평가한다.

  • PDF

Machining Technology of Scroll shape by Feed control method (이송속도 제어를 통한 스크롤 형상의 가공기술)

  • 심상우;강명창;김정석;정현출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Machine Tool Engineers Conference
    • /
    • 1999.05a
    • /
    • pp.123-127
    • /
    • 1999
  • This paper suggests the establishment of high-accuracy and high-efficiency machining method of scroll shape workpiece by using the feed control method. The cutting paths for machining the inside and outside surfaces of the scroll-shape workpiece are calculated, and the calculation method of the cutting chip areas based on the coordinate of the base circle is shown. A feed control method is proposed for a constant cutting area and cutting force. By machining test of scroll shape workpiece, The machined accuracy of wrap, tool wear, and surface roughness are evaluated. By this method, Reduction of the machining time and large increase of the efficiency can be expected.

  • PDF

진공 플라즈마 용사코팅시 분말 이송가스 유량이 적층효율에 미치는 영향

  • Jeong, Yeong-Hun;Nam, Uk-Hui;Byeon, Eung-S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4.02a
    • /
    • pp.161-161
    • /
    • 2014
  • 열플라즈마는 주로 아크 방전에 의해 발생시킨 전자, 이온, 중성입자(원자 및 분자)로 구성된 부분 이온화된 기체로, 국소열평형상태를 유지하여 구성입자가 모두 수천에서 수만도에 이르는 같은 온도를 갖는 고속의 제트 화염 형태를 이루고 있다. 이렇게 고온, 고열용량, 고속, 다량의 활성입자를 갖는 열플라즈마의 특성을 이용하여, 종래 기술에서는 얻을 수 없는 다양하고 효율적인 산업적 이용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용사코팅은 노즐 출구를 통해서 외부로 방출되는 열 플라즈마 화염을 이용하는 것으로 이 화염의 와류 특성으로 인하여 외기의 가스가 화염내부로 침투하는 특성을 가진다. 이러한 현상은 열원의 냉각효과 외에도 외기를 구성하는 기체 분자의 내부 유입을 의미하는 것으로 대기 상태에서 공정이 이루어진다면 열원 내로 유입되는 대기 내의 산소가 모재 표면과 반응하여 산화가 진행된다. 이러한 산화과정은 용사 코팅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므로, W, Ti 등과 같은 반응성이 높은 재료의 코팅은 산화과정을 방지하기 위하여 진공에서 코팅을 하여야만 한다. 진공 플라즈마용사코팅은 진공 또는 저압의 불활성 분위기 중에서 열플라즈마 화염에 용사재료를 투입하여 플라즈마 화염 내부에서 순간적으로 이를 용융시킨 후 고속으로 분출, 모재에 적층시키는 코팅공정이다. 이때 분말상의 용사재료를 고속으로 화염 중심에 투입하여 최대 에너지 전달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적층효율 및 코팅품질을 향상에 필수적이다. 하지만 플라즈마 화염 내부를 고속으로 이동하는 입자의 온도와 속도 및 궤적을 측정하여 제어하는 것은 매우 어렵기 때문에, 통상 형성된 코팅의 구조와 두께로부터 경험적으로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초고속 레이저 카메라와 이미지 분석용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플라즈마 화염내의 비행입자 궤적을 추적하고, 이를 통해 분말 이송가스의 유량이 코팅 효율 및 미세구조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플라즈마 화염은 중심부가 가장 높은 온도와 속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분말 이송가스의 유량이 적을 경우 투입된 분말은 단지 플라즈마 화염의 상부 경계면을 지나는 궤적을 갖게된다. 이로 인해 분말의 용융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아 적층 효율이 낮고 미용융 입자 및 기공이 많은 미세구조를 보였다. 이송가스 유량을 증가시키게 되면, 분말의 궤적은 플라즈마 화염의 중심부를 지나게 되어 적층 효율이 증가하고 미세구조 또한 개선되었다. 하지만 이송가스 유량이 지나치게 클 경우, 투입된 분말 입자는 플라즈마 화염을 조기에 관통하게 되어 비행궤적은 온도와 속도가 낮은 영역에 형성되었다.

  • PDF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Surface Waviness by Cutting Force Control (밀링머신의 절삭력 제어를 통한 표면굴곡도 향상에 관한 연구)

  • 오준호;정충영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 /
    • v.12 no.2
    • /
    • pp.206-214
    • /
    • 1988
  • To improve the surface waviness in the peripheral milling, the feedrate is controlled so that the cutting force measured in the normal direction to the workpiece is constant. A discrete time first order model between the feedrate and the tool deflection is derived for the control. It has been shown by the analysis that the tool deflection is directly related to the feedrate and largely affects the surface waviness during cutting.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n that the surface waviness is drastically improved by the proposed methods.

Cutting Force Regulation in Turning Using Sliding Mode Control (슬라이딩 모드 제어기를 응용한 선삭공정 절삭력 제어)

  • 박영빈;김종원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6.11a
    • /
    • pp.605-609
    • /
    • 1996
  • Continuous sliding mode control is applied to turning process for cutting force regulation. The highest feedrate compatible with the allowable cutting force is applied in rough cutting process such that maximum productivity is ensured and tool breakage is avoided. The programmed feedrate is overridden after the control algorithm is carried out. However, most CNC lathe manufacturers offer limited number of data bits far feedrate override, thus resulting in nonlinear behavior of the machine tools. Such nonlinearity brings “quantized” effect, and the optimal faedrate is rounded off before being fed into the CNC system. To compensate for this problem, continuous sliding mode control is applied. Conventional switching control law at a sliding surface is replaced by a smooth control interpolation in a selected boundary layer to avoid the excitation of high-frequency dynamics. Simulation results are presented in comparison with those obtained by applying adaptive control.

  • PDF

Driving method of PMLSM by using analog current controller (아날로그 전류제어기를 이용한 영구자석 선형동기전동기의 추진제어)

  • Kim, chan;Lee, Kichang;Song, Euiho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4.07a
    • /
    • pp.120-121
    • /
    • 2014
  • 장거리 이송이 가능한 선형동기 전동기 구조를 제안하고, 수학적 모델링을 하였으며, PI제어기를 포함하는 제어알고리즘을 제안하여, 실험으로 그 결과를 확인하였다. 추진제어기의 출력은 Park's, Clake's Transformation을 이용하여 코일을 구동하는 전류 명령을 발생시켰으며 개별 코일을 독립적으로 구동하는 아날로그 전류제어기를 OP-Amp로 구현하였다. 실험결과는 속도 오차는 4 ~ 10% 이하의 결과를 얻었다.

  • PDF

원통연삭에 있어 비가공시간 단축기술

  • 김선호;박화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4.10a
    • /
    • pp.103-107
    • /
    • 1994
  • 본 연구에서는 원통 프런지 연삭에서 비가공시간을 줄이기 위해, 공연삭시간 단축과 드레싱 신호를 이용한 숫돌 손상상태 검출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삭기의 심압대에 설치한 AE센터와 숫돌 덮개에 설치한 초음파센서를 이용해 공연삭, 공작물과 숫돌의 근접, 접촉상태를 감시하고 이에 대응해 적절히 이송속도를 제어했다. 그리고 드리싱시 나타나는 AE 신호의 표준편차를 이용해 숫돌의 손상상태를 검출해서, 드레싱 기회에 대한 효과적인 정보를 제공합으로써 비가공 시간을 단축했다.

  • PDF

Implementation of NURBS interpolator (NURBS 보간의 적용)

  • 최인휴;양민양;이강주;김찬봉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2.10a
    • /
    • pp.51-54
    • /
    • 2002
  • This paper deals with an implementation of NUBS interpolator and presents the process of its integration into PC-NC. For more accurate feed, NURBS algorithm is improved. Also, Evaluation of real time NURBS interpolator is provided to verify fred accuracy and geometrical accuracy of NURBS curve. NURBS machining of fee surface is simulated on the real time NC simulator so that machining time is compared to that of linear path machining.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