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이상적 자아

검색결과 45건 처리시간 0.028초

남녀 중학생의 체형인식 및 식생활 태도와 자아존중감 (Body Perception, Dietary Attitude and Self-Esteem in Middle School Boys and Girls)

  • 김정순;김영남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23-139
    • /
    • 2009
  • 경기도 부천 지역에 소재한 중학교 1, 2, 3학년 남녀 학생 1,030명을 대상으로, 2008년 7월 14일부터 7월 21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V.12.0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자신을 좀 더 비만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남학생에 비해 좀 더 마른 체형을 이상적 체형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자각체형과 실제 비만도를 비교하였을 때, 절반 가량의 학생이 자신의 체형에 대하여 왜곡되게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이 가운데 30% 가량은 실제 상태보다 뚱뚱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대체적으로 여학생이, 그리고 비만할수록 현재의 체중에 대하여 불만족 경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식생활태도 점수는 여학생이 남학생 보다 낮았으며, 남녀 각각 비만도 집단별 차이는 없었다. 셋째, 자아존중감 점수는 비만도 집단별로 차이가 나타나 저체중집단이 가장 높았고, 비만집단이 가장 낮았다. 성별 차이는 저체중집단에서만 나타났으며,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자아존중감 점수가 높았다. 넷째, 체형인식, 식생활태도, 자아존중감은 남녀 학생 각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자신의 체형에 대한 인식이 부정적일수록, 식생활태도가 좋지 않을수록 자아존중감도 낮았다.

  • PDF

여대생의 주관적 체형 인식에 미치는 영향 (Factors affecting subjective body shape perception among female university students)

  • 차혜경;류언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1호
    • /
    • pp.425-436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여대생의 주관적 체형 인식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여대생 12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3.0을 이용하여 피어슨 상관관계, 다중 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여대생의 주관적 체형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 신체만족도, 자아존중감, BMI으로 확인되었고 설명력은 56.0%이었다. 구체적으로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가 높을수록, 신체만족도가 낮을수록, 자아존중감이 낮을수록, BMI가 높을수록 여대생의 주관적 체형 인식은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는 주관적 체형 인식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설명되었다. 체형 인식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자신의 체형을 있는 그대로 지각하고 실제 체형을 수용하여 자신의 체형에 대해 만족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을 갖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또한 이상적 체형 기준을 강요하는 사회 분위기 개선이 필요하다.

가정과 교과서에 나타난 청소년의 신체이미지 내용 분석 (The Content Analysis about Body Image in Adolescents of the Textbooks of Home Economics Education)

  • 이혜진;이유리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87-104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자아개념을 구성하는 신체이미지를 긍정적으로 형성할 수 있는 가정과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가정과 교육에 적용할 수 있는 청소년의 신체이미지 형성 모형을 마련하고, 형성 모형을 바탕으로 하여 가정과 교과서에 나타난 청소년의 신체이미지 내용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및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신체이미지 형성 모형을 통해 교과서를 분석하기 위하여 신체이미지 교육 내용을 신체이미지의 개념과 구성요소, 신체이미지와 자아개념 형성, 신체이미지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신체관리행동 등 4가지로 범주화하였고, 이를 다시 신체이미지의 정의, 신체이미지의 구성요소, 자아존중감 형성, 자아개념 형성, 이상적 기준, 사회 문화적 요인, 합리적 신체관리행동, 신체관리 문제 행동 등 8가지로 세분화하였다. 둘째, 청소년의 신체이미지 형성 모형의 범주화 및 세분화 항목을 바탕으로 교과서를 분석한 결과, 식생활, 의생활, 아동 가족생활 세 영역 모두 청소년의 신체이미지를 다루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각 영역 및 개별 교과서에 따라 신체이미지의 부분적 개념만을 제시하거나, 한 영역에서만 제시하였기 때문에 청소년의 신체이미지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학습자가 사회 문화적 영향으로 인한 개인의 신체 인지 및 행동 양상을 총체적으로 파악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학습자의 총체적 학습을 위한 교과서의 통합적 내용 구성과 함께 교과서 내용의 균형이 필요할 것이다.

"의종금감(醫宗金鑑).정골심법요지(正骨心法要旨)"의 "외치법(外治法)"에 대한 연구

  • 김영하;육상원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47-64
    • /
    • 2006
  • 籬위제고화가심대청대정골추나요법적인식화이해(爲提高和加深對淸代正骨推拿寮法的認識和理解), 특선어차방면의의교심차유의사문환가치적(特選於此方面意義較深且有醫史文歡價値的) ${\ulcorner}$의종금감(醫宗金鑑) 정골심법요지(正骨心法要旨)${\lrcorner}$ 중적(中的) ${\ulcorner}$외치법(外治法)${\lrcorner}$ 진행료연구(進行了硏究), 획득여하연구결과(獲得如下硏究結果). 기수법총론부분(其手法總論部分), 파요지규정료정골수법적정의급기중요성(擺要地規定了正骨手法的定義及其重要性), 후유증적예방(後遺症的預防), 안환자원기강약이수요주의적사항(按患者元氣强弱而需要注意的事項), 정골의생적기본공화심이소질등문제(正骨醫生的基本功和心理素質等問題). 기정골수법부분(其正骨手法部分), 포괄모(包括模) 접(接) 단(端) 제(提) 접(按) 나(摩) 추(推) 나등팔법(拿等八法), 각법지적응증용현대용어해석여하(各法之適應症用現代用語解釋如下): 모법용어촉진(模法用於觸診), 접법용어골절치료(接法用於骨折治療), 단법용어탈위치료(端法用於脫位治療), 제법용어견인법(提法用於牽引法), 안마법용어연조직손상화골착건적치료(按摩法用於軟組織損傷和骨錯鍵的治療), 추나법용어절적운동(推拿法用於節的運動) 부리화관절적부완전결합적치료(不利和關節的不完全結合的治療). 기기구총론부분(其器具總論部分), 개소료십종정골치료용기구(介紹了十種正骨治療用器具), 각종기구적적응증급기효능용현대용어해석여하(各種器具的適應症及其效能用現代用語解釋如下): 이렴구유보호환부적효과(裏簾具有保護患部的效果), 진정용어동통(振挺用於疼痛) 부종(浮鍾) 경결적치료(硬結的治療), 피견용어견관절탈구적고정료법(被肩用於肩關節脫臼的固定療法), 격색속어리용자아체중적견인료법(擊索屬於利用自我體重的牽引療法), 루관속어분부동계단이용자아체중진행견인적료법(壘觀屬於分不同階段利用自我體重進行牽引的療法), 통목속어포추지압축성골절적래목치료용구(通木屬於胞推之壓縮性骨折的來木治療用具), 요주구유대요추골급기근육이상적부가보호대효과(腰柱具有對腰推骨及其筋肉異常的附加保護帶效果), 죽렴용어골절적고정치료(竹簾用於骨折的固定治療), 삼리구유대골절적쌍중고정효과(杉籬具有對骨折的雙重固定效果), 포슬구유대슬관절적고정효과(抱膝具有對膝關節的固定效果).

  • PDF

웹툰 <화산귀환> 주인공 개성화 과정 연구 (A Study on the Individuation Process of the Protagonist in the Webtoon <Return of the Blossoming Blade>)

  • 임소영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12권9호
    • /
    • pp.152-158
    • /
    • 2023
  • 이 연구는 웹툰 <화산귀환>을 통해 제시되는 주인공 '청명'의 의식과 무의식, 개성화 과정을 융의 개성화 과정 이론에 접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은 성공한 웹소설을 기반으로 다양한 성별과 연령대의 독자층을 형성하고 있는 웹툰 <화산귀환>을 선정하였다. 융의 개성화 과정 이론에 접목하여 분석한 <화산귀환> 주인공의 개성화 과정은 첫째, 주인공의 자아는 무의식에서 파생된 그림자로부터 발생하였다. 둘째, 주인공의 페르소나는 현실에서는 사회적이며 긍정적이지만, 개인적인 페르소나는 드러낼 수 없는 그림자로 나타났다. 셋째, 주인공의 아니마/무스는 깊은 의식 내면과 현실을 연결하며, 페르소나와 보완적 관계에 있다. 넷째, 주인공의 자기(Self)는 총체적인 이상적인 인간과 화산의 근본을 상징한다. 주인공은 끊임없이 반복적으로 의식과 무의식의 통합과정을 거치면서 보상받는 과정에서 자기실현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대시조 주제에 대한 비평적 고찰 (A critical study on the themes of modern Sijo)

  • 최재선
    • 한국시조학회지:시조학논총
    • /
    • 제25집
    • /
    • pp.49-73
    • /
    • 2006
  • 이 글은 현대시조의 다양한 주제 양식에 대한 관심에서 시작하여 시조의 제재를 시인의 자아, 혹은 인간사의 내면에 깃든 근원적 문제에 천착해 주제로 형상화한 작품을 세 가지 영역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첫째, 자아성찰과 시인의 자의식과 시인의식을 주제로 다룬 시조에는 메타시조 형식의 시, 시 쓰기에 대한 '시론'격의 작품 등이 있다. 시인 자신이 자아에 대한 인식이 치열할수록 현실적 자아와 이상적 자아 사이의 갈등을 통해 '부끄러움'을 느끼지만 이를 극복하고 의미 있는 시를 창작하고자 하는 진지한 자세와 시인의식 이 주제로 표출된다. 둘째, 인간이 직면할 수밖에 없는 죽음의 문제를 다룬 시조는 죽음의 타나톱시스(Thanatopsis: 사관(死觀))를 표현한다 그러나 죽음에 대한 철학적 성찰과 깊은 담론보다는 직정적인 감정과 죽음에 대한 단상들이 표현되고 있어 이러한 주제에 대한 형상화는 운문보다는 산문의 영역에서 보다 효과적으로 표현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죽음에 관한 다양한 제재가 시조의 영역에서 주제화되는 것은 현실적 삶의 태도를 돌아보고, 생의 깊은 이면에 깃들인 인간의 본질적 문제에 관심을 갖게 한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일이다. 셋째, 인간과 신에 대한 근원적 문제를 제기하는 주제의식은 주로 기독교적 세계관을 토대로 창작된 작품을 통해 나타난다. 이러한 주제를 다루는 시조의 경우 속악하고 부조리한 현실의 삶을 방관하는 신의 의지에 대한 항의와 불만, 이기적 욕망으로 인해 고뇌하는 인간의 모습을 그리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독교적 사유를 바탕으로 쓰인 시조에는 역설적으로 신의 섭리에 대한 순명이 나타난다. 이러한 유형의 시조는 기독교 세계관과 종교적 신앙을 주제로 표현할지라도 시인이 지닌 자유로운 시 정신과 창작태도가 있다면 생경한 종교적 언어에 함몰되지 않고. 호교적 신앙시로 축소되지 않을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위에서 살펴본 몇 가지 주제들은 우리 시조의 관심을 피상적인 현실의 문제를 넘어 생의 깊은 국면으로 전환해 그 이면에 깃들인 인간의 자아의식과 고독, 삶과 죽음, 절대적 존재에 대한 물음 등을 다루고 있다는 점에서 시인의식의 지평을 넓히고 현대시조의 주제 의식을 심화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PDF

화장품 광고에 표현된 현대 여성의 이상적 자아 이미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elf Images of Women in Cosmetics Advertisement)

  • 이선희;박성은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277-285
    • /
    • 1997
  • The prupose of this study were to: (1) Analize the contents o( the cosmetics advertisements, (2) Compare the ideal woman images perceived by women with the women images profected through models used in the cosmetics advertisements, (3) Compare the ideal clothing images perceived by women with the clothing images profected through models used in the cosmetics advertisemtnts, and (4) Study and analise the purchase patterns of the women in theirtwenties.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selected from students attending the Ewha Women's University. The study was done through video presentation, and questionnaire based on several previous studies, For the analysis of data, SPSS statistical packages were used. The results of emprical studie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As the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current cosmetics advertisenents, the copies were mostly sentimental and short, the models mostly were casual dresses and their attitudes were active and natural for the most part. 2. The result of comparison between the images of women shows noticeable difference in that, the women tend to idealize independent intellectual and refined woman where as the models tend to be free, airy, outgoing and cute. 3. The ideal clothing images perceived by women tendto be intellectual, dignified, and neat, while the clothing worn by the models tend to be casual, cute, and sexy, thus showing noticeable discrepancy.

  • PDF

시설청소년을 위한 예비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Pre-parent Education Program for Adolescents in the Residential Care)

  • 배은숙;강기정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12권2호
    • /
    • pp.173-190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pre-parent education program and its application to adolescents in residential care.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 will be used in the evaluation of the program's effectiveness: a change in self-esteem of the adolescents in residential care and a change in defining an ideal family. With these research questions, a survey of the requirements for its contents and previous studies were researched, and adolescents in residential care participated in the program in 12 sessions of 4 stages. The research showed a meaningful change of p>.001 for self-esteem and the ideal family in pre, post-test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That proved the effectiveness of the pre-parent education program. Observing the experimental group's change process, the researcher proved the following results. At the beginning of the program experimental group showed hopelessness and disliked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At the end of this, they had active attitudes, confidence and challenge to the vision. This study contains theory and various practical family activities. This study made a contribution to help adolescents in residential care enhance self-esteem and define the future ideal family.

  • PDF

신체 통제에 대한 신념이 외모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미국 여대생을 대상으로 (The Influence of Belief in Body Control on Appearance Satisfaction of U.S. Female College Students)

  • 이윤정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8권7호
    • /
    • pp.974-982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belief in body control on appearance satisfaction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self-esteem was included as a common predictor variable of belief in body control and appearance satisfaction, and the ideal body type and perceived body type were included as mediator variables. The data was collected from 96 female college students in the State of Washington, United States, Using AMOS 4,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were conducted to fit the measurement models, and then the fit of the structural model was examin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indirect effect of belief in body control on appearance satisfaction through its negative effect on ideal body type was significant. Yet, the direct path of belief in body control to appearance satisfaction and the indirect path through their common relationships with self-esteem were found not significant. These results indicate that higher body control belief may lead to lower appearance satisfaction due to the decreased size of ideal body type.

애니메이션 캐릭터의 브랜드개성과 소비자개성 연구 - 브랜드개성과 소비자개성의 일치성이 브랜드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Study on the brand personality of animation character and the consumer's personality)

  • 임병우
    • 디자인학연구
    • /
    • 제19권1호
    • /
    • pp.141-150
    • /
    • 2006
  • 애니메이션에 등장하는 캐릭터들은 시청자와의 상호적 교감을 통해 본질의 속성은 사라지면서 의도된 개성을 갖게 된다. 이러한 개성은 시각적으로 표출되었을 때 브랜드 아이덴티티로 형성되며 결국 애니메이션 산업을 고부가가치 창출요인으로 이끄는 강력한 브랜드자산이 된다. 브랜드자산인 캐릭터의 브랜드 아이덴티티는 라이선싱을 통해 다양한 상품에 활용될 수 있으며 브랜드연상과 레버리지 효과의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이유에서 본 연구에서는 애니메이션 캐릭터를 브랜드 관점 특히, 브랜드에 연관되어지는 인간적 특성으로 정의되는 아커(J. Aaker)의 브랜드개성 연구의 결과인 브랜드 개성척도를 활용하여 실증적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브랜드와 소비자의 개성이 일치할수록 브랜드태도가 좋아진다는 써지(Sirgy)의 연구결과에 근거해 애니메이션과 브랜드 그리고 소비자와의 상관관계를 규명하였다. 연구결과, 애니메이션 캐릭터는 세련/능력, 성실, 흥미 요인의 개성 차원을 갖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소비자개성을 실제적 자아이미지와 이상적 자아이미지로 나누어 설문조사 한 결과 애니메이션 캐릭터의 브랜드개성은 이들 사이에 존재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