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이산지형정보

Search Result 11,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A Study on the Interpolation Characteristics of the Scattered Geographic Data according to the Gridding methods (격자화 기법에 따른 이산지형정보의 보간특성 연구)

  • Lee, Yong-Cha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4 no.2 s.8
    • /
    • pp.173-180
    • /
    • 1996
  • In a grid based data transformation, the different gridding methods provide different interpretations of scattered data because each method calculate grid node values using a different weighted mathematical algorithm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interpolated characteristics of some gridding methods according to search distance, search area and search options before determing the best method with a data set. For this, in this paper, six different gridding methods with the same search conditions are applied to a scattered data obtained from sterro-plotter. The interpolated characteristics of the scattered geographic data considered through comparison of coincidence between the data point and the grid node being interpolated. And also, shows the real application of gridding methods through calculating volumes and creating cross sections.

  • PDF

A Study on the Simulated Radar Terrain Scan Data Generated from Discrete Terrain (이산지형정보에서 생성된 레이다 모의 지형 스캔 정보에 관한 연구)

  • Seunghun, Kang;Sunghyun, Hahn;Jiyeon, Jeon;Dongju, Lim;Sangchul, Lee
    • Journal of Aerospace System Engineering
    • /
    • v.16 no.6
    • /
    • pp.1-7
    • /
    • 2022
  • A simulated radar terrain scan data generation method is employed for terrain following. This method scans the discrete terrain by sequentially radiating beams from the radar to the desired scan area with the same azimuth but varying elevation angles. The terrain data collected from the beam is integrated to generate the simulated radar terrain scan data, which comprises radar-detected points. However, these points can be located far from the beam centerline when the radar is far from them due to beam divergence. This paper proposes a geometry-based terrain scan data generation method for analysing simulated radar terrain scan data. The method involves detecting geometric points along the beam centerline, which forms the geometry-based terrain scan data. The analysis of the simulated radar terrain scan data utilising this method confirms that the beam width effects are accounted for in the results.

Design Methodology for Forest Fire Extinguishment Expert System (산불 진화 전문가 시스템 설계 방법론)

  • 임예환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Conference
    • /
    • 1998.10a
    • /
    • pp.51-56
    • /
    • 1998
  • 본 연구는 산림, 기상, 지형, 소방 정보 등을 토대로 최적의 산불 진화 전략 수립을 위한 산불 진화 전문가 시스템의 설계 방법론 제시를 주목적으로 한다. 기존의 산불 정보 시스템들은 GIS 데이터와 기상 관련 데이터, 산불 발생 지점에 대한 지형 데이터를 이용하여, 산불 확산에 따른 피해 정도 및 확산 범위에 예측을 목표로 접근하고 있다. 그러나, 이를 활용하여 최적의 진화 전략을 생성시킬 수 있는 연구는 아직까지 제시된 바가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산불 정보 시스템을 기반으로 이산 사건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 기법, 규칙기반 SES (RUSES: Rule-based System Entity Structure), 그리고 유전 알고리즘 등을 이용하여 최적의 산분 진화 전략을 생성할 수 있는 산불 진화 전문가 시스템의 설계 방법론을 제안한다.

  • PDF

Development of Battle Space Model Based on Combined Discrete Event and Discrete Time Simulation Model Architecture for Underwater Warfare Simulation (수중운동체 교전 시뮬레이션을 위한 이산 사건 및 이산 시간 혼합형 시뮬레이션 모델 구조 기반의 전투 공간 모델 개발)

  • Ha, Sol;Ku, Namkug;Lee, Kyu-Yeul;Roh, Myung-Il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 /
    • v.22 no.2
    • /
    • pp.11-19
    • /
    • 2013
  • This paper presents the battle space model, which is capable of propagating various types of emissions from platforms in underwater warfare simulation, predicting interesting encounters between pairs of platforms, and managing environmental information. The battle space model has four components: the logger, spatial encounter predictor (SEP), propagator, an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models. The logger model stores brief data on all the platforms in the simulation, and the GIS model stores and updates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temperature and current speed. The SEP model infers an encounter among the platforms in the simulation, and progresses the simulation to the time when this encounter will happen. The propagator model receives various emissions from platforms and propagates these to other "within-range" platforms by considering the propagation losses and delays. The battle space model is based on the discrete event system specification (DEVS) and the discrete time system specification (DTSS) formalisms. To verify the battle space model, simple underwater warfare between a battleship and a submarine was simulated. The simulation results with the model were the same as the simulation results without the model.

A Design of Moved Dust Measurement Platform based on oneM2M (oneM2M 기반의 이동식 미세먼지 측정 플랫폼 설계)

  • Jo, Young-Chan;Kim, Jeo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1.11a
    • /
    • pp.148-151
    • /
    • 2021
  • 본 논문은 oneM2M을 활용하여 스마트시티의 일환으로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는 미세먼지(PM10, PM2.5) 측정 플랫폼을 설계하였다. 미세먼지 측정 디바이스를 이동식 차량에 부착하여 미세먼지가 측정이 되고 있지 않은 사각지대까지 범위를 넓혀 측정하였다. 또한 미세먼지뿐만 아니라 일상생활과 연관된 온도, 습도, 대기압, 휘발성 유기화합물(VOC), 일산화탄소(CO), 아황산가스(SO2), 이산화질소(NO2), 소음을 센서의 응답 시간에 따라 최소 10초 간격으로 수집하였다. 수집된 정보들은 미세먼지 측정 디바이스 기준으로 반경 1km내 격자모양으로 지형 화면에 실시간으로 표시하고 모니터링함으로서 동작성을 확인하였다.

Computational Analysis of Vortex Structures around Wall-Mounted Bluff Body in Boundary Layer (경계층 내에 위치한 각진 물체 주위의 와류 전산 해석)

  • Lee, Ju-Yong;Kim, Hyeon-U;Lee, Seung-Su
    • Proceeding of EDISON Challenge
    • /
    • 2013.04a
    • /
    • pp.354-359
    • /
    • 2013
  •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설계시 풍동 실험을 통한 풍환경의 평가를 수행하고 있으며, 이는 환경 영향 평가법에서 정한 건축 사업 시행 시 수반되어야 할 자연환경, 생활환경 그리고 사회경제환경의 영향 평가의 일환으로 실시되고 있다. 그러나, 풍동 실험의 경우 여러 가지 현실적 제약조건으로 설계와 실험의 피드백 (Feedback)이 원활하지 못하며, 특히 대상 건축물이 공장과 같이 대기 오염원이 되는 경우 실험은 더욱 어려운 형편이다. 이에 대한 보완책으로 전산 유체 역학을 이용한 건축물의 풍압 해석에 의한 풍하중 추정이나 인접 지형-지물의 영향을 고려한 건축물 주위의 풍환경 평가가 있다. 전산 모사에 의해 풍동 실험의 미비점을 보완하고, 보다 상세한 정보를 확보함으로써 건축물의 구조적 안전성의 증대와 환경 피해 감소를 기할 수 있다. 그러나 복잡한 지형-지물이나 건축물 주위의 풍환경에 대한 전산 모사는 주로 두 가지의 기술적 어려움을 수반하게 되다. 그 중 하나는 고정 경계면을 이루는 형상의 복잡성으로 인해 기존에 많이 이용하고 있는 Body-fitted 격자계를 이용하는 경우, 격자 생성 과정이 매우 복잡하고 어려울 뿐 만 아니라 생성된 격자가 주로 비정렬 (unstructured) 특성을 갖게 되어 수치해석 과정의 효율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며, 격자의 형상도 수치해석의 수렴성을 저하시키는 예가 많다. 다른 어려움으로 풍환경은 전형적인 난류 유동장으로서 난류의 전산 해석은 아직도 해결하지 못한 부분이 많다는 점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복잡한 지형-지물이나 건축물의 풍하중과 풍환경의 전산 모사 기술 확보를 위하여 수행중인 연구의 일환으로 물체 형상의 기하학적 복잡성의 극복을 위한 가상경계법 (Immersed Boundary Method)과 난류 유동장의 물리적 엄밀성을 높이기 위한 다와동 모사 (Large Eddy Simulation)을 이용한 물체 형상과 무관한 유동장 해석 기술 개발에 대하여 다루고자 한다. 먼저 최근에 유동 해석에 이용되는 방법인 가상경계법(IBM)은 물체를 포함한 전체 전산 영역을 직교 좌표계에 의해 이산화하고, 유동장내 존재하는 물체의 표면에서의 점착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지배 방정식에 적절한 외력을 추가로 고려하는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가상경계법을 이용하여 경계층에 위치한 건물 형상의 각진 물체 주위 사이에 형성되는 공동 내부의 비정상 유속 및 압력에 대한 전산 해석을 수행하고, 풍상측 전면에 형성되는 경계층에 의한 영향을 분석하였다.

  • PDF

Spatial analysis on forest fire occurrence with meteorological data (기상인자를 이용한 산불 발생 공간 분석)

  • Kwak, Han-Bin;Lee, Woo-Kyun;Lee, Si-Young;Won, Myung-Soo;Koo, Kyo-Sang;Lee, Myung-Bo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9.04a
    • /
    • pp.279-281
    • /
    • 2009
  • 우리나라 산불은 대부분 인간에 의해서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그것이 반드시 기상요인을 받지 않는다고는 볼 수 없다. 연중 대부분의 산불이 봄철 건조한 시기에 일어나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이처럼 산불 발생과 관련이 있는 기상인자 중 기온과 강수량, 습도를 중심으로 산불 발생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몇몇 독립변수들을 통제하기 위해 지형 지리 인자들이 분석에 포함되었다. 시간을 두고 발생하는 이산형 사건 분석에 적합한 포아송 회귀분석을 실시하기 위해 산불 발생 지점의 점 자료를 래스터화하여 사용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water cycle model for estimation of drought response capacity (물순환 모델을 활용한 가뭄 대응능력 평가 기법 개발)

  • Kim, Jin-Young;Kim, Jang Gyeong;Lee, Jeong Ju;Lee, Sang Yeol;Kwon, Hyun-H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361-361
    • /
    • 2020
  • 우리나라의 경우 강수량이 지역별로 편중되면서 국지적 가뭄이 발생하고, 지형적 특성으로 상습가뭄지역 피해가 확대되고 있다. 더불어 강수의 시기별 편차가 커지면서 봄 가뭄 증가 및 장기 기후변화 시나리오도 가뭄 발생 가능성 증가를 전망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 가뭄대응 대책 마련시 선제적인 가뭄대응 대책 마련보다, 사후복구·단기대책을 중심으로 가뭄대응능력을 추진하고 있어 예방중심의 가뭄대응능력의 한계점을 지니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선제적 예방 중심의 가뭄대응 전략을 위해 물순환 모델을 기반으로 수원별 가뭄대응능력을 평가하고, 지역별로 산정된 용수공급가능일수를 기반으로 수문학적 가뭄취약지도를 작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때 용수공급가능일수는 가뭄시나리오(20년, 30년, 50년 등)를 설정하여 시나리오별 공급가능일수를 평가하여 시공간적 가뭄취약성 분석이 가능한 모형으로 확장하였다. 수문학적 가뭄취약지도의 경우 정책결정자, 업무사용자 등 효율적 정보 제공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며, 지역별로 현안사항 도출 및 개선방안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Study of the ENC reduction for mobile platform (모바일 플랫폼을 위한 전자해도 소형화 연구)

  • 심우성;박재민;서상현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03.05a
    • /
    • pp.181-186
    • /
    • 2003
  • The satellite navigation system is widely used for identifying a user's position regardless of weather or geographic conditions and also make effect on new technology of marine LBS(Location Based Service), which has the technology of geographic information such as the ENC. Generally, there are conceivable systems of marine LBS such as ECDIS, or ECS that use the ENC itself with powerful processor in installed type on ships bridge. Since the ENC is relatively heavy structure with dummy format for data transfer between different systems, we should reduce the ENC to small and compact size in order to use it in mobile platform. In this paper, we assumed that the mobile system like PDA, or Webpad can be used for small capability of mobile platform. However, the ENC should be updated periodically by update profile data produced by HO. If we would reduce the ENC without a consideration of update, we could not get newly updated data furthermore. As summary, we studied considerations for ENC reduction with update capability. It will make the ENC be useful in many mobile platforms for various applications.

  • PDF

Waveform Decomposition of Airborne Bathymetric LiDAR by Estimating Potential Peaks (잠재적 피크 추정을 통한 항공수심라이다 웨이브폼 분해)

  • Kim, Hyejin;Lee, Jaebin;Kim, Yongil;Wie, Gwangjae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37 no.6_1
    • /
    • pp.1709-1718
    • /
    • 2021
  • The waveform data of the Airborne Bathymetric LiDAR (ABL; LiDAR: Light Detection And Ranging) system provides data with improved accuracy, resolution, and reliability compared to the discrete-return data, and increases the user's control over data processing. Furthermore, we are able to extract additional information about the return signal. Waveform decomposition is a technique that separates each echo from the received waveform with a mixture of water surface and seabed reflections, waterbody backscattering, and various noises. In this study, a new waveform decomposition technique based on a Gaussian model was developed to improve the point extraction performance from the ABL waveform data. In the existing waveform decomposition techniques, the number of decomposed echoes and decomposition performance depend on the peak detection results because they use waveform peaks as initial values. However, in the study, we improved the approximation accuracy of the decomposition model by adding the estimated potential peak candidates to the initial peaks. As a result of an experiment using waveform data obtained from the East Coast from the Seahawk system, the precision of the decomposition model was improved by about 37% based on evaluating RMSE compared to the Gaussian decomposition meth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