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이미지맵

Search Result 203, Processing Time 0.047 seconds

New Image Editor based on Combination of Bitmap and Vector Method (비트맵과 벡터방식을 혼합한 새로운 이미지 편집기)

  • 김진호;이규남;나인호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6 no.2
    • /
    • pp.288-293
    • /
    • 2002
  • It is possible to classify image data into two types according to the internal representation: one is bitmap, the other is vector. A bitmap image is represented by the two dimensional pixels whereas a vector image is represented by mathematical functions to draw vector objects such as line, rectangle and circle on the two or three dimensional space. So it is necessary for users to use a individual application program for each different image. In this paper, we present a method for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image editing tool based on combining of bitmap and vector image.

Synthesis of Near-Regular Vector Texture Patterns (규칙성을 가진 벡터 텍스처의 합성에 관한 연구)

  • Seo, Jae-Woo;Cordier, Frederic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2a
    • /
    • pp.487-493
    • /
    • 2007
  • 컴퓨터에서 사용되는 2D 이미지는 크게 비트맵과 벡터의 두 가지 표현 방식이 존재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이미지와 텍스처는 대부분 비트맵을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많은 텍스처 합성에 관한 연구 또한 비트맵 기반으로만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일부 분야들에서는 몇 가지 단점에도 불구하고 벡터 형식의 이미지를 선호하고 있으며, 비트맵이 가지지 못한 장점들과 현재의 충분한 컴퓨터 연산 능력을 고려해 볼 때 벡터 이미지의 필요성과 활용분야는 앞으로도 늘어날 것이라 생각된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벡터 형식으로 주어진 텍스처 패턴을 분석, 합성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안한다. 입력 받는 벡터 이미지는 몇 가지의 속성을 지닌 스트로크(Stroke)들의 집합으로서, 각각의 스트로크는 비트맵에서의 픽셀과 같이 기본적인 분석과 합성의 단위가 된다.

  • PDF

A study for efficient image use in the mobile contents development (모바일 컨텐츠 제작을 위한 효율적인 이미지 활용에 대한 연구)

  • Kim, Jeong-Hoon
    •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 /
    • v.5 no.1
    • /
    • pp.53-60
    • /
    • 2005
  • To produce deep, entertaining mobile content, a large number of images must be included. But because of the limits on runtime memory for mobile phones, images cannot be used as easily in a mobile environment as they are in a computer. Therefore in this paper, I propose several different methods for efficiently using images in a mobile environment. The various methods I propose for using images are: Creating images using compression/decompression and rotation/symmetry Creating images of several different colors by changing the palette index of a bitmap Creating images through image combination Creating background images by using tile maps Creating new images through effects.

  • PDF

Text Region Segmentation from Web Images using Variance Maps (분산맵을 이용한 웹 이미지 텍스트 영역 추출)

  • Jung, In-Sook;Oh, Il-Seok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9 no.9
    • /
    • pp.68-79
    • /
    • 2009
  • A variance map can be used to detect and distinguish texts from background in images. However, previous variance maps work at one level and they suffer a limitation in dealing with varieties in text size, slant, orientation, translation, and color. We present a method for robustly segmenting text regions in complex color Web images using two-level variance maps. The two-level variance maps work hierarchically. The first level finds the approximate locations of text regions using global horizontal and vertical color variances with the specific mask sizes. The second level then segments each text region using intensity variance with a local mask size, which is determined adaptively. By the second process, backgrounds tend to disappear in each region and segmentation can be accurate. Highly promising experimental results have established the effectiveness of our approach.

A Study on Implementation of Image Editing Tool based on Combining of Bitmap and Vector Image (비트맵과 벡터방식을 혼합한 이미지 편집도구 구현에 관한 연구)

  • 김진호;이규남;나인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1.10a
    • /
    • pp.165-168
    • /
    • 2001
  • It is possible to classify image data into two types according to the internal representation: one is bitmap, the other is vector. A bitmap image is represented by the two dimensional pixels whereas a vector image is represented by mathematical functions to draw vector objects such as line, rectangle and circle on the two or three dimensional space. So it is necessary for users to use a individual application program for each different image. In this paper, we present a method for designing and implementation of image editing tool based on combining of bitmap and vector image.

  • PDF

A Study of Brush Stroke Generation Using Color Transfer (칼라변환을 이용한 브러쉬 스트로크의 생성에 관한 연구)

  • Park, Young-Sup;Yoon, Kyung-Hyun
    • Journal of the Korea Computer Graphics Society
    • /
    • v.9 no.1
    • /
    • pp.11-18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회화적 렌더링에서 칼라변환을 이용한 브러쉬 스트로크의 생성에 관한 새로운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본 논문의 브러쉬 스트로크 생성을 위한 전체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두 장의 사진(한 장의 소스 이미지와 한 장의 참조 이미지)을 입력으로 하여 칼라 변환 이론을 적용하여 색상 테이블이 바뀐 새로운 이미지를 생성한다. 이 방법은 소스 이미지의 칼라 분포 형태를 창조 이미지의 칼라 분포 형태로 변환하기 위해, 선형 히스토그램 매칭이라 불리는, 간단한 통계학적 방법을 이용한다. 둘째, 가우시안 블러링과 소벨 필터를 이용하여 에지를 검출한다. 검출된 에지는 브러쉬 스트로크 렌더링 시 에지 부분에서 스트로크를 클리핑 함으로써 이미지의 윤곽선 보존을 위해 사용된다. 셋째, 브러쉬 스트로크의 방향을 결정하기 위한 방향맵을 생성한다. 방향맵은 입력 영상에 대한 영역 분할 및 병합을 토대로 만들어진다. 영역별 각 픽셀들에 대해 이미지 그래디언트에 기초한 일정한 방향을 부여함으로써 방향맵을 구성한다. 넷째, 구성된 방향맵을 참조하여 브러쉬 스트로크 생성의 기초가 되는 베지어 곡선(Bezier Curve)의 제어점(Control point)을 설정한다. 실제 회화작품에서 사용되는 브러쉬 스트로크는 일반적으로 곡선의 형태를 이루므로 곡선 표현이 가능한 베지어 곡선을 이용하여 브러쉬 스트로크를 표현하였다. 마지막으로, 생성된 브러쉬 스트로크를 에지부문에서 클리핑하고 배경색을 참조하여 블렌딩하거나 퐁 조명 모델을 이용하여 이미지에 적용하게 된다.

  • PDF

Text Extraction using Character-Edge Map Feature From Scene Images (장면 이미지로부터 문자-에지 맵 특징을 이용한 텍스트 추출)

  • Park, Jong-Cheon;Hwang, Dong-Guk;Lee, Woo-Ram;Kwon, Kyo-Hyun;Jun, Byoung-Min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6.05a
    • /
    • pp.139-142
    • /
    • 2006
  • 본 연구는 장면 이미지로부터 텍스트에 존재하는 문자-에지 특징을 이용하여 텍스트를 추출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캐니(Canny)에지 연산자를 이용하여 장면 이미지로부터 에지를 추출하고, 추출된 에지로부터 16종류의 에지-맵 생성한다. 생성된 에지 맵을 재구성하여 문자 특징을 갖는 8종류의 문자-에지 맵을 만단다. 텍스트는 배경과 잘 분리되는 특징이 있으므로 텍스트에 존재하는 '문자-에지 맵'의 특징을 이용하여 텍스트를 추출한다. 텍스트 영역에 대한 검증은 문자-에지 맵의 분포와 텍스트에 존재하는 글자간의 공백 특징으로 한다. 제안한 방법은 다양한 종류의 장면 이미지를 실험대상으로 하였고, 텍스트는 적어도 2글자 이상으로 구성된다는 제한조건과 너무 크거나 작은 텍스트는 텍스트 추출에서 제외하였다. 실험결과 텍스트 영역 추출률은 약 83%를 얻었다.

  • PDF

SOMk-NN Search Algorithm for Content-Based Retrieval (내용기반 검색을 위한 SOMk-NN탐색 알고리즘)

  • O, Gun-Seok;Kim, Pan-Gu
    • Journal of KIISE:Databases
    • /
    • v.29 no.5
    • /
    • pp.358-366
    • /
    • 2002
  • Feature-based similarity retrieval become an important research issue in image database systems. The features of image data are useful to discrimination of images.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high speed k-Nearest Neighbor search algorithm based on Self-Organizing Maps. Self-Organizing Maps(SOM) provides a mapping from high dimensional feature vectors onto a two-dimensional space and generates a topological feature map. A topological feature map preserves the mutual relations (similarities) in feature spaces of input data, and clusters mutually similar feature vectors in a neighboring nodes. Therefore each node of the topological feature map holds a node vector and similar images that is closest to each node vector. We implemented a k-NN search for similar image classification as to (1) access to topological feature map, and (2) apply to pruning strategy of high speed search. We experiment on the performance of our algorithm using color feature vectors extracted from images. Promising results have been obtained in experiments.

Applying the Identical Content to Various Types of Mobile Devices Using the Image Map Method (이미지 맵 방법을 이용한 다양한 모바일 단말기에서의 동일한 컨텐츠 적용)

  • Zhao, Mei-Hua;Seo, Chang-Woo;Ko, Hee-Ae;Lim, Young-Hwan
    • Journal of Internet Computing and Services
    • /
    • v.11 no.2
    • /
    • pp.173-184
    • /
    • 2010
  • The advancement of ubiquitous networks facilitates and increases access to the Internet via mobile devices, which offers the advantages of enhanced mobility and accessibility. While Mobile Internet is largely free of temporal and spatial restrictions, producing content for mobile websites is a challenging work due to the existence of multiple device types and markup languages. This paper proposes a technique that makes use of image maps to improve the visual consistency of mobile web content displayed on a variety of mobile devices. The proposed image map method captures several objects comprising the webpage into a single image, and provides the image in Mobile Web services. Mobile devices employing the proposed method can reorganize webpages with multiple objects more easily and obtain the visually identical content on their screen.

Enhancement of MSFC-Based Multi-Scale Features Compression Network with Bottom-UP MSFF in VCM (VCM 의 바텀-업 MSFF 를 이용한 MSFC 기반 멀티-스케일 특징 압축 네트워크 개선)

  • Dong-Ha Kim;Gyu-Woong Han;Jun-Seok Cha;Jae-Gon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22.11a
    • /
    • pp.116-118
    • /
    • 2022
  • MPEG-VCM(Video Coding for Machine)은 입력된 이미지/비디오의 특징(feature)를 압축하는 Track 1 과 입력 이미지/비디오를 직접 압축하는 Track 2 로 나뉘어 표준화가 진행 중이다. 본 논문은 Track 1 의 비전임무 네트워크로 사용하는 Detectron2 의 FPN(Feature Pyramid Network)에서 추출한 멀티-스케일 특징을 효율적으로 압축하는 MSFC 기반의 압축 모델의 개선 기법을 제시한다. 제안기법은 해상도를 줄여서 단일-스케일 압축맵을 압축하는 기존의 압축 모델에서 저해상도 특징맵을 고해상도 특징맵에 바텀-업(Bottom-Up) 구조로 합성하여 단일-스케일 특징맵을 구성하는 바텀-업 MSFF 를 가지는 압축 모델을 제시한다. 제안방법은 기존의 모델 보다 BPP-mAP 성능에서 1 ~ 2.7%의 개선된 BD-rate 성능을 보이며 VCM 의 이미지 앵커(image anchor) 대비 최대 -85.94%의 BD-rate 성능향상을 보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