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이동 평균법

Search Result 390,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Projection of the student number by logistic function and proportional moving average model (로지스틱함수모형과 비례이동평균모형에 의한 학생 수 추계와 분석)

  • Song, Pil-Jun;Kim, Jong-Tae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21 no.3
    • /
    • pp.503-511
    • /
    • 2010
  •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suggest an algorithm to get the number of student on the elementary, meddle and high-school for the forecasting of the numbers of student by the moving average method using a proportional expression. Comparing with the results of Korean education statistical system 2005, 2006, and 2007, the results of this paper are better than those of the Korean education statistical system.

Projections of the high-school graduate in Daegu·Gyoungbook (대구·경북지역의 고등학교 3학년 학생수 추계)

  • Kim, Jongtae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26 no.4
    • /
    • pp.907-914
    • /
    • 2015
  • Reduction in the number of students due to the low birth rate has notice very many changes in the national education polic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method for estimation of the number of students (the population) by age or grade promotion rate of progression rate to estimate the exact number of students (the population) by 2032. It was suggested the nth moving average proportional method and the weighted proportional moving average method as the method of population projections. It presents the means and standard deviations of the measurement errors of the suggested methods by Monte Carlo simulation. Measured in this study are predicted result was a phenomenon is estimated lower than the actual value.

Effects of filtering techniques for smoothing reservoir inflow data (저수지 유입량 자료 평활화를 위한 필터링 기법 적용 효과)

  • Youngje Choi;Jaehwang Lee;Moon Hyung Par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424-424
    • /
    • 2023
  • 댐, 저수지 등 수자원 시스템분석 시 가장 기초가 되는 유입량 자료는 실측 수위(저수량)와 방류량을 역산하여 산정된다. 이 중 댐 수위는 수표면 진동으로 인해 변동이 크며, 특히, 급격한 수위 변화가 발생하는 홍수기에는 수위-저수량 변환 시 큰 오차가 발생하여 유입량 진동이 더욱 커지게 된다. 하지만 홍수기 저수지 운영 효과 분석 등 관련 연구를 위해서는 시간 간격이 짧은 10분 또는 1시간 단위의 유입량 자료가 필요함에 따라 관련 연구 수행 시 이동평균법(Moving Average) 등을 통해 실측 유입량 자료를 보정하여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데이터 평활화를 위해 이동평균법을 적용하면 데이터의 변동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는 있지만 실측자료와 비교하였을 때 첨두 유입량이 큰 폭으로 감소하거나, 첨두 유입량 발생시간이 지체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는 저수지 유입량과 같이 변동이 큰 수문자료의 평활화를 위해 가우시안 가중 이동평균법(Gaussian-weighted moving average technique), 사비츠키-골레이 필터링기법(Savitzky-Golay filtering technique) 등 필터링 기법을 댐 유입량 보정에 적용하고, 이에 따른 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20년 8월에 발생한 홍수사상을 대상으로 충주댐, 합천댐 등 다목적댐 유입량 자료를 수집하고, 보정을 수행하였다. 필터링 기법의 적용 효과 분석을 위해서는 실측자료와 이동평균법을 적용하여 보정한 결과와 비교하였고, 추가적으로 비교적 변동이 작은 일 단위 유입량 자료와의 양적 비교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이동평균법을 적용하였을 때보다 필터링 기법을 적용하였을 때 실측자료와의 양적 차이가 작고, 첨두 유입량 및 첨두 유입 발생시간에서도 차이를 큰 폭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PDF

Average Correction for Compensation of Differential Column Shortening in High-rise Buildings (이동 평균법을 이용한 고층 건물의 부등축소량 보정 기법)

  • Park, Sung-Woo;Choi, Se-Woon;Park, Hyo-Seon
    • Journal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 /
    • v.23 no.4
    • /
    • pp.395-401
    • /
    • 2010
  • The vertical members of structures are shortened as time goes on. Because structures have been high-rising and atypical there should be different axial loads among vertical members and it causes differential column shortenings. The differential column shortening add stresses to connections, make slab tilt, and damage to non-structural components. To reduce these influences compensation is need. The rational compensation means the exact expectation of amounts of column shortenings and the reasonable corrections. The expectation of column shortenings are more exact as researched, however, there is little research about the compensation. This paper presents the average correction method and the constraints for differential column shortenings considering errors due to the construction precision. The relations between constraints and the number of correction groups give an objective criterion for decision of constraints.

Long Terms Baseflow Separation Using Moving Average Method (이동평균법을 이용한 장기간 기저유출분석)

  • Lee, Sang-Sin;Lee, Sang-Il;Kim, Joon-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233-1237
    • /
    • 2010
  • 강변여과는 지표수와 지하수가 각기 갖는 장점과 제약점을 상호 보완하여 수질이 양호한 상수원수를 대량 확보하기 위한 실제적 대안이다. 자연적인 여과작용에 의해 수질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어 경제적이고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지만, 장기간 취수는 지하수위의 저하를 가져 올 수 있으므로 유역의 수문분석을 통한 기저유출량 산정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대상지역으로는 현재 강변여과를 개발중인 창원시 대산정수장 취수장 지역이며, 대상지역의 기저유출량을 산정하기 위해 대상지역 상류에 위치한 낙동강 본포교의 낙동강 유량을 기초로 기저유출량을 산정하여 지하수 함양율을 평가하였다. 수문곡선 분리는 여러 방법 중 다른 방법보다 상대적으로 간편하고 실무에서 많이 사용되는 방법인 수평직선분리법을 사용하여 적정 취수 가능량을 산정하기 위한 최소 기저유출량을 산정하고자 한다. 이에 따라, 보유 자료 중 연 평균 최저 유출량을 보인 2008년 가을 갈수기의 시작(2008년 10월)부터 2009년 가을 갈수기의 시작(2009년 10월)까지의 자료를 분석했다. 본포교 유량 자료는 8일부터 10일 간격으로 측정되고 있기 때문에 결측치는 최인접 두 지점 사이의 선형보간법으로 보완했다. 다소 많은 양의 결측치에 대한 보정과 해당 유역의 연간 유출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서 이동평균(moving average)을 적용했으며, 적용 결과 관측 주기에 해당하는 10일 이동평균 유출수문곡선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이동평균에 의한 유출수문곡선에 의하면 상승부의 기점은 2009년 6월 12일로 나타났으며 유출량은 47.87cms로 나타났다. 따라서 총 기저유출량은 상승부 기점의 유출량으로 111일 동안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그 총량은 약 45,900만$m^3$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의 결과 본포교를 유역출구로 하는 이 유역에는 임의 유출이 생기는 호우사상 시, 기저유출량은 총 유출량의 6.38%를 최소한 기대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 PDF

Estimation of Forest Growing Stock by Combining Annual Forest Inventory Data (연년 산림자원조사 자료를 이용한 임목축적 추정)

  • Yim, Jong Su;Jung, Il Bin;Kim, Jong Chan;Kim, Sung Ho;Ryu, Joo Hyung;Shin, Man Yo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101 no.2
    • /
    • pp.213-219
    • /
    • 2012
  • The $5^{th}$ national forest inventory (NFI5) has been reorganized to annual inventory system for providing multi-resources forest statistics at a point in tim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statistical estimators for estimating forest growing stock in Chungcheongbuk-Do from annual inventory data. When comparing two estimators; simple random sampling (SRS) and double sampling for post-stratification (DSS), for estimating mean forest growing stock ($m^3/ha$) at each surveyed year, the estimate for DSS in which a population of interest is stratified into three sub-population (forest cover types) was more precise than that for SRS. To combine annual inventory field data, three estimators (Temporally Indifferent Method; TIM, Moving Average; MA, and Weighted Moving Average; WMA) were compared. Even though the estimated mean for TIM and WMA is identical, WMA-DSS is preferred to provide more smaller variance of estimated mean and to adjust for catastrophic events at a surveyed year (so-called "lag bias") by annual inventory data.

The Compensation Algorithm for Localization Using the Least-Squares Method in NLOS Environment (NLOS환경에서의 최소자승법을 적용한 위치인식 보정 알고리즘)

  • Jung, Moo-Kyung;Choi, Chang-Yong;Lee, Dong-Myung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37 no.4B
    • /
    • pp.309-316
    • /
    • 2012
  • The compensation algorithm for localization using the least-squires method in NLOS(Non Line of Sight) environment is suggested and the performance of the algorithm is analyzed in this paper. In order to improve the localization correction rate of the moving node, 1) the distance value of the moving node that is moving as an constant speed is measured by SDS-TWR(Symmetric Double-Sided Two-Way Ranging); 2) the location of the moving node is measured using the triangulation scheme; 3) the location of the moving node measured in 2) is compensated using the least-squares method. By the experiments in NLOS environment, it is confirmed that the average localization error rates are measured to ${\pm}1m$, ${\pm}0.2m$ and ${\pm}0.1m$ by the triangulation scheme, the Kalman filter and the least-squires method respectively. As a result, we can see that the localization error rate of the suggested algorithm is higher than that of the triangulation as average 86.0% and the Kalman filter as average 16.0% respectively.

A study on the comparison of accuracy of evaluation method of earthwork volume using on DTM (DTM에서 토공량의 산정방식에 따른 토공량의 정확도 비교)

  • 문일석;전재홍;조규전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13 no.2
    • /
    • pp.277-283
    • /
    • 1995
  • In the study, an accuracy of earthwork volume is evaluated according to different methods of the calculation with different criteria. The criteria applied to this study are a interpolation method, a grid intavals and the method of earthwork evaluation. A numerical test has performed on two different terrain models with four different methods of calculation in the earthwork volume and two different grid intervals. The end area method, prismoidal formular, Simpson's formular, and middle area method are applied to the calculation of the earthwork volume.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is showed that the moving average method with the first order term gives the most accurate result in interpolation, and that also the prismoidal formular and Simpson's formular gives more accurate result than average and area method and middle area method in the calculation of earthwork volume.

  • PDF

A Study on Predicting Volatility in the Foreign Exchange Market in Korea (국내 외환 시장에서의 환율 변동성에 관한 연구)

  • 송영효
    • Proceedings of the Korea Inteligent Information System Society Conference
    • /
    • 2001.06a
    • /
    • pp.333-340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GARCH 모델과 이동평균법을 이용한 국내 외환 시장에 있어서의 변동성 척도가 비교 분석되었다. 즉 두가지 알고리듬을 통하여 정보의 내용과 외환시장 변동성의 변통성 예측력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GARCH 모형에 의할 변동성 추정치는 예측력에 있어서는 이동평균 추정치 보다 낮은 수준이지만 정보내용의 측면에서 성과가 더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GARCH모형에 의한 추정치는 이동평균 추정치 보다 편의성(Bias)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변동성의 가치에 대해서 논의하고, 이러한 변통성 추정치를 통해서 실제 환율변동을 헷지하기 위한 옵션매매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를 언급하였다.

  • PDF

Shifted Linear Interpolation with an Image-Dependent Parameter (영상에 종속적인 매개변수를 갖는 이동 선형 보간법)

  • Park, Do-Young;Yoo, Hoo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7 no.10
    • /
    • pp.2425-2430
    • /
    • 2013
  • This paper presents an shifted linear interpolation method with an image-dependent parameter. The previous shifted linear interpolation proposed the optimal shift parameter of 0.21, which is calculated by spectrum analysis of the shifted linear interpolation kernel. However, the parameter can be different if we takes an input image spectrum into account. Thus, we introduce an image-dependent parameter. An experiment shows the best shift parameter is 0.19 in average for real images. Also, simulation results indicate the proposed method is superior to the existing shifted linear interpolation as well as conventional methods such as linear interpolation and cubic convolution interpolation in terms of the subjective and objective image qua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