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이동 경계

Search Result 966, Processing Time 0.051 seconds

An effective MLS Difference Method with immersed interface for solving interface problems (계면경계 문제의 효율적인 해석을 위한 계면경계조건이 매입된 이동최소제곱 차분법)

  • Yoon, Young-Cheol
    • Proceedings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Conference
    • /
    • 2011.04a
    • /
    • pp.752-755
    • /
    • 2011
  • 이종재료의 열전달문제 수치해석시 추가적으로 만족시켜야 하는 계면경계조건들의 존재와 계면경계로 인한 불연속면의 처리는 근사함수의 구성 뿐만 아니라 수치기법의 개발 자체를 어렵게 만든다. 본 논문에서는 계면경계의 불연속성을 모델링하는 특수한 함수를 포함하고 계면경계조건을 항상 만족시킬 수 있는 근사함수를 구성하고, 계면경계문제의 강형식을 직접 이산화하며 고속으로 해를 계산할 수 있는 이동최소제곱 차분법을 제시한다. 계면경계조건이 매입된 이동최소제곱 차분법으로 이종재료의 열전달문제를 해석한 결과, 높은 정확성과 효율성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An Efficient MBR Approximation Scheme for Reducing Dead Space of Bounding Rectangles in The TPR-Tree (TPR-트리에서 경계 사각형의 사장 공간을 줄이기 위한 효율적인 MBR 근사 기법)

  • 최석창;송문배;강상원;황종선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10b
    • /
    • pp.91-93
    • /
    • 2004
  • 이동 객체의 현재와 미래 위치 질의에 최적화된 색인 구조로써 TPR-트리가 있다 TPR-트리는 기존의 공간 색인 구조와 달리 이동 객체와 경계 사각형을 참조 위치와 속도 벡터를 매개 변수로 한 시간에 대한 선형 함수 형태로 모델링 함으로써 갱신 비용을 줄이고 현재 및 가까운 미래 위치 정보의 예측을 가능하도록 한다 . 하지만 TPR- 트리는 시간의 정파에 따라 경계 사각형이 선형적으로 환장됨으로 인해 경계 사각형 내의 객체를 제외한 나머지 공간인 사장 공간과 경계 사각 혈들 간의 겹침 현상을 증가시켜 정의 성능이 떨어진다는 단점을 가진다. 본 논문에서는 질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경계 사각형 내의 이동 객체들이 이동함에 따라 변경되는 최소 경계 사각형 (MBR: Minimim Bounding Rectangle)을 베지어 곡선 함수를 이용하여 근사함으로써 사장 공간을 줄이는 적응 경계 사각형 (ABR: Adaptive Bounding Rectangle) 기법을 제안한다.

  • PDF

A study on Moving Object Segmentation (이동물체 분할에 관한 연구)

  • Jeo, Young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2.07a
    • /
    • pp.349-351
    • /
    • 2012
  • 영상분할은 입력 영상에서 특정 영역을 분할하는 처리로서 이동물체추적, 영상 감시, 영상 기반 제어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하게 다루는 기술 중 한 가지이다. 기존 영상 분할 방법은 영역을 기반으로 하는 방법과 경계선을 기반으로 하는 방법 등이 있으며 경계선을 기반으로 이동물체 영역을 분할하는 것이 연산량 감소등 의 많은 이점이 있다. 그러나 영상의 경계가 모호한 경우 적용이 곤란하다. 본 논문에서는 이동벡터를 추출한 후 이동벡터를 분할기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입력영상에 대하여 BMA기법을 적용하여 이동벡터를 추출하여 이동벡터 영상을 구한 후, 이동 벡터영상에 워터쉐이드 기법을 적용하여 영상 분할하였다. 기존 경계선을 이용한 영상 분할과 비교한 결과 노이즈가 적은 결과를 얻었다.

  • PDF

Moving Least Squares Difference Method for the Analysis of 2-D Melting Problem (2차원 융해문제의 해석을 위한 이동최소제곱 차분법)

  • Yoon, Young-Cheol
    • Journal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 /
    • v.26 no.1
    • /
    • pp.39-48
    • /
    • 2013
  • This paper develops a 2-D moving least squares(MLS) difference method for Stefan problem by extending the 1-D version of the conventional method. Unlike to 1-D interfacial modeling, the complex topology change in 2-D domain due to arbitrarily moving boundary is successfully modelled. The MLS derivative approximation that drives the kinetics of moving boundary is derived while the strong merit of MLS Difference Method that utilizes only nodal computation is effectively conserved. The governing equations are differentiated by an implicit scheme for achieving numerical stability and the moving boundary is updated by an explicit scheme for maximizing numerical efficiency. Numerical experiments prove that the MLS Difference Method shows very good accuracy and efficiency in solving complex 2-D Stefan problems.

Analysis of 1-D Stefan Problem Using Extended Moving Least Squares Finite Difference Method (확장된 이동최소제곱 유한차분법을 이용한 1D Stefan문제의 해석)

  • Yoon, Young-Cheol
    • Proceedings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Conference
    • /
    • 2009.04a
    • /
    • pp.308-313
    • /
    • 2009
  • 본 논문은 확장된 이동최소제곱 유한차분법을 이용하여 1차원 Stefan 문제를 해석할 수 있는 수치기법이 제시한다. 이동하는 경계의 자유로운 묘사를 위해 요소망이나 그리드 없이 절점만을 사용하는 이동최소제곱 유한차분법을 사용하였으며, 계면경계의 특이성을 모형화하기 위해 Taylor 다항식에 쐐기함수를 도입했다. 지배방정식은 안정성이 높은 음해법(implicit method)을 이용하여 차분하였다. 미분의 특이성을 갖는 이동경계를 포함한 반무한 융해문제의 수치해석을 통해 확장된 이동최소제곱 유한차분법이 높은 정확성과 효율성을 갖는 것을 보였다.

  • PDF

Analysis of Moving Boundary Problem Using Extended Moving Least Squares Finite Difference Method (확장된 이동최소제곱 유한차분법을 이용한 이동경계문제의 해석)

  • Yoon, Young-Cheol;Kim, Do-Wan
    • Journal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 /
    • v.22 no.4
    • /
    • pp.315-322
    • /
    • 2009
  • This paper presents a novel numerical method based on the extended moving least squares finite difference method(MLS FDM) for solving 1-D Stefan problem. The MLS FDM is employed for easy numerical modelling of the moving boundary and Taylor polynomial is extended using wedge function for accurate capturing of interfacial singularity. Difference equations for the governing equations are constructed by implicit method which makes the numerical method stable. Numerical experiments prove that the extended MLS FDM show high accuracy and efficiency in solving semi-infinite melting, cylindrical solidification problems with moving interfacial boundary.

Analysis of 1-D Free boundary Problem Using Implicit Moving-Least-Squares Difference Method (Implicit 이동최소제곱 차분법을 이용한 1차원 자유경계문제의 해석)

  • Yoon, Young-Cheol
    • Proceedings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Conference
    • /
    • 2010.04a
    • /
    • pp.48-51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자유경계문제 해석을 위해 정확도가 향상된 implicit 이동최소제곱 차분법을 제시한다. 계면경계에 대한 implicit 정의로 인해 비선형 시스템이 구성되고, 매 해석단계마다 절점해와 계면경계의 위치를 반복계산을 통해 찾는다. 계면경계 결정시 속도항을 한 단계 뒤로 지연시켜 explicit하게 근사적으로 계산하던 기존 방법에 비해 계면경계의 위치를 더 정확하게 계산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해의 정확도가 향상되었다. 계면경계 위치값이 비교적 빠른 속도로 수렴하기 때문에 많은 반복계산이 필요치 않다. 수치예제를 통해 기존의 방법으로 계산한 결과와 비교하여 새롭게 개발한 implicit 방법의 향상된 정확도를 보였다.

  • PDF

Implicit Moving Least Squares Difference Method for 1-D Moving Boundary Problem (1차원 자유경계문제의 해석을 위한 Implicit 이동최소제곱 차분법)

  • Yoon, Young-Cheol
    • Journal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 /
    • v.25 no.5
    • /
    • pp.439-446
    • /
    • 2012
  • This paper presents an implicit moving least squares(MLS) difference method for improving the solution accuracy of 1-D free boundary problems, which implicitly updates the topology change of moving interface. The conventional MLS difference method explicitly updates the moving interface; it requires no iterative solution procedure but results in the loss of accuracy. However, the newly developed implicit scheme makes the total system nonlinear involving iterative solution procedure, but numerical verification show that it dramatically elevates the solution accuracy with moderate computation increase. Through numerical experiments for melting problems having moving singularity, it is verified that the proposed method can achieve the second order accuracy.

Estimation of Maximum Inundation Zone due to Tsunamis with Moving Boundary (이동경계를 이용한 지진해일의 최대범람구역 추산)

  • 조용식;서승원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13 no.2
    • /
    • pp.100-108
    • /
    • 2001
  • Along the shoreline a special treatment is required to simulate movement of periodic waves such as tsunami and tide because of continuous movement of shoreline as waves rise and recede. A moving boundary treatment is first proposed to track the movement of shoreline in this study. The treatment is then employed to obtain a maximum inundation area to be used for mitigation of coastal flooding. The obtained maximum inundation zone for a specific location is compared to that of available observed data. A reasonable agreement is observed.

  • PDF

Object boundary tracking using modified boundary tracking algorithm (수정된 경계추적 방법을 이용한 물체의 윤곽선 추적)

  • Ko, Jong-Hwna;Kwon, Woo-Hyen;Im, Sung-Soon;Choi, Youn-Ho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7.10a
    • /
    • pp.419-420
    • /
    • 2007
  • 영상에서 경계선 추적은 영상내에 존재하는 특정 물체가 배경과 구분되어지는 외각선을 검출하기 위해 사용되어지는 알고리즘이다. 이렇게 해서 얻어진 외각선의 데이터는 물체를 분석하는데 사용되어 질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물체의 외각선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해 사용되어지는 경계선 추적 알고리즘중 검색윈도우의 중심점 이동 횟수를 개선한 이동벡터 윈도우 알고리즘과 간단한 경계 추적자(SBF:Simple Boundary Follower)알고리즘을 부분적으로 적용하여 검색윈도우의 중심점 이동횟수 및 검색픽셀의 수를 줄이기 위한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경계선 추적 방법은 직선보다는 곡선이 많이 포함되어 있는 물체의 경계선을 추적하는데 보다 효과적임을 실험을 통하여 확인 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