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이동 격자

Search Result 615, Processing Time 0.042 seconds

제일 원리 분자 동역학을 이용한 최적의 리튬 이온 전도도를 갖는 전도체 설계에 관한 연구

  • O, Gyeong-Bae
    • Proceeding of EDISON Challenge
    • /
    • 2016.03a
    • /
    • pp.321-325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제일 원리 분자 동역학(AIMD, ab-initio Molecular Dynamics) 방법을 이용하여 다양한 크기의 황화 이온 격자 구조에서 리튬 이온의 이온 전도도에 대하여 연구했다. 주어진 격자 구조내에 리튬 이온의 량이 증가할수록 확산도(D, diffusivity)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이지만, 리튬 이온의 농도는 증가 하기 때문에 특정한 농도에서 이온 전도도는 최댓값을 나타냈다. 또한 격자 구조의 부피를 증가 시킬 경우에 리튬 이온의 농도는 감소하지만, 확산도가 증가하여 전체적인 이온 전도도는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격자 구조내 이온의 이동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보다 효과적인 새로운 이온 전도체 개발에 도움이 될것이다.

  • PDF

Optimization of Position of Lightening Hole in 2D Structures through MLS basede Overset Metheod along with Genetic Algorithm (이동최소자승 중첩 격자 기법과 유전자 알고리듬을 이용한 2차원 구조물의 경감공 위치 최적 설계)

  • Oh, Min-Hwan;Woo, Dong-Ju;Cho, Jin-Ye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36 no.10
    • /
    • pp.979-987
    • /
    • 2008
  • In aerospace structural design, the position of lightening hole is often required to be optimized from the initial design in order to avoid an excessive stress concentration. To remodel the updated configuration in optimization procedure, re-meshing procedure is conventionally adopted. However, this approach is time-consuming, and has limitations especially in handling hexahedral or quadrilateral meshes, which are preferred because of their good numerical performances. To attenuate these disadvantages, new optimization scheme is proposed by combining the MLS(Moving Least Squares) based overset method and the genetic algorithm in this work. To test the validity of the proposed optimization scheme, optimizations of positions of lightening holes in 2D structures have been carried out.

Generating Curved Path in 3D games by Using Inscribed Circle (내접원을 이용한 3D게임에서의 이동경로 곡선화)

  • 김형일;정동민;김준태;엄기현;조형제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10a
    • /
    • pp.52-54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30게임에서 삼각형 내접원을 이용한 이동경로의 곡선화를 제안한다. 일반적으로 게임에서는 맵(map)을 형성하기 위해 그리드(grid) 방식을 채택한다. 그러나 그리드 방식은 지형을 형성할 때 격자를 이용하므로 자연스러운 맵을 형성하기 어려우며, 세밀한 묘사를 위해서는 많은 수의 격자를 이용하여야함으로 경로탐색 시 연산시간과 메모리에 부담을 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웨이포인트(waypoint)를 이용하여 이동경로를 설정하기도 하지만. 이러한 방법은 게임디자이너가 웨이포인트를 미리 설정하여야한다는 단점이 뒤따른다. 근래에는 이러한 문제점 해결을 위해 네비게이션 메쉬(navigation mesh)를 이용하기도 한다. 네비게이션 메쉬를 이용하면 맵을 간소화할 수 있고 빠른 자동 경로탐색을 이룰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네비게이션 메쉬에서 A* 알고리즘을 적용하여도 이동경로는 꺾은선으로 나타나게 되어 현실감을 떨어뜨리는 원인으로 작용된다. 이러한 이동경로의 곡선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삼각형 내접원을 이용하여 이동경로의 곡선화를 이루었다.

  • PDF

Control Gain Optimization for Mobile Robots Using Neural Networks and Genetic Algorithms (신경회로망과 유전알고리즘에 기초한 이동로봇의 제어 이득 최적화)

  • Choi, Young-kiu;Park, Jin-hyu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20 no.4
    • /
    • pp.698-706
    • /
    • 2016
  • In order to move mobile robots to desired locations in a minimum time, optimal control problems have to be solved; however, their analytic solutions are almost impossible to obtain due to robot nonlinear equations. This paper presents a method to get optimal control gains of mobile robots using genetic algorithms. Since the optimal control gains of mobile robots depend on the initial conditions, the initial condition range is discretized to form some grid points, and genetic algorithms are applied to provide the optimal control gains for the corresponding grid points. The optimal control gains for general initial conditions may be obtained by use of neural networks. So the optimal control gains and the corresponding grid points are used to train neural networks. The trained neural networks can supply pseudo-optimal control gains. Finally simulation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method presented in this paper.

The Study of 3-D Hydrodynamic and Water Quality Modeling for Ubiquitous River Management (URM을 위한 3차원 지표수 모델링 기법의 연구)

  • Lee, Tong-Eun;Seo, Dong-I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971-971
    • /
    • 2012
  • 4대강 살리기 사업으로 인하여 4대강에 대한 전면적인 투자와 공사가 이루어지고 있다. 4대강 사업이 마치게 되면 전국에 많은 수의 대규모 보가 설치되고 설치되어진 보는 각각의 강의 관리에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다. 그러므로 이 4대강 사업으로 조성되는 13억 톤 수자원을 융 복합기술을 이용하여 감시 및 관리를 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 실시간 수질 감시 및 모니터링 시스템의 개발과 그에 따른 센서들의 개발을 통하여 4대강 보 운영관리를 위한 통합관리 시스템개발(Ubiquitous River Management)이 이루어 져야 할 것이다. 그동안 계산 시간의 제약을 받아 오던 3 차원 수리동역학의 모의가 컴퓨터관련 기술의 발달에 따라 계산에 소요되는 시간이 계속 단축되고 있으며 이를 수질예측에 사용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에 따라 실시간으로 얻은 데이터를 이용하여 모델링 기법을 통해 예측을 해봄으로써 보 내부에 존재하는 여러 취수원 관리에 적용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는 3차원 수리동역학 모델과 수질모델을 결합한 시스템이 저수지 내의 수리특성, 유사이동 및 탁수 현상을 모의하는데 사용이 가능한지를 알아보는 것을 주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팔당댐 모의에서는 취수구에 따른 수질변화를 모의하기 위해 3차원모델의 사용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모의에서는 미국 환경부에서 WASP에 이용하기 위해 수정한 EFDC1(2009, USEPA에서 입수)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팔당호의 2009년의 수위, 수온, 유량 및 농도의 실측자료를 이용하여 3차원 수리 모델링을 실시하고, 수위, 유사이동 및 탁도 예측 모델링을 실시하였다. 3차원 수리동역학 모델과 취수원의 적용에 적절한 모델을 구축하기 위하여 적당한 평면격자의 개수를 선택하여 선택되어진 평면격자에서 수직격자의 층수를 조절하여 매 층마다 DYE TEST를 하였다. 이는 각각의 유입 하천에서 오염물질이라 가정하고 농도가 유입되었을 때 수리특성에 의해서 연구지역에서의 농도 변화를 파악하여 미리 예측을 하여서 그에 따라 취수원에서의 취수 관리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평면격자에 따라서 수직 층의 개수를 5층부터 40층까지 모의를 하여서 시간 및 이동변화에 따라 알맞은 모델을 구축하였다. 또한 층수마다 Sediment 모의를 통하여 호 내의 SS의 이동을 모의하였다. 이 역시 취수원의 관리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 PDF

Basin-scale DAD Analysis using Grid-based Rain Search Method (격자기반의 호우탐색기법을 이용한 유역기반의 DAD 분석)

  • Kim, Youngkyu;Yu, Wansik;Kim, Yeonsu;Jeong, Anchul;Jung, Kwansu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236-236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강우의 시공간성을 파악할 수 있는 격자기반의 Average-point Tracking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호우의 DAD(Depth-Area-Duration)를 분석하였다. IPCC 5차보고서에 따르면 1950년 이래로 다수의 극한 기상 및 기후 변화가 관측되었다. 그 중 일부는 인간의 활동과 관련된 것으로 많은 지역에서의 극한 호우 현상의 증가가 손꼽힌다. 이러한 극한 호우 현상 증가와 일부 저수지의 유출 증가 경향은 지역적 규모에서 홍수의 위험이 더 커졌음을 의미한다(Kim et al., 2016). 최근 이상기후 현상의 증가에 따른 강우양상의 변화로 게릴라성 집중 호우와 태풍의 빈도가 증가하고 있지만, 우리나라의 호우의 특성은 방위 및 진행방향에 따른 해석이 매우 복잡하여 강우를 정형화하기에 어려운 특징을 보인다. 또한 지속시간이 긴 호우의 경우에는 호우의 범위가 한반도 전체가 되는 특성 때문에 강우의 시 공간성과 관련된 관측 자료는 부족하며, 이러한 특성을 고려한 연구 또한 미진한 실정이다. 만약, 태풍과 같이 호우이동이 뚜렷한 경우, 기존의 적용되고 있는 유역중심의 DAD 분석 방법으로는 DAD 관계를 명확히 표현하기 어려우며 유역면적이 증가할수록 유역의 면적평균강우량의 오차도 증가하기 때문에 DAD 분석의 정확도는 낮아지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호우의 형태와 이동을 고려하기 위해 시간에 따른 호우를 격자로 나누어 격자를 증가시키면서 면적평균최대강우량을 산정할 수 있는 Average-point Tracking 방법을 이용하여 DAD 분석을 실시하였다.

  • PDF

Use of a Solution-Adaptive Grid (SAG) Method for the Solution of the Unsaturated Flow Equation (불포화 유동 방정식의 해를 위한 해적응격자법의 이용 연구)

  • Koo, Min-H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oundwater Environment
    • /
    • v.6 no.1
    • /
    • pp.23-32
    • /
    • 1999
  • A new numerical method using solution-adaptive grids (SAG) is developed to solve the Richards' equation (RE) for unsaturated flow in porous media. Using a grid generation technique, the SAG method automatically redistributes a fixed number of grid points during the flow process, so that more grid points are clustered in regions of large solution gradients. The method uses the coordinate transformation technique to employ a new transformed RE, which is solved with the standard finite difference method. The movement of grid points is incorporated into the transformed RE, and therefore all computation is performed on fixed grid points of the transformed domain without using any interpolation techniques. Thus, numerical difficulties arising from the movement of the wetting front during the infiltration process have been substantially overcome by the new method. Numerical experiments for an one-dimensional infiltration problem are presented to compare the SAG method to the modified Picard method using a fixed grid. Results show that accuracy of a SAG solution using 41 nodes is comparable with the solution of the fixed grid method using 201 nodes, while it requires only 50% of the CPU time. The global mass balance and the convergence of SAG solutions are strongly affected by the time step size (Δt) and the weighting parameter (${\gamma}$) used for generating solution-adaptive grids. Thus, the method requires automated readjustment of Δt and ${\gamma}$ to yield mass-conservative and convergent solutions, although it may increase computational costs. The method can be effective especially for simulating unsaturated flow and other transport problems involving the propagation of a sharp-front.

  • PDF

Research on a New Vision Test Chart Measuring Visual and Spatial Sense of Moire Fringes (무아레 무늬의 시각적 공간감각을 측정하는 시표로서의 가능성 조사)

  • Woo, Hyun Kyung;Lee, Seongjae;Jeong, Youn Hong
    • Journal of Korean Ophthalmic Optics Society
    • /
    • v.15 no.3
    • /
    • pp.241-245
    • /
    • 2010
  • Purpose: In this work we suggested a grating chart of vision test which could be used to measure the sense of distance and motion of object. Methods: A couple of gratings with periodic structure were fabricated. Through a lens the grating images showing geometrical shapes were projected on a vision test chart in order to form a new grating chart of vision test. In rotating and translating the gratings the examinee perceived the variation of position of gratings by the variation of the sense of distance and motion. Results: The results of the sense of distance and motion measured in rotating and translating the gratings showed the average errors of ~2.98% and ~1.73% at $\theta=15^{\circ}$ respectively compared to calculated values. Conclusions: The grating chart of vision test suggested in this work can be used as a new test chart that lets an examinee perceive a sense of distance and motion of object.

Triangular Grid Homogenization Using Local Improvement Method (국소개선기법을 이용한 삼각격자 균질화)

  • Choi, Hyung-Il;Jun, Sang-Wook;Lee, Dong-Ho;Lee, Do-Hyu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33 no.8
    • /
    • pp.1-7
    • /
    • 2005
  • This paper proposes a local improvement method that combines extended topological clean up and optimization-based smoothing for homogenizing triangular grid system. First extended topological clean up procedures are applied to improve the connectivities of grid elements. Then, local optimization-based smoothing is performed for maximizing the distortion metric that measures grid quality. Using the local improvement strategy, we implement the grid homogenizations for two triangular grid examples. It is shown that the suggested algorithm improves the quality of the triangular grids to a great degree in an efficient manner and also can be easily applied to the remeshing algorithm in adaptive mesh refinement technique.

Tunable Disperion Compensator Based on Chirped Fiber Bragg Grating With Structural Bending (Bending을 이용한 첩 광섬유 격자를 이용한 가변분산보상기)

  • Choe, Seon-Min;Bae, Jun-Gi;Han, Yeong-Geun;Lee, Sang-Bae;Kim, Sang-Hyeok;Jeong, Je-Myeong
    • Proceedings of the Op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4.02a
    • /
    • pp.270-271
    • /
    • 2004
  • 첩 광섬유 격자를 이용하여 10Gbit/s이상의 광통신 시스템에서 이용될 수 있는 광통신용가변 색분산 보상기를 제안하엿다. U형태의 구부림을 이용함으로써 중심 파장의 이동은 0.1nm미만, 분산값이 이동 스테이지의 움직임에 따라 선형적으로 변하는 가변분산보상기를 제작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