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이동주택단지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5초

호텔 체인업체 발리 리조트 시장으로 러시

  • 김소진
    • 주택과사람들
    • /
    • 통권207호
    • /
    • pp.36-41
    • /
    • 2007
  • 신들이 선택한 '성지의 땅'이라 불리는 발리.외국의 유명 호텔 체인업체들이 발리에 깃발을 꽂고 리조트사업을 펼치고, 해외 투자 자본들이 발리 부동산 시장으로 이동하고 있다. 리조트 단지 곳곳에 신을 섬기고, 자연에 순응하며 살아가는 발리인들의 생활문화가 고스란히 녹아 있는 발리를 다녀왔다.

  • PDF

공공임대주택가구의 주거이동 유형에 관한 연구: 청주시 국민임대주택 퇴거자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Types of Residential Mobility in the Households of Public Rental Housing: Focused on Those Who Moved Out from National Rental Housing in Cheongju)

  • 고정희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1권2호
    • /
    • pp.33-60
    • /
    • 2009
  • 본 연구는 대한주택공사(KNHC)의 국민임대주택 거주자들의 퇴거 이후 주거이동 유형이 상향이동되었는가 혹은 수평 하향이동되었는가를 비교분석하여 국민임대 주택이 무주택 저소득 가구의 주거 상향이동에 실제로 기여를 하고 있는가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충북 청주시 국민임대주택 입주 후 2년이 경과한 세 단지의 2007년 1년간 퇴거자 333명을 대상으로 하여 전화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분석방법은 "주거면적"과 "주거비용"에 따른 주거이동 유형(하향이동, 수평이동, 상향이동)을 종속변수로 하고 개인 및 가족환경과 경제적 환경을 독립변수로 하여 빈도분석, 교차분석, 다중회귀분석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입주 전과 거주 당시보다 "주거비용"에 있어서 상향이동 된 가구의 비율은 76.4%, 수평이동 1.6%, 하향이동 22%로 나타났고, "주거면적"에 있어서는 상향이동 61.8%, 수평이동 16.5%, 하향이동 19.7%로 나타났다. 주거상향이동에 영향을 주는 변수로는 가구 내 소득자의 수, 직업, 학력으로 나타났고, 소득과 연령, 부양가족 여부는 영향이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국민임대주택의 공급을 위해 첫째, 주거이동 유형에 따라 나타나는 다양한 가구 특성을 반영해야 하며 둘째, 주거 상향이동을 위한 연속적인 주거정책 프로그램을 위한 국민임대주택단지의 자족기능 강화를 제언하였다.

  • PDF

미국과 캐나다 연소노년층의 저비용 소형 주거단지 생활에 관한 연구 : 농촌지역 소도시 외곽을 중심으로 (A Study on Lives of the Young Elderly in Low Cost Small Housing Communities in America and Canada : Focused on Suburban Areas of Small Cities along Rural Counties)

  • 이인수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7권4호
    • /
    • pp.1-18
    • /
    • 2009
  • This study has been performed to explore process of forming low cost small site housing communities and residential lives of the young elderly around small cities along rural counties of America and Canada, and suggest future implications for Korea. In this study, five low cost small housing zones such as cottage and mobile home parks in non-metropolitan counties of California and Ontario State such as Weed, Paradise, Sun City,, Wellington on the Lake, and Trenton were visited and the elderly residents and service experts were interviewed. The senior concentrating housing clusters were formed primarily from influx of both metropolitan and rural residents for the purpose of seeking warmful localities, traffic connections, and business purposes in theme focused production areas. On the other hand, residential lives in the zones are occasionally negatively influenced by unbalanced concentrations of elderly facilities such as nursing stations and funeral homes. For the future of Korean rural elderly policies, suggestions are made as follows: first, integrated forms of urban and rural township need to be settled as attracting places for early retiring people who seek low cost pastoral oriented but culturally activated environment. Second, a model town of mobile housing structures needs to be initiated as a measure of evaluating adaptation process of those movers. Third, a cooperation system among governmental ministries needs to be formed in order to integrate a long term master plan of establishing traditional rural town of independent housing districts. fourth, productive and active lifestyles need to be maintained for government lead retirement rural villages by limiting expansion of nursing related facilities around the independent areas. Fifth, visiting welfare service programs and volunteer groups need to be further developed for the housing area especially in winter time, when social integration and emotional comforts are extremely limited.

도시단독주택지 저층고밀형 집합주택 모델의 적용에 관한 연구 - 우이동 국민주택단지를 대상으로 -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Low-Rise and High-Density Multiple Dwelling Housing Model in Urban Individual Residential Area - Focused on Ui-dong Public Detached Housing Area -)

  • 전병권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2권3호
    • /
    • pp.101-111
    • /
    • 201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indiscriminate development occuring as a result of high-density land use per lot in residential areas of Seoul, which mainly consist of detached houses. The primary goals of this study were: (1) to suggest a block unit development method as an alternative architectural method of the current uniform development, in which high-rise and high-density apartments are usually built; and (2) to check the feasibility of the suggested method. Based on the analyses of the existing block composition types of residential areas, the prerequisite planning indices for applying a collective housing model were investigated. Subsequent to applying a collective housing type within each unit block, the collective housing model was analyzed. The results of the analyses showed that indiscriminate development was rampant in detached urban houses areas, and more than 70% of the buildings constructed before the 1980s needed re-development. The feasibility of the models was investigated depending on the models of low-rise and high-density collective housing, which utilize various block arrangements such as the court type, linear type, villa type, and composite typ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newly applied low-rise and highdensity multiple dwelling housing model in urban individual residential area significantly contributed to creating a good living environment in terms of both physical and psychological aspects.

노후 공동주택 평면확장 공법 선정을 위한 의사결정 시스템 구축방안 (Development of Decision-Making Process on Technology Selection for Aged-Housing Remodeling)

  • 이동건;차희성;김경래;신동우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6년도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448-452
    • /
    • 2006
  • 리모델링은 기존 건물을 폐기하지 않고 재활용 함으로써 자원의 재활용이라는 측면과 신축과 같은 부가가치를 창출한다는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공사에 적절한 공법 선정은 공사비와 공사기간을 줄여주고 품질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리모델링 공사의 경우 현장의 특성과 구조체의 특성이 공사시에 큰 영향을 끼치기 때문에 기존 신축공사 보다 공법선정이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의 공법 선정은 시공정보를 반영하지 않고 단지 기존에 주로 사용하던 공법만을 선정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공법 선정시 의사결정을 도와주기 위한 tool의 구축 방안을 제안한다.

  • PDF

환경특성에 따른 집박쥐의 반향정위(Echolocation) 시그널 분석 (Echolocation Signals of Pipistrellus abramus in Relation to Environmental Type)

  • 정철운;한상훈;김성철;이정일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553-563
    • /
    • 2009
  • 환경특성에 따른 집박쥐(Pipistrellus abramus)의 반향정위 변화를 분석하기 위하여 2009년 4월부터 8월까지 경상북도 경주시 천북면 일원의 주간 휴식장소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환경특성 유형은 일몰 후 출현순간, 출현 후 이동, 논 경작지, 산림 가장자리, 개방공간, 주택단지 등 6개 유형으로 구분하여 비교하였다. 분석결과 환경특성에 따른 차이 및 서식지간 이동과 먹이포획을 위한 비행 사이에서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부 환경으로의 출현 순간에서는 짧은 시간의 FM 시그널만 확인되었으며, 개방 공간에서는 긴 시간의 CF 시그널 형태의 음을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외 환경특성에서는 펄스의 형태적인 차이는 있었지만 FM과 CF 시그널을 혼합하여 이용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먹이포획을 위한 비행과 서식지간 이동을 위한 비행에서는 펄스의 지속시간을 제외한 펄스 간격, 최고 진동수, 개시부와 종결부 진동수에서는 두 가지 비행패턴 사이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확인되었다. 출현순간을 제외하고 서식지간 이동을 위한 비행시에는 곤충의 반향을 감지하여 곤충의 탐색에 적합한 협대역의 FM 시그널과 긴 펄스 지속시간을 가지는 형태를 보였으며, 먹이포획을 위한 비행에서는 폭넓은 탐색과 정확한 위치파악을 위한 광대역의 FM 시그널과 짧은 시간의 펄스 지속시간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기존 공동주택의 리모델링 용이성 평가 체계 (Availability Evaluation System for Remodeling of Existing Apartment Houses)

  • 차우철;임병욱;신창현;신병현;이재석;전재열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9권5호
    • /
    • pp.204-213
    • /
    • 2008
  • $1970{\sim}80$년대에 대량으로 공급된 기존 아파트는 오늘날 노후화라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노후화의 대처수단으로 크게 Build&Scrap과 리모델링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리모델링의 경우 사회적, 경제적, 환경적 이점으로 인하여 Build&Scrap 보다 낫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리모델링 용이성 평가체계에 관한 연구이다. 다시 말해 용이성평가는 목적 공사의 용이한 정도를 의미하며, 공사목적에 대한 난이도를 의미한다. 리모델링은 기존 아파트를 기반으로 재설계하고 요소기술을 도입하여 건축물의 기능 및 성능을 높이는 수법 및 공법으로 이루어 졌다. 어떤 관점에서 보면, 리모델링 기술의 발전과 보급은 리모델링 계획과 이미 적용되고 있는 기존의 빌딩의 논리적 접근처럼 관리가 필요하다. 리모델링의 용이성은 두 가지 측면에서 평가된다. 첫째 아파트 단지의 리모델링 용이성을 평가하는 Macro Level과 두 번째는 주동단위의 철거 및 이동의 리모델링 용이성을 평가하는 Micro Level이다. 본 논문의 목적은 리모델링 계획과 목적, 객관성, 그리고 용이한 정도의 허용 범위를 조정하는데 있다.

임대아파트 특성과 공유교통서비스 선호간의 관계 분석 (Analys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eference on Shared Transport Service and the features of Rental Apartments)

  • 신도겸;변완희;도명식;기호영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14-33
    • /
    • 2019
  • 공유교통과 대중교통을 통합하여 시민의 이동 편의성을 높이기 위한 MaaS는 국내외에서 활발하게 연구 개발되고 있으며, LH 역시 임대아파트 입주민을 대상으로 하는 공유교통 중심의 MaaS를 추진 중에 있다. 그러나 전국에 걸쳐 위치해 있는 임대아파트는 입주민 특성, 지역특성 등이 상이하다. 따라서 MaaS 도입에 따른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입주민 특성과 지역특성을 고려한 공유교통 공급 계획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LH 임대아파트에 대해 입주민 및 지역 특성에 따른 맞춤형 공유교통서비스를 찾고, 상관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요인분석과 군집분석을 통해 임대아파트를 12개의 유형으로 분류하였고, C&RT 방법을 활용하여 입주민의 공유교통서비스 선호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카셰어링과 카풀, 공유주차 등 공유교통서비스는 대도시보다는 중소도시에 위치한 임대아파트에서 높은 선호 경향을 보였다. 특히 대중교통이 열악한 지역에서 카셰어링이나 카풀에 대한 선호가 높았고, 공공자전거의 경우에는 대도시와 중소도시 모두 높은 선호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는 향후 아파트 단지가 속한 지역 특성과 주민 특성에 따라 우선 적용이 가능한 공유교통서비스를 결정하는 방법론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미국과 캐나다 노인밀집도시의 노인주거관련 사회적지원에 관한 연구 : 농촌지역 소도시를 중심으로 (A Study on Social Supports for the Elderly Housing in Senior Concentrated Cities in the United States and Canada : Focused on Small Cities along Rural Counties)

  • 이인수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9권3호
    • /
    • pp.23-41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social supports for elderly housing and their residential lives in small cities along rural counties of the United States and Canada, and suggest future implications for age-concentrated rural villages in Korea. In this study, five small and medium cities in non-metropolitan counties of California and Ontario province were visited and elderly residents and service experts were interviewed about their perceptions of community integrated social support networks for senior residences. The senior housing complexes were built due to influx of both metropolitan and rural residents seeking warm localities, traffic connections, business purposes in active production areas. and leisure attractions. There are five main social support networks for senior housing issues in these areas. First, the areas are claimed for senior zones and accordingly health industries are encouraged by local authorities. Second, the community is homogeneously constructed as a senior friendly environment and include features such as an RV park and mobile cottages. Third, senior-helping seniors are offered active work through golf-cluster active retirement communities. Fourth, traditional theme production camps are mobilized by the elderly workers. Lastly, an information system is maintained for screening volunteers and for senior abuse prevention. On the other hand, residential lives are occasionally negatively influenced by unbalanced concentrations of elderly facilities such as nursing stations and funeral homes. For the future of Korean rural elderly policies, suggestions are made as follows: first, an integrated urban and rural township that contains attractive places for early retiring people who seek a warm atmosphere in later life needs to be constructed. Second, an integrated model retirement village of urban and rural retirement life needs to be initiated as a measure of evaluating the adaptation process of movers in senior concentrated zones. Third, a cooperation system among governmental ministries needs to be formed with the long- term goal of establishing a traditional rural town of independent housing districts and medical facilities in rural areas. Fourth, productive and active lifestyles need to be maintained as the local community and government develop successful retirement rural villages, by limiting the expansion of nursing related facilities. Finally, generation integrated visiting welfare programs and services need to be further developed for the housing areas especially in the winter, when social integration and activity are relatively low.

공동주택에서 치유조경계획을 위한 가이드라인 연구 (A Study on the Design Guidelines of Healing Landscape in Housing Complexes)

  • 천현우;이시영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4권5호
    • /
    • pp.26-37
    • /
    • 2016
  • 본 연구는 공동주택단지를 대상으로 하여 외부의 조경공간을 통해 치유환경을 제공하여 치유기능을 높이기 위한 조경계획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집합주거공간의 외부공간 조성에 있어 거주민들에게 생활환경을 높일 수 있는 기회와 함께 조경설계기법의 대안적인 기준을 마련한다는 점에서, 정형화되어 있지 못하고 있는 조경설계 분야의 새로운 가이드라인을 제공하는데 그 의미가 있다. 연구 방법으로는 기존 학자들의 치유정원에 관한 특성을 분석하여 공통적인 환경특성 요소들을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기존 국내 외 문헌을 통하여 세부항목을 설정하며, 선행연구와 사례조사, 설문분석을 통해 치유조경계획 요소를 도출하였다. 치유환경의 기능적 계획요소 6가지 항목을 설정하였다. 안전한 환경, 치료적 환경, 보조적 환경, 지남력 강화환경, 쾌적성, 사회적 환경으로 구분하였고, 공간계획요소는 국내 외 사례고찰로 병원, 요양원, 숲 등을 대상으로 하여 육체적, 정신적 안정에 도움을 주기 위한 공간 및 시설을 도입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계획요소로 공간계획, 동선계획, 포장계획, 수경계획, 식재계획, 시설계획, 프로그램으로 구분하여 계획요소를 도출하였다. 도출된 항목을 외부공간의 단지출입 영역, 내 외부 전이영역, 외부활동 영역, 테마별 공간영역으로 구분하고, 계획 요소로 공간계획에는 자연속 산책이 가능하고, 범죄로부터 안전, 다양한 휴게시설이 있도록 계획한다. 식재계획으로는 계절감을 느낄 수 있는 수목 식재, 촉각 미각, 후각을 자극하는 식물 식재, 풍부하고 다양한 식물 식재로 계획한다. 동선계획은 외부로부터 동선을 분리하고, 건강증진을 위한 산책, 지압로, 흙길 등 자연감상이 가능한 동선으로 계획한다. 포장계획은 위험에 쉽게 인식할 수 있고, 인공재료보다는 자연형 재료로 계획한다. 시설물계획은 취약계층을 위한 안내표, 강설시에도 이용할 수 있도록 쉘터 및 이동 가능한 벤치를 계획한다. 수 공간계획은 잔잔한 물 공간을 조망하는 사색 가능한 물시설과 분수 등 깔끔하고 도식적인 물시설로 계획한다. 치유프로그램으로는 휴식 명상을 취할 수 있으며, 요가, 산책 등 가벼운 운동을 위한 프로그램을 계획한다. 치유조경계획 요소를 도출하여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으나, 계획요소와 계획내용들이 치유기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을지에 대한 정성적, 정량적 평가가 제한되어 이에 대한 연구가 추후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