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이가 논리

Search Result 3,063,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The Effect of Inquiry Teaching Strategy Enhancing the Logical Thinking Skill through the Science Teaching about the 1st Year Students of the Junior High School (과학 수업에서 논리적 사고력 강화 탐구 교수 전략이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의 논리적 사고력에 미치는 효과)

  • Hong, Hyein;Kang, Soonhee
    •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v.58 no.6
    • /
    • pp.667-680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eaching stratege focused on Conservational reasoning, Proportional reasoning, Variable-controlling reasoning, Probabilitic reasoning, Correlational reasoning, Combinational reasoning and investigate its effects on enhancing students' logical thinking skills through the science teaching on common education. And the teaching materials was implemented to 110 students in middle school over about six month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presented statistically meaningful improvement in logical thinking skills (p<05). Especially, this teaching stratege was effective on Conservational reasoning, Variable-controlling reasoning, Combinational reasoning but was not effective on Proportional reasoning, Probabilitic reasoning, Correlational reasoning (p<.05). Logical thinking according to the teaching strategy skill was not affected by gender, cognitive level, academic achievement (p<.05).

논리-대수 구조에 관한 연구 - 격자 구조의 논리 철학적 함의에 관하여 -

  • Yang, Eun-Seok
    • Korean Journal of Logic
    • /
    • v.2
    • /
    • pp.119-150
    • /
    • 1998
  • 이 글의 기본적인 목적은 논리 체계의 근간이 되는 구조의 중요성을 부각시키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여기서는 그러한 구조 논의가 격자를 통해 마련될 수 있다는 점을 논리, 철학적으로 예증하였다. 구체적으로 첫째로 그간 이질적인 체계로 간주되어 온 명제를 대상으로 한 고전 논리와 직관주의 논리, 다치 논리가 모두 격지 구조를 갖는다는 것을 형식적으로 증명하였다. 둘째로 격자 구조가 갖는 철학적 함의를 멱등법칙을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 PDF

연관relevant논리와 다치논리의 관계 연구 : $BN_{c1}$$L{\L}C^+$의 구문론적 관계 연구

  • Yang, Eun-Seok
    • Korean Journal of Logic
    • /
    • v.5 no.1
    • /
    • pp.45-61
    • /
    • 2001
  • 이 글에서 우리는 연관 명제계산과 무한다치 명제계산 사이의 관계를 살핀다. 구체적으로 우리는 연관 명제계산 $BN_{c1}$이 무한다치 명제계산 $L{\L}C^+$를 포함하는 확장 체계로 간주될 수 있다는 것을 보인다. 즉 $L{\L}C^+$에 직관주의 명제논리에 사용된 부정을 첨가한 후, $BN_{c1}$이 이 체계 $L{\L}C^+$로 변역될 수 있다는 것을 보인다.

  • PDF

Lotfi A. Zadeh

  • Lee, Seung-On;Kim, Jin-T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2008.04a
    • /
    • pp.311-312
    • /
    • 2008
  • Fuzzy logic is introduced by Zadeh in 1965. It has been continuously developed by many mathematicians and knowledge engineers all over the world. A lot of papers concerning with the history of mathematics and the mathematical education related with fuzzy logic, but there is no paper concerning with Zadeh. In this article, we investigate his life and papers about fuzzy logic. We also compare two-valued logic, three-valued logic, fuzzy logic, intuisionistic logic and intuitionistic fuzzy sets. Finally we discuss about the expression of intuitionistic fuzzy sets.

  • PDF

현대논리학적 단초들을 중심으로 한 라이프니츠 논리학의 이해

  • Ha, Byeong-Hak
    • Korean Journal of Logic
    • /
    • v.2
    • /
    • pp.91-118
    • /
    • 1998
  • 라이프니츠는 일반적으로 현대논리학의 선각자라고 부른다. 그래서 라이프니츠 논리학에서는 현대 논리학을 이해함에 있어서 중요한 단초들을 발견할 수 있다. 라이프니츠의 논리학을 대표하는 개념으로는 흔히 보편수학, 보편기호학 그리고 논리연산학을 들곤한다. 라이프니츠의 보편수학의 이념은 연대 논리학이 논리학과 수학의 통일에서 출발할 수 있는 결정적인 근거를 제공했다. 이러한 현대 논리학의 출발에 있어서는 상이한 두 입장을 발견할 수 있는데, 부울, 슈레더의 논리대수학과 프레게의 논리학주의가 바로 그것이다. 이 두 입장은 "논리학과 수학의 통일"에 있어서는 공통적인 관심을 보이지만, 논리학의 본질을 라이프니츠의 보편기호학에서 찾느냐 또는 라이프니츠의 논리연산학에서 찾느냐에 따라 상이한 입장을 취한다. 이외에도 보편과학이나 조합술을 이해하지 않고는 라이프니츠 논리학에 대한 총체적인 시각을 갖기 힘들다. 이 두 개념은 특히 타과학이나 과학적 방법론과 관련지어 논리학이란 과연 무엇인가라는 논리철학적인 조명에 있어서 중요한 실마리를 제공한다.

  • PDF

Lotfi A. Zadeh, the founder of fuzzy logic (퍼지 논리의 시조 Zadeh)

  • Lee, Seung-On;Kim, Jin-Tae
    • Journal for History of Mathematics
    • /
    • v.21 no.1
    • /
    • pp.29-44
    • /
    • 2008
  • Fuzzy logic is introduced by Zadeh in 1965. It has been continuously developed by many mathematicians and knowledge engineers all over the world. A lot of papers concerning with the history of mathematics and the mathematical education related with fuzzy logic, but there is no paper concerning with Zadeh. In this article, we investigate his life and papers about fuzzy logic. We also compare two-valued logic, three-valued logic, fuzzy logic, intuisionistic logic and intuitionistic fuzzy sets. Finally we discuss about the expression of intuitionistic fuzzy sets.

  • PDF

Wittgenstein's Logic of Language and Metaphysics (비트겐슈타인의 언어 논리와 형이상학)

  • Byun, Youngjin
    • Korean Journal of Logic
    • /
    • v.16 no.3
    • /
    • pp.309-346
    • /
    • 2013
  • This paper deals with the problem, which logic of language and which metaphysics Wittgenstein suggests in the Tractatus logico-philosophicus. I will ultimately show how he bases the metaphysics on the logic of language. The logic of language by which Wittgenstein sets the limit to the language 'in the language' is the logical syntax of the language. And Wittgenstein extends the idea of the logical syntax to the understanding the nature of the world, i.e. to the metaphysics. The logical form the language(proposition) must have is the form of the world(or the nature of the world), and it can be determined only together with the logical syntax of the language. But what is the logical form(form of the world) 'cannot be said', since the proposition saying it is devoid of 'sense' and 'says nothing'. Therefore Wittgenstein expresses that the logical form(form of the world) 'can only be shown' in the proposition that has sense. The Metaphysics Wittgenstein wants to base on the logic of language(the logical syntax) must be mystical.

  • PDF

포트로얄 논리학에 있어서의 계사의 기능

  • Song, Ha-Seok
    • Korean Journal of Logic
    • /
    • v.5 no.1
    • /
    • pp.27-44
    • /
    • 2001
  • 아리스토텔레스 이후부터 프레게와 럿셀의 현대논리학이 등장하기 전까지 가장 중요한 논리학의 저서는 "포트로얄 논리학"이라고 알려진 "논리학 혹은 사유의 기술" 이다. 이 저서는 아리스토텔레스와 중세의 고전논리학적 요소와 프레게의 현대논리학적 요소를 동시에 지니고 있어 고전논리학과 현대논리학의 가교 역할을 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 논문의 목적은 포트로얄 논리학에 나타난 서술문의 계사에 대한 설명과 그에 대한 대립되는 해석들을 살펴보고 포토로얄 논리학전체 체계에 비추어 볼 때 어떠한 해석이 보다 설득력있는 해석인가를 검토해 봄으로써 포트로얄 논리학이 지닌 고전적 요소와 현대적 요소를 대비해 보는 것이다. 즉 포트로얄 논리학의 서술문의 계사에 대한 설명을 통해서 그 저서의 한계와 의미를 알아보고, 논리학사에서 그 저서의 정당한 가치를 평가하는 것이 이 논문의 목적이다. 서술문의 계사에 대한 포트로얄 논리학의 설명은 계사는 주어와 술어 사이의 동일성 기호라는 고전적인 해석을 가능하게 하는 여지를 가지고 있는 것은 분명하다. 동시에 서술문의 계사는 술어의 속성들의 집합(comprehension)에 속한 성질들을 주어의 외연(extension)에 적용시키는 역할을 한다고 주장함으로써 프레게의 개념과 대상에 대한 설명과 유사함도 보이고 있다. 필자는 포트로얄 논리학의 계사에 대한 설명을 주어와 술어의 동일성 기호로 해석하는 최근의 빠리앙뜨의 주장(1978)을 비판적으로 살펴보고, 포트로얄 논리학의 계사에 대한 설명을 보다 정확하게 이해하는 것은 술어의 속성과 주어의 외연 사이의 서술적 기능이라고 보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계사를 동일성 기호로 해석하는 것은 첫째 포트로얄 논리학 전체를 살펴볼 때 빈약한 문헌적 증거밖에 갖지 못하고, 둘째 논리학과 의미론에서 포트로얄 논리학의 가장 중요한 기여라고 평가되는 속성집합과 외연의 구별에 대한 오해를 포함하고 있으며, 마지막으로 이러한 해석은 같은 술어도 주어가 달라짐에 따라 다른 의미를 갖는다는 주장을 포함함으로써 반직관적이다. 반면에 계사를 서술적 기능을 하는 것으로 해석하는 것은 포트로얄 논리학의 외연과 내포 사이의 구별에 대한 보다 정확한 이해에 근거한 것이고 종속절을 갖고 있는 명제에 대한 포트로얄 논리학의 분석에 의해서도 뒷받침됨을 보인다. 그러나 포트로얄 논리학은 주어의 외연이 공집합인 명제에 대한 분석에서 여전히 고전논리학적인 설명을 고수한다. 즉 그러한 면제에 대해 주어의 외연이 존재한다고 가정하는 존재적 관점의 해석만 허락함으로써 전칭명제를 조건적으로 해석하고$[({\forall}x)(Sx{\rightarrow}Px)]$, 특칭명제를 연언적으로 해석함으로써$[({\exists}x)(Sx&Px)]$, 그 문제를 해결하는 현대논리학과는 구별된다. 즉 포트로얄 논리학은 서술문의 계사를 동일성 기호가 아니라 주어와 술어의 외연과 내포사이의 서술적 기능으로 설명한다는 점에서 고전적인 견해와 구별되지만, 여전히 존재적 관점에서 모든 명제를 해석한다는 점에서 고전적이다. 이것이 바로 포트로얄 논리학의 평가를 위해서 주목해야 할 그 논리학의 가치이며 한계인 것이다.

  • PDF

On 'Logical Space' of the Tractatus (『논리-철학 논고』의 '논리적 공간'에 관하여)

  • Park, Jeong-il
    • Korean Journal of Logic
    • /
    • v.19 no.1
    • /
    • pp.1-49
    • /
    • 2016
  • In the Tractatus, 'logical space' raises the several puzzles as follows. What are logical space, logical coordinates and logical place? What is the point of such analogies and what do they refer to exactly in the Tractatus? And what do occupy logical space? Can facts, proposition, propositional sign, situation and contradiction occupy it respectively? Or is it impossible to reconcile the remarks concerning logical place in the Tractatus? Futhermore, why did Wittgenstein need the concept of logical space? What is the problem that he tried to solve through this concept? In this paper, I will endeavor to answer to these problems. Logical space in the Tractatus is the system of propositions with senses. And it is the concept which Wittgenstein contrived by making model of Hertz's configuration space. Wittgenstein's fundamental coordinates are in some ways similar to geometrical ones. On the other hand logical coordinates are completely different from geometrical ones. Hence attempts to understand logical space by a kind of geometrical spaces cannot be right at all.

  • PDF

자체적으로 정당한 규칙과 논리상항의 의미

  • Jeong, In-Gyo
    • Korean Journal of Logic
    • /
    • v.6 no.2
    • /
    • pp.1-22
    • /
    • 2003
  • 타당한 논증과 논리적 귀결에 대한 프라위츠와 더밋의 증명 이론적 정의는 그 적절성을 위해 이른바 "근본 가정"과 "도입규칙들은 자체적으로 정당한 규칙들이다"는 두 논제들을 전제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어떤 규칙들 특히 도입규칙들이 자체적으로 정당하다는 두 번째 논제가 어떻게 이해될 수 있는지 살펴보고, 이 논제를 보다 분명히 드러내 보이려는 한 신도를 비판적으로 검토할 것이다. 그런 과정 중에 이 두 논제의 관계도 보다 분명히 드러내 보일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