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의향

검색결과 807건 처리시간 0.025초

지역소멸 위기감이 계속거주의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연령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Factors Affecting Residents' Propensity to Stay in Their Current Residence: Focused on Aging Effect)

  • 유나영;이기훈;마강래
    • 지역연구
    • /
    • 제38권4호
    • /
    • pp.19-29
    • /
    • 2022
  • 계속거주의향에 관한 기존 연구에서는 지역소멸 위기를 더 많이 느끼는 주민일수록 지역을 떠나겠다는 의향을 밝힐 확률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음을 밝히고 있다. 하지만 연령이 증가함에 따른 이동성 제약을 고려해 본다면, 지역쇠퇴와 이주의향의 관계성은 연령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본 연구는 지역소멸 위기감이 계속거주의향에 미치는 영향력이 연령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지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했다. <한겨레21>의 「인구감소 지역 주민들의 생활 실태와 인식 조사」자료를 사용해 분석한 결과, 계속거주의향에 대한 지역소멸 위기감의 영향력은 나이가 많을수록 작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인구감소지역에 대한 대응책을 수립함에 있어서 연령에 따른 차이를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준다.

몽골유학생의 그릿과 학업지속의향의 관계에서 친숙도와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 (Mediating Effect of Familiarity and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rit and Study Continuation Intention of Mongolian International Students)

  • 제남주;박미라;윤지원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6호
    • /
    • pp.199-205
    • /
    • 2022
  • 본 연구는 몽골유학생을 대상으로 그릿과 학업지속의향의 관계에서 친숙도와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를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전국 대학의 몽골유학생 124명을 대상으로 구글설문지를 활용하여 2021년 5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그릿은 한국문화에 대한 친숙도와 사회적지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학업지속의향은 그릿, 한국문화에 대한 친숙도, 사회적지지에 유의한 영향을 받았다. 그릿은 학업지속의향에 직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한국문화에 대한 친숙도와 사회적지지는 그릿과 학업지속의향의 관계에서 부분매개 효과가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학업지속의향을 높이기 위해 그릿을 높이고, 한국문화 친숙도와 사회적 지지체계를 활용한 돕는 상담 및 교육프로그램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구조방정식모형을 이용한 개인연금 가입의향의 결정요인 분석 (An analysis of determinants of purchase intension of individual pension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

  • 이찬희;정홍주
    • 응용통계연구
    • /
    • 제29권3호
    • /
    • pp.409-424
    • /
    • 2016
  • 본 연구는 노후대비를 위한 재무수단 중에서 중요성이 커지고 있는 개인연금의 가입의향에 영향을 주는 심리요인과 금융요인 간의 인과관계를 종합적으로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 7대도시에 거주하는 928명의 일반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자료를 토대로 구조방정식모형(SEM)을 이용하여 실증분석하였다. 구조방정식에 의한 실증분석결과, 개인연금 미가입자의 신규가입의향에 있어 장수에 대한 가능성과 대처효용성은 장수에 대한 정서인 두려움과 걱정을 완전매개로 하여 개인연금의 신규가입의향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보험사 신뢰와 위험감수성향은 직접적으로 개인연금의 신규가입의향에 영향을 주며, 특히 개인연금 가입의향에 대하여 보험사 신뢰가 가장 중요한 요인임을 보여주었다. 또한 개인연금 기가입자의 추가가입의향에 있어서는 보험사 신뢰만이 개인연금 추가가입의향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장수 관련 정서적 측면이 개인연금 미가입 고객을 대상으로 한 마케팅 활동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아울러 보험사 신뢰가 미래의 개인연금 신규가입뿐만 아니라 추가가입의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므로 보험사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한 노력이 긴요함을 시사한다.

사이버대학생의 학습성과에 대한 과제가치, 지각된 유용성, 교수실재감의 영향 (The Effects of Task Value, Perceived Usefulness, and Teaching Presence on Learning Outcomes in Cyber University)

  • 이정민;윤석인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449-458
    • /
    • 2011
  • 본 연구는 사이버대학생의 과제가치, 지각된 유용성이 학습성과(학습몰입, 학습지속의향)에 미치는 영향과 교수실재감의 매개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H 사이버대학생 137명을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그 결과, 과제가치와 지각된 유용성은 학습몰입과 학습지속의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으며, 교수실재감은 과제 가치와 지각된 유용성이 학습성과(학습몰입, 학습지속의향)을 예측하는 데 있어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사이버대학생의 학습성과(학습몰입, 학습지속의향)를 높이기 위해서는 과제가치, 지각된 유용성 향상을 위한 학습과정 설계 전략과 함께 교수자의 역할과 행동, 촉진을 제공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 PDF

DTV의 구매의향과 구매시기 결정요인 분석 (The Determinants of Households' DTV Purchase Probability and Time)

  • 윤충한;김용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8권3호
    • /
    • pp.646-653
    • /
    • 2007
  • 이 논문에서는 가구차원의 DTV 구매의향과 구매시기 결정요인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어떻게 변하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기존 연구에서는 가구 세대주의 학력이 높고, 가구소득이 높으며 통신 및 방송, 인터넷 등 정보통신 여러 부문에 대한 수용도가 높은 가구가 구매의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이 연구에서는 최근들어 가격인하 등에 따라 소비자들의 구매의향은 더 강해지고 구매 예정시기는 점점 앞당겨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DTV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보다 필수재에 가까운 성격을 띠는 재화로 그 성격이 변하고 있어 향후 DTV구매에 인구특성이나 디지털 방송 전환시기에 대한 인지 여부는 점차 구매결정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게 될 것이라고 예상할 수 있다.

  • PDF

여대생의 군(軍)에 대한 태도가 학군장교 지원의향에 미치는 영향 : 군에 대한 이미지의 매개효과 (The Effects of ROTC Volunteer on Military Attitude among Women University : the Mediacy Effect of Military Image)

  • 이형하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3년도 제47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21권1호
    • /
    • pp.123-126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여대생들의 군에 대한 태도가 학군장교 지원의향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규명하고자 한다. 이와 동시에 여대생의 학군장교 지원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여군에 대한 이미지의 매개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특히 군에 전문지식의 활용, 양성평등 의식, 군 가산점 제도 등의 군에 대한 태도와 군에 대한 다차원적인 이미지가 학군사관의 지원의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의 규명은 향후 여성병력 자원의 안정적인 수급과 사회체계와 연계한 정책입안에도 의미 있는 연구가 될 것이다.

  • PDF

유비쿼터스 환경하에서 지식정보자원의 활용방안 분석;부산지역 시민들을 대상으로

  • 정충식
    • 한국경영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경영정보학회 2007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429-434
    • /
    • 2007
  • 이 연구는 공공부문이 구축/관리중인 지식정보자원의 시민활용 실태를 점검하고 유비쿼터스 기술을 활용한 지식정보자원의 시민활용성 제고방안 모색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부산광역시의 시민 200 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지식정보자원에 대한 인지도/활용도/활용장애요인과 유비쿼터스 기술에 대한 인지도/활용도/유용성을 조사하였고, 향후 유비쿼터스 기술을 활용한 공공행정, 교육학술, 사회문화/복지, 생활경제 등 4 대부문 16 개분야 32 개의 지식정보자원에 대한 시민활용 의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지식정보자원에 대한 인지도와 활용도는 보통보다 낮은 수준에 있으며, 그 이유로는 개인정보유출에 대한 불안, 지식정보자원 소재에 대한 정보부족, 지식정보자원 활용 비용의 부담 및 활용의 불편 등으로 나타났다. 향후 유비쿼터스 기술을 활용한 지식정보자원 활용의향에 대해서는 실생활과 밀접한 관련을 갖고 있는 교통/기상정보, U-Care 및 U-Health 정보, 금융, 공연예술, 관광여가 등의 정보에 대해서는 높은 의향을 보이나, 실생활과 직접 관련이 적고 전문적인 능력이나 관심이 요구되는 행정정보공개, 정책참여, U-학술연구 등에 대해서는 낮은 의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제4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수립 관련 발전소 건설의향 계통영향 평가 (The Assessment on power system effect of the generation construction intents for the 4th electricity supply and demand plan)

  • 황종영;박진홍;원영진;안광원;이근업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8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전력기술부문
    • /
    • pp.155-156
    • /
    • 2008
  • 제4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발전소 건설의향 조사 수행이 지식경제부 주관하에 시행되었다. 이와 관련하여 발전소 건설의향조사 결과에 대한 계통영향 평가를 의뢰받아 수행하였다. 계통측면에서의 송전요금제도를 적용하여 계통보강비용 배분의 형평성 및 송전요금의 시장신호 기능 반영으로 경제적인 전력수급계획 수립을 도모하기위해 노력하였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한국전력에서 수행한 발전소 건설의향 계통영향평가 내용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 PDF

초등학생을 위한 프로그래밍 학습지속의향 검사 도구 개발 (Development of a Scale Measuring the Learning Persistence in Programming for Elementary Students)

  • 김지윤;이태욱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7년도 제56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5권2호
    • /
    • pp.203-206
    • /
    • 2017
  • 교육부에 따르면 초등학교에서의 프로그래밍 영역 교육 목표는 간단한 프로그래밍의 체험과 문제의 이해이다. 체험적 성격을 가진 프로그래밍 교육은 학습자의 프로그래밍에 대한 학습 동기를 유발시켜야 하며, 이는 중 고등학교에서 프로그래밍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는 밑바탕이 된다. 이를 통해 학습자들은 프로그래밍에 대한 학습을 지속하고자 하는 생각을 가질 것이며, 이를 위해서는 실제적으로 학습지속의향을 향상시키는 콘텐츠들의 개발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초등학생이 프로그래밍 학습을 하고 이를 지속하고자 하는 의도를 얼마나 가지는지를 측정하는 프로그래밍 학습지속의향 검사 도구를 제안하였으며, 그 타당성과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 PDF

SNS 브랜드개성, 자아동일시, 브랜드감정이 SNS 추천의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Brand Personality, Brand-Self-image Congruence and Brand Affect on SNS Brand Recommendation)

  • 하주용;한영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7호
    • /
    • pp.389-402
    • /
    • 2015
  • 유사한 속성을 가진 SNS들이 경쟁하는 상황에서 개별 SNS의 기능적인 특성뿐만 아니라 정서적인 속성인 브랜드 측면에서의 서비스 차별화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이용자들이 세가지 SNS브랜드(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밴드)들에 대하여 어떠한 이미지로 평가하는지, 그리고 브랜드개성과 더불어 브랜드-자아 동일시, 브랜드감정 등의 요인이 추천의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20대 대학생 이용자들의 각 SNS서비스에 대한 브랜드개성 평가에 차이가 났으며, 각기 다른 개성 요인이 각 서비스의 추천의향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브랜드개성과 브랜드-자아 동일시의 효과가 동일하다고 가정했을 때 브랜드감정이 SNS추천의향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세가지 SNS 모두에서 브랜드감정이 추천의향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설명력을 가지며 그 영향력은 브랜드개성이나 브랜드-자아일치도보다 두 배 이상 큰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