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의지

Search Result 2,314,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A Study on the Structural Model and Relation of will to Happy Life (행복한 삶을 위한 의지의 구조모델과 관계성 연구)

  • Jeong, Cheol-Yeong
    • Journal of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 /
    • v.13 no.3
    • /
    • pp.213-220
    • /
    • 2019
  • Desire for a happy life becomes the will that man instinctively desires. In that the conditions of happiness are subjective and varied, the will of subjective desires has been studied with the attention of objective tendencies. The positive and meaningful will of life in the desire for happiness leads us to be the functionaries who act. These wills can be the driving force of a happy life, which allows one to have a hopeful reflective will in one's inner life, connecting oneself with others, and working in relationships with others. In addition, those who become lazy or lose their orientation in life can instill a will to be the main character of life, and furthermore, to give the ultimate meaning and goals of life. To understand and analyze these wills for happy lives more specifically, structural model compatibility and confirmatory factors were conducted. relatively reliable α=.855 value, the coefficient of correlation between recognition and will **p<.01, *p<.05 statistically significant measuring tool of not less than 05 was used. The study results of the structural model suitability of the factors of will and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howed that the model set by the researcher could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data collected, and that the χ2(Chi-square) value was .126, which was consistent with the model by satisfying the acceptance criteria, and that the comparison of the reference values of the study model showed a relatively high level of suitability.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and defined and behavioral factors of subjective will and existent will variables, the results of a verification factor analysis show that the χ2(Chi-square) value is 2.36 and the model and data are consistent with the acceptance criteria, and that the test data is consistent with the model and data set by the researcher are consistent with the model5.0 Through structural model analysis of human will, it was confirmed that the variables of subjective and existential, sensible and reflective will directly and indirectly influence and form a complex relationship. Our will is recognized as the subjective will, and the structure of the subjective will consists of the sensible and reflective will,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gnitive and just action elements and the subjective will of the human life and the will to exist is shown to be very meaningful, so we should conduct the education of the happy will of the emotional and just areas of life as well as the reestablishment of the cognitive educational direction that can lead to action.

청년예비창업가의 창업가정신과 창업동기가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자본의 조절효과로

  • Gwon, Yeong-Seong;Jeong, Hwa-Yeong;Kim, Myeong-Suk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9.11a
    • /
    • pp.61-65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청년예비창업가의 창업가정신과 창업동기가 사회적 자본을 조절효과로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이다. 최근 앞으로의 국가경제를 이끌어갈 청년들의 일자리 부족문제와 청년실업률(15세에서 29세의 경제활동인구 중 실업자의 비율)의 증가에 따른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이를 극복하기 하고 국가경제발전을 위해선 창업은 매우 중요한 전략 중 하나이며 이를 위해 정부에서는 (청년)예비창업가들의 창업의지를 높이기 위해 다양한 노력하고 있다. 창업의지에 있어 창업가정신과 창업동기가 필수적으로 필요하며 이러한 창업가정신과 창업동기를 가지게 되면 (청년)예비창업가들은 자신들이 부족한 사회적 자본을 확보하기 위해 노력하게 되고 이러한 과정 속에서 사회적 자본을 가지고 있고 없고의 차이로 인한 (청년)예비창업자들의 창업의지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그렇기에 창업의지에 있어 창업가정신과 창업동기 그리고 사회적 자본의 중요성을 강조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첫째, 창업가정신이 창업의지에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 분석, 둘째, 창업동기가 창업의지에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 분석, 셋째, 사회적 자본이 창업가정신과 창업의지에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가지는지 여부 분석, 넷째, 사회적 자본이 창업동기와 창업의지에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가지는지 여부 분석 등이다. 현재까지 받은 140개의 설문을 받았으며, 본 연구는 창업가정신과 창업동기가 창업의지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지, 사회적 자본은 창업가정신과 창업의지의 관계에서 정(+)의 조절효과를 가질 것인지, 사회적 자본은 창업동기와 창업의지의 관계에서 정(+)의 조절효과를 가질 것인지 등을 분석할 것이다 앞으로 더 많은 설문지를 통해 가설에 대한 검증을 할 것이며 이에 본 연구결과를 통해 (청년)예비창업가에 창업의지에 있어 창업가정신, 창업동기, 사회적 자본의 필요성을 시사점으로 제시하려 한다.

  • PDF

대학생의 창의성과 자기효능감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Lee, Il-Han;Lee, Hyeon-Gyeong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6.04a
    • /
    • pp.190-193
    • /
    • 2016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창의성과 자기효능감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창의성은 유창성, 독창성, 도전성으로 구성되었다. 전문대학교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최종 265부를 분석에 이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창의성의 독창성, 도전성은 창업의지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유창성은 창업의지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효능감은 창업의지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의 학문적 시사점으로는 첫째, 창업에서의 창의성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상황에서 창업의지에 대한 창의성의 영향요인에 대해 연구를 하였으며, 둘째, 창의성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력은 창의성의 특성별로 차이가 있다는 결과를 얻었다는 것이다. 실무적으로는 창의성과 자기효능감을 높이기 위한 실습형의 체계적인 창업교육을 통해 창업의지를 높일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 PDF

대학생들의 창업가정신과 창업동기, 창업효능감과 창업의지와의 구조적관계모형

  • Kim, Yeong-Dae;Bae, Byeong-Yu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0.06a
    • /
    • pp.85-93
    • /
    • 2020
  • 본 연구는 전국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창업의지의 선행 변수을 규명하기 위해 구조모형으로 실증분석 하였다.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창업가정신을 독립변수로, 창업동기와 창업효능감을 매개변수로, 창업의지를 종속변수로 설정하였다. 진취성이 높을수록 창업동기에 정(+)의 영향을 줄 것이라는 가설1은 기각되었다. 혁신성이 높을수록 창업동기에 정(+)의 영향을 줄 것이라는 가설 2는 채택되었다. 위험감수성이 높을수록 창업동기에 정(+)의 영향을 줄 것이라는 가설 3은 채택되었다. 진취성이 높을수록 창업효능감에 정(+)의 영향을 줄 것이라는 가설 4는 채택되었다. 혁신성이 높을수록 창업효능감에 정(+)의 영향을 줄 것이라는 가설 5는 채택되었다. 위험감수성이 높을수록 창업효능감에 정(+)의 영향을 줄 것이라는 가설 6은 기각되었다. 진취성이 높을수록 창업의지에 정(+)의 영향을 줄 것이라는 가설 7은 기각되었다. 혁신성이 높을수록 창업의지에 정(+)의 영향을 줄 것이라는 가설 8은 채택되었다. 위험감수성이 높을수록 창업의지에 정(+)의 영향을 줄 것이라는 가설 9는 기각되었다. 창업동기가 높을수록 창업의지에 정(+)의 영향을 가설 10은 채택되었다. 창업효능감이 높을수록 창업의지에 정(+)의 영향을 가설 11은 채택되었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창업교육이나, 창업동아리활동, 창업경진대회 등의 활동경험이 없는 전국대학생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는 점이 선행연구와의 차별점이다. 또한 대학생들의 창업가정신, 창업동기 및 창업효능감, 창업의지와의 구조관계를 실증 연구하였다는 것이 선행연구의 차별점이다. 실증연구 결과를 통해 창업의지를 높이기 위한 방안이 무엇인지를 규명하고 제시하였다.

  • PDF

The Role of Reason in Aquinas' Theory of the Freedom of Will (의지의 자유선택에 있어서 이성의 역할 - 토마스 아퀴나스에게서 의지와 이성의 관계에 대한 하나의 고찰 -)

  • Lee, Sang-sup
    •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Society
    • /
    • v.145
    • /
    • pp.325-350
    • /
    • 2018
  • The overemphasis of the priority of reason over will runs the risk of resulting in intellectual determinism. On the contrary, it is also unfair to underestimate the role of reason in Saint Thomas Aquinas' theory of the free will to avoid intellectual determinism. For, according to Thomas, "the will inclines to the good, insofar as it is an appetite, and it follows the judgment of the reason in the pursuit of the good, insofar as it is a 'rational' appetite." It is the objective of this article to show that, for Thomas, the idea of the free will is not contradictory to that of the will's following the judgment of reason. For this purpose, it is decisive to adequately evaluate the role of reason in Thomas's theory of the free will. This article therefore proves that in principle Thomas argues the priority of the will over reason as well as the freedom of the will, and that he nevertheless recognizes the role of reason which precedes the choice of the will by making the second-level judgment even when the will chooses not to follow the first-level judgement of reason. It is entirely up to the will to follow the judgement and order of reason or not. It explains the freedom of the will. But 'not to follow reason' is contradictory to the essential determination of the will as the 'rational' appetite. For from the will's not following reason, wrong-doing follows; the human act which does not conform to reason. This article therefore argues that for Thomas, the 'true' liberty of the will corresponding to its determination as the rational appetite consists in its following the rule and order of reason, not in acting against the judgement of reason.

소중한 당신의 체중계_체중 조절 포기하고 싶은 순간 극복하기 - 다이어트 심리전에서 이기는 방법

  • Kim, Ha-Jin
    • 건강소식
    • /
    • v.36 no.9
    • /
    • pp.10-11
    • /
    • 2012
  • 다이어트를 여러 번 시도하고도 실패한 사람들은 자신의 약한 의지를 탓하기 쉽다. 물론, 다이어트에서 본인의 의지나 심리도 중요하지만 신체의 매커니즘을 단순히 의지만으로 극복하거나 조절하기가 쉽지 않으므로 지나치게 자신을 책망할 필요는 없다. 약한 의지력을 탓하기보다 의지력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을 알아보자.

  • PDF

퇴직예정경찰관의 심리적 특성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경력지향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Kim, Dae-Gwang;Lee, U-Ji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6.04a
    • /
    • pp.177-179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도 초 고령화시대가 도래 하고 있다. 80세의 평균수명이 100세 까지 늘어나면서 인생을 바라보는 관점이 달라지고 있다. 평생직장이 아닌 평생 직업으로 바뀌면서 정년 후 무엇을 하며 어떻게 살아갈 것인가. 경찰관 역시 후반전 인생설계를 하지 않을 수가 없다. 그러나 실상은 격무에 시달리고 퇴직 준비를 제대로 못하며 임무가 산적된 경우가 경찰관의 다반사가 현 실태이다. 그러면 이와 관련된 창업의 전 단계를 알아보자"퇴직예정 경찰관에게 심리적 특성요소들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과 -경력지향성의 조절효과 중심으로, 이에 부합되도록 예비창업가의 심리적 특성요인에 변수 요소를 찾아보면 사회적지향성, 성취욕구, 위험감수성, 자기 효능감, 창의성의 5가지 독립요소로 정리하고 창업의지를 종속 변수로 하여서 이들 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마찬가지로 예비창업자 경력과 창업의지와 관계를 알아보며 경력지향성에 포함되는 요소들 관리, 사업, 안정, 기술, 자율지향성은 퇴직경찰관의 심리적 특성요인과 창업의지에 조절변수 요소들로 상관관계들을 검토해보기 위해서 연구모형과 가설을 세워본다. 또한 이를 위하여 검증단계로 현직경찰관 154명에 대한 설문지를 발송하였으며 접수가 완료되면 검증을 실시하기 위해 통계분석 처리를 할 예정이다. 첫째. 예비창업자의 개인적 특성으로 구성하는 요소들은 사회적지향성, 성취욕구, 위험감수성, 자기 유능감 창의성은 창업의지와 (+)정의 관계로 창업의지에 영향이 미칠 것이다. 둘째. 예비창업자의 경력이 창업의지와 (+)정의 관계로 창업의지에 영향이 미칠 것이다. 셋째. 예비창업자 경력 지향성에는 관리지향성 사업지향성 자율지향성 기술지향성 안정지향성은 심리적 특성과 창업의지에 조절효과로 정(+)의 관계로 영향을 미칠 것이다.

  • PDF

직장인의 강점인식이 은퇴(퇴직)후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 Park, Hye-Seong;Park, U-Ji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8.11a
    • /
    • pp.149-151
    • /
    • 2018
  • 본 연구는 강점인식이 창업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을 확인하였고 강점 활용을 매개로 하였을 때는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였다.국내 유일의 기업도시와 혁신도시가 공존하는 원주 지역의 특성을 감안하여 공공기관 근무 직원 및 퇴직자와 일반기업 근무 직원 및 퇴직자 300명을 대상으,로 강점인식 강점 활용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 결과 도출을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가설을 설정하여 실증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첫째 강점인식 수준이 높을수록 창업의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둘째 강점인식 수준이 높을수록 강점 활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셋째 강점 활용 수준이 높을수록 창업의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넷째, 강점 활용은 강점인식과 창업의지관계에서 매개 효과가 있을 것이다. 2008년 전 세계적인 금융위기 이후 경영상 어려움을 겪는 소상공인들은 갈수록 늘어나고 직장인의 고용불안은 은퇴 후 경제적인 어려움을 겪는 이들을 창업시장의 전쟁터로 내몰고 있음에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선제적인 본인 스스로의 강점을 인식하여 창업을 준비하는 은퇴 후의 직장인들의 창업의지에 강정인식과 강점 활용의 중요성을 증진시키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 PDF

특성화고 앙트러프러너십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연구: 창업멘토링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Hwang, Bo-Yun;Lee, Hyeong-Ju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8.04a
    • /
    • pp.61-64
    • /
    • 2018
  • 우리나라 특성화고는 산업사회의 각 분야에서 종사할 유능한 인재를 양성하고 합리적이며 능률적인 직업인을 육성하려는 목표로 1998년에 도입되었다. 2010년에는 독일, 스위스, 오스트리아 등에서 자리 잡은 마이스터고 제도를 도입하여 변화를 시도하였다. 유럽에서의 마이스터고는 창업 성공률이 98%에 이를 정도로 창업의지가 높은 학생들로 구성되었다. 우리나라 또한 특성화고 학생들의 창업의지를 높이기 위해서 정부와 민간 기관에서 다양한 시도를 하였다. 창업진흥원의 기업가 마인드 확산 교육 비즈쿨(2002년), 한국시민자원봉사회의 특성화고 대상 창업 마인드 확산 경진대회 Be the CEO(2004년), 아산나눔재단과 어썸스쿨의 앙트러프러너십 교육 히어로스쿨(2014년) 등이 사례이다. 본 저자도 2011년부터 중소벤처기업부와 SK가 공동으로 주최하는 고교생 앱 개발경진대회를 직접 운영하면서 특성화고 학생들의 창업의지를 높이기 위한 방안에 대해 오랫동안 고민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특성화고 학생들의 앙트러프러너십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앙트러프러너십의 구성요소는 Miller(1983)가 주장한 위험감수성, 혁신성, 진취성에 기회인지를 추가하였다. 또한, 특성화고 학생들이 학교 교육과 다양한 외부활동을 통하여 접하고 있는 창업멘토링이 앙트러프러너십 구성요소와 창업의지간에 조절효과가 있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 491개(2017년 말) 특성화고등학교 중 지역별로 안배하여 14개 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시행하였으며, 설문서 287부를 실증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분석 결과 특성화고 학생의 기회인지, 위험감수성, 혁신성, 진취성은 모두 창업의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기회인지, 위험감수성 등 앙트러프러너십 요소와 창업의지 관계에서 창업멘토링의 조절효과는 진취성에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창업멘토링의 조절효과가 진취성에만 국한된 것은 특성화고는 창업보다는 취업 중심의 정책을 운영 중이어서 앙트러프러너십은 높으나 창업의지가 희박한 학생이 많았고, 기존의 창업멘토링 내용이 학생들의 창업의지를 높이는데 실제적인 도움이 되지 못하였으며, 창업을 가로막는 제도 때문에 멘토링 만으로는 창업의지를 높이는데 한계가 존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가 우리나라 특성화고 학생들의 창업의지를 높이는 방안에 대한 연구를 촉발하는데 조그만 보탬이 되기를 바란다. 또한, 창업의지가 높은 특성화고 학생들이 창업을 실행할 수 있는 환경이 구축되고, 특성화고가 취업중심의 정책에서 창업친화적인 정책으로 개선하는 데 촉매제가 되기를 바란다.

  • PDF

An Analysis of Factors on College Students' Entrepreneurial Intentions: Focused on the Motivation and Intended Startup Time (대학생의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창업동기 및 창업계획시기를 중심으로)

  • Kim, Jong-woon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9 no.1
    • /
    • pp.79-87
    • /
    • 2014
  • This paper aims to identify determinants of entrepreneurial intentions among college students of a university in Daejeon. We have used a revised Entrepreneurial Intention Questionnaire including personal trait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three factors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TPB), motivations to startup and planned startup time,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s. The analysis shows that there are strongly significant and positive relationships between the three TPB factors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s of college students. In addition, students' motivations to create a firm such as independence and self-achievement have a positive and significant effect on their entrepreneurial intentions, while the students who want to start their business right after their graduation have significantly higher entrepreneurial intentions than those who want to create a firm after doing a salaried job. Furthermore, students whose parents have created or operated a firm have no significant difference from others, and parents' startup business type a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ir sons and daughters' interested areas of busines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