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의사 결정

Search Result 7,898,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네트웍 기반 그룹의사결정지원시스템의 정보공유와 사용자관리를 위한 설계

  • 이동호
    • Proceedings of the Korea Association of Information Systems Conference
    • /
    • 1997.10a
    • /
    • pp.165-181
    • /
    • 1997
  • 경영환경과 조직의 분사화의 정도가 증가함에 따라서 의사결정지원시스템 (Decision Support System)에 있어서도 분산화 된 시스템의 요구가 증가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분산화 된 환경인 네트웍을 기반으로 하는 의사결정지원시스템을 대상 으로 사용자간의 정보공유와 사용자의 참여의 효과적인 관리를 위한 기능적 설계를 제시한 다. 정보의 공유는 의사결정지원시스템과 그룹의사결정지원시스템을 차별화 하는 가장 큰 특징이다. 이러한 정보의 공유는 과업을 수행하는 그룹단위(WorkGroup)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룹의 구성원들간의 의사소통과 정보를 저장하는 자료저장소(Data Warehouse)와 서버(Server)의 구축, 보다 사용하기 쉬운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Graphic User Interface)를 포함하는 전자우편(Electronic Mail), 의사결정에 참여한 사용자 에게 의사결정결과에 대한 구체적인 피드백(Feedback)을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의 구축과 같은 방법을 통해서 보다 효과적인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사용자의 관리는 의사결 정지원시스템이 효과를 결정하는데 중요한 요소의 하나로써 보다 많은 참여는 그륩시너지효 과(Group Synergy Effect)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완전한 익명성(Anonymity)의 확보는 기존 의 물리적인 제한을 가진 의사결정실 GDSS의 불완전한 익명성을 충분히 대체할 수 있을 것이다. 의사결정과정의 지원에 있어서도 사용자에게 회의의 기록을 자동적으로 제공하는 것과 병행하여 회의 중에 자신이 기록해야 할 사항을 추가적으로 기록할 수 있는 모듈 (Module)을 제공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일 것이다. 물론 이러한 모듈은 앞서 언급한 정보의 공유의 관점에서 본다면 참여자 자신의 피드백에 도움을 주며, 또한 유사한 수준의 다른 참 여자에게 있어서 문제에 대한 인식을 다른 사용자와의 비교를 통하여 일정수준으로 동질화 시킬 수 있게 된다.

  • PDF

Predicting Ripple Effect Affects Difficulty of Decision-Making: The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Accountability for Results of Decision-Making (파급효과 예측과 의사결정의 어려움: 의사결정 결과에 대한 책임감과 부담감의 매개효과)

  • Minjo Lee;Hyekyung Park
    • Korean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
    • /
    • v.23 no.4
    • /
    • pp.557-585
    • /
    • 2017
  • In this research, it was examined whether predicting the ripple effects of events influences decision-making difficulty. In addition, it was examined whether perceived accountability for decision-making results mediates the relation above. In Study 1, participants were presented with policy decision-making vignettes and were asked to report on the ripple effects of their policy decisions as well as on the difficulty of making the decision. Consistent with the hypothesis, the bigger the expected ripple effects, the greater difficulty participants felt in making policy decisions. In Study 2, ripple effect magnitudes were experimentally manipulated such that participants were led to predict big ripple effects in one condition and relatively small ripple effects in another condition. It was investigated whether participants predicting bigger ripple effects would perceive decision-making to be more difficult than participants predicting smaller ripple effects. Whether this relation would be mediated by perceived personal accountability for the results of decision-making was also examined. Consistent with expectations, it was found that in the moral domains of Harm/care, Fairness/reciprocity, and Ingroup/loyalty, participants predicting bigger ripple effects reported more difficult decision-making than their counterparts. The relation above was mediated by perceived personal accountability for decision-making results only in the domain of Ingroup/loyalty. In combination, these results showed that bigger predicted ripple effects contributed to greater decision-making difficulty. In addition, participants felt more responsible for the results of their decisions when predicting bigger ripple effects, which led them to feel greater decision-making difficulty in the domain of Ingroup/loyalty. The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and future directions for research are discussed.

Effective Coordination Method of Multi-Agent Based on Fuzzy Decision Making (퍼지 의사결정에 기반한 멀티에이전트의 효율적인 조정 방안)

  • Ryu, Gyeong-Hyeon;Jeong, Hwan-Mu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2006.11a
    • /
    • pp.247-250
    • /
    • 2006
  • 급속도로 변화하는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서 환경의 변화에 대한 요구와 신속한 응답능력을 향상시키고, 에이전트간 의사결정의 지속시간을 줄이기 위하여 에이전트간 효율적인 조정에 관련된 의사결정을 하기위한 대안(alternative)결정과 사용자의 선호도를 어떻게 유도할 수 있는가라는 문제가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사회적(Pareto) 최적성이라는 관점에서 의사결정의 행동을 효과적으로 시뮬레이트하기 우해 퍼지 의사결정에 기반한 멀티에이전트의 효율적인 조정방안을 제안한다. 또한 제안하는 방법에서는 가중치를 사용하여 각 속성이 멀티에이전트와 관련하여 최적의 대안을 생성하고, 퍼지 의사결정에 기반한 멀티에이전트의 의사결정방법에 기존의 방법보다 가중치를 사용한 방법이 높은 신뢰도를 가지면서 더 빠른 의사결정을 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Evaluation of Flood Protection Measurement by MCDM (의사결정기법에 의한 홍수방어대안의 평가)

  • Kang, Seongkyu;Choi, Si Jung;Lee, Dong Ryu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371-371
    • /
    • 2017
  • 평가기준과 대안의 종류가 다양한 경우 사용하는 다기준의사결정기법은 생산관리, 공공투자 분야 등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수자원분야에서는 주로 홍수위험지구 선정에 사용되어 왔다. 다기준의사결정기법은 평가기준의 한정여부 및 대안을 찾는 방식에 따라 다속성의사결정기법과 다목적의사결정기법으로 다시 구분할 수 있다. 홍수방어대안을 의사결정방법에 따라 결정하는 경우, 해당지역의 환경에 따라 가능한 대안은 유한하며 한 개의 최적해를 선정하기보다는 대안의 우선 순위를 결정하여 지역 상황에 적합한 대안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는 측면에서 다속성의사결정 기법을 활용하여 순위를 정하는 것이 타당하다. 본 연구에서는 과거 홍수피해 지역에서 적용이 가능한 대안을 경제성분석을 동반하여 평가하고, 실제 대안의 실효성을 검증하였다. 홍수방어대안으로는 전통적인 구조물적 방법 및 비구조물적 방법에 도시계획 및 토지이용계획을 포함하여 가능한 대안을 검토하였다. 또한 적용 가능한 다른 대안을 다기준의사결정기법을 활용하여 우선순위를 결정하여 제시하였다. 향후 도시계획의 수립에 있어 홍수방어에 대해 고려할 수 있는 방법이 될 수 있다.

  • PDF

Decision making factors of IT Outsourcing in Public sector : A Delphi Mehod (공공부문 IT 아웃소싱 의사결정 요인 도출 : 델파이 방법)

  • Yoon, Sung-Chul;Lee, Seul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3.05a
    • /
    • pp.171-179
    • /
    • 2003
  • 기업들은 IT 아웃소싱을 통하여 급속한 IT의 변화에 대하여 신속히 적응하고, IT 구축 및 운영 비용을 효율적으로 절감하고 있으며, 특히 IT의 전략적 가치가 주요해짐에 따라 아웃소싱을 통하여 서비스 품질을 향상시키고, 핵심역량에 집중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공기업에서도 최근의 정부의 민간위탁에 대한 적극적인 제도 지원에 의해 IT 아웃소싱이 활성화되고 있으나, 이에 따른 의사결정을 위해서는 민간 부문과는 다른 요인들이 고려되어야 한다. 지금까지 많은 연구가 주로 위험요인, 조직요인, 도입목적 등의 단편적인 요인들을 제시하는 수준이었기 때문에 실질적인 의사 결정에 있어서는 활용성이 부족하므로, 본 연구에서는 실질적인 의사결정을 지원할수 있도록, 기존 연구들을 바탕으로 IT 아웃소싱 의사 결정의 전범위에 걸친 체계적인 의사결정 모형을 제시하고, 각 의사결정단계에서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하는 요인들을 구체적으로 나타내고자, IT 아웃소싱의 의사결정 영역을 네가지로 분류하고, 고려해야 할 55개의 요인들을 문헌연구들을 통하여 도출하였다. 그리고, 11명의 전문가 집단을 구성하여 각 의사결정 영역별로 주요한 요인들을 도출하였다. 또한, 공기업 M사 사례를 통하여 IT 아웃소싱 의사결정 프로세스의 실례를 보여줌으로써 향후 활용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 PDF

인지과학을 통한 해기사들의 의사결정 기준 형성 분석

  • 이희진;박득진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3.05a
    • /
    • pp.166-166
    • /
    • 2023
  • 본 연구는 인지과학을 통해 해기사의 행동을 분석하였다. 인지과학은 인간의 판단이 논리적이지 않으며 모든 의사결정이 기억에 의존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그래서 본 연구는 해기사의 의사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기억 유형을 확인했다. 본 연구는 해기사의 의사결정 과정을 분석하기 위한 과학적 접근과 MASS에 적용하기 위한 의사결정 모델 구축을 위한 공학적 접근을 취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Concepts of Legal Competence Concerning Adults Guardianship Acts (성년후견법률에 나타난 의사결정능력의 개념에 관한 연구 - 영국 정신능력법(Mental Capacity Act, 2005)을 중심으로 -)

  • Kim, Moon-Geun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 /
    • v.41 no.3
    • /
    • pp.241-269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rguments about the conceptualization and the assessment of mental capacity and legal competence concerning the adult guardianship. Based on these literature reviews, the author analysed Mental Capacity Act 2005 of United Kingdom. The act conceptualizes legal competence as a concept dependent on a specific decision, time, and environmental support or convenience. According to the act, the assessment of the legal competence shall be made with ensuring the person all the viable supports and environmental conveniences. And it appears that the hierarchical assessment system of the act assures that the more the decision is important the more professional and more formal assessment shall be used. Based on these findings the author suggested several implications for the legislation of a new adult guardianship act in Korea.

Implementation of a Web-based MGDSS for Coordinated Multiple Reservoir Operation (저수지군 연계운영을 위한 웹 기반 다기준 그룹의사결정지원 모형의 구현)

  • Cho Namwoong;Lee Yongdae;Kim Sheung-Kow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05b
    • /
    • pp.1417-1421
    • /
    • 2005
  • 현실에서 실제 존재하는 문제들은 단일 목적이 아닌 다수의 목적들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수자원 분야의 저수지군 연계운영 경우 용수공급 부족량의 최소화, 저수량의 최대화, 발전량의 최대화, 그리고 수계외 유출량의 최소화 등의 다중목적들로 이루어지는데 저수량의 최대화와 발전량의 최대화처럼 서로 상충되는 목적들이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저수지군 연계운영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위와 같이 상충되는 목적들 간의 trade-off를 고려한 여러 대안을 도출하여 댐운영 의사결정자들 간의 협의를 통한 적절한 대안이 선택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자료의 공유가 필수적이며 각 의사결정자들의 요구사항 및 평가기준들이 합리적으로 수용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웹을 활용하여 의사결정자들에게 상충된 목적들에 대하여 실시간으로 대안을 제공하고 의사결정자들의 의사를 바탕으로 합의된 저수지군 연계운영 방안의 도출을 지원하는 웹 기반 다기준 그룹의사결정지원 모형을 구현한다. 합의된 해 선정을 위한 대안들은 CBITP(CHIM based Interactive Tchebycheff Procedure)를 활용한 다중목적 계획법에서 제시한 방안들을 이용하며 그룹의사결정은 PROMETHEE(Preference Ranking Organization Method for Enrichment Evaluation) 기법을 사용한다.

  • PDF

Principles for the Development of Mathematics Textbook for Decision-Making based on Storytelling ("의사결정형" 스토리텔링 수학 모델 교과서의 개발 원리: 조건부 확률 단원을 중심으로)

  • Ju, Mi-Kyung;Park, Jung Sook;Oh, Hye Mi;Kim, Young Ki;Park, Yun Gun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27 no.3
    • /
    • pp.205-220
    • /
    • 2013
  • In this research, in order to investigate the principles for the development of mathematics textbook for decision-making based on storytelling, we conceptualized the educational meaning of decision-making and specified the principles and the methods for the textbook based on decision-making. We illustrated the principles and the methods by the cases from the model textbook for the conditional probability that we have developed. We discussed the implication for the futur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mathematics textbook for decision-making based on storytelling.

Comparisons Between Computer-mediated and Face-to-face Communications in Decision Making and Personality Judgment (가상공간과 면대면 조건간 의사결정과 성격평가의 비교)

  • 조운정;정태연;한승숙;조민선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Cognitive Science Conference
    • /
    • 2002.05a
    • /
    • pp.99-104
    • /
    • 2002
  • 본 연구는 의사결정과 성격평가에 있어서 컴퓨터를 매개로 한 의사소통(CMC) 조건과 면대면 조건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4∼5명으로 구성된 17개 집단 각각은 CMC 조건에서 기여입학제, 면대면 조건에서 학부제에 대해 30분씩 찬반토론을 하였다. 참가자들은 토론 전 및 진행동안 매 8분씩 총4회에 걸쳐 개인 의사결정을 평가하였고, 토론 마지막 부분에서 집단의사결정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두 조건 모두에서 집단의사결정의 극단화 현상이 나타났다. 면대면 조건에서는 집단토론이 이미 초기단계에서 개인들의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쳐 더 극단적으로 변화시켰지만, CMC 조건에서는 집단토론이 개인의사결정에 어떠한 영향도 미치지 않았다. 또한, 각 조건에서 토론 후 자신과 타인에 대한 성격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두 조건 모두에서 자신에 대한 평가는 유사했으나, 다른 사람에 대한 평가는 면대면 조건보다 CMC 조건에서 더 부정적이었다. 또한, CMC 조건보다는 면대면 조건에서 나에 대한 자기평가와 타인에 의한 평가간의 일치도가 외향성과 지적인 측면의 교양 차원에서 더 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