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의사결정방법

Search Result 2,557,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Practical and Flexible Decision-Making Using Compilation in Time-Critical Environments (시간 제약적인 환경에서 컴파일 기법을 사용한 실질적이며 유연한 의사결정 방법)

  • 노상욱
    • Journal of KIISE:Software and Applications
    • /
    • v.30 no.12
    • /
    • pp.1220-1227
    • /
    • 2003
  • To perform rational decision-making, autonomous agents need considerable computational resources. When other agents are present in the environment, these demands are even more severe. In these settings, it may be difficult for the agent to decide what to do in an acceptable time in multiagent situations that involve many agents. These problems motivate us to investigate ways in which the agents can be equipped with flexible decision-making procedures that enable them to function in a variety of situations in which decision-making time is important. The flexible decision-making methods explicitly consider a tradeoff between decision quality and computation time. Our framework limits resources used for agent deliberation and produces results that are not necessarily optimal, but provide autonomous agents with the best decision under time pressure. We validate our framework with experiments in a simulated anti-air defense domain. The experiments show that compiled rules reduce computation time while offering good performance.

External Rate of Returns as Decision Rule (의사결정기준으로서 외부수익률이 가져야할 조건)

  • Kim, Jin-Uk;Cha, Dong-Su;Park, Chun-Tae;Gwon, Bong-Gi;Kim, J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05a
    • /
    • pp.746-748
    • /
    • 2004
  • 공학적 투자사업을 선택하거나 기각하는 의사결정기준으로 내부수익률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투자사업에서 예상되는 현금흐름의 형태에 따라 다수의 내부수익률이 존재하는 상황이 발생하면 내부수익률법은 의사결정기준으로 사용하기에 부적합하다. 내부수익률의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전체 수익률 또는 외부수익률을 의사결정기준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외부수익률도 다양한 방법으로 정의되어 의사결정기준으로 적합한 외부수익률 계산방법을 정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공학적 투자사업의 의사결정기준으로 적합한 외부수익률의 조건을 순현재가 치법과 비교하여 탐색한다.

  • PDF

충돌상황에서 항해사의 의사결정에 따른 상황인식 지연 측정에 관한 연구

  • 박득진;임정빈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1.11a
    • /
    • pp.183-184
    • /
    • 2021
  • 선박의 자율운항을 위해서는 선박 충돌회피에 대한 사전 연구가 필요하다. 항해사들의 상황인식과 의사결정에 기여하기 위해 주변 상황 환경을 인식하고 의사결정을 하기까지 걸리는 시간을 지연(latency)이라고 한다. 따라서 연구 목적은 선박 충돌 상황에서 항해사의 의사결정 지연시간을 측정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항해사를 대상으로 시뮬레이션을 통한 테스트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항해사가 선박충돌상황시 상황인식과 의사결정간의 상관관계를 도출할 수 있었다.

  • PDF

Decision Tree-based Analysis to Effective Studying Methods during Vacation (의사결정트리를 사용한 방학 중의 효과적 학습 방법)

  • Kim Hea-Suk;Moon Yang-Sae;Kim Jin-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6.06c
    • /
    • pp.37-39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방학 중 효과적인 학습 방법을 분석하기 위해 의사결정트리를 사용한 접근법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우선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방학 중의 학습방법에 대한 다양한 요소를 도출한다. 다음으로, 의사결정트리를 사용하기 위한 데이터 변환 및 분석 방법을 제안한다. 마지막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한 현실의 구체적 데이터에서 의사결정트리를 생성한다. 중학교 학생들에 대한 설문조사를 분석한 결과, 세 가지 의미 있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인터넷 학습사이트 이용은 성적 하락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적 변화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했던 과외는 실제로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다양한 학습방법의 병행은 오히려 성적 하락의 요인이 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분석 방법 및 결과는 학생들의 방학 중 생활 지도나 학습 계획 수립에 많은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사료된다.

  • PDF

모형을 이용한 마아케팅 의사결정

  • 한민희
    • Korean Management Science Review
    • /
    • v.3
    • /
    • pp.9-17
    • /
    • 1986
  • 본 고는 미국 실무계에서 점점 주목을 받고 있는 '모형을 이용한 마아케팅 의사결정방법'을 소개하고, 이 방법론을 우리나라에 도입하는데 고려해야 할 사항들을 검토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미국에서 이러한 방법론이 어떠한 단계를 거쳐 실무계에 수용되게 되었는지 그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우리나라에서도 예상되는 애로점과 그 해결방안을 고려해보는 것이 중요하리라 생각된다.

  • PDF

Types of Shared Medical Decision Making for Terminally Ill Patients (말기 환자의 공유 의료적 의사결정에 관한 의료인의 인식 유형)

  • Jo, Kae Hwa;Kim, Gyun Moo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v.17 no.4
    • /
    • pp.278-288
    • /
    • 2014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ypes of shared medical decision making by health professionals in a decision making position. Methods: The Q-methodology was used. Q sample was constructed with a total of 35 Q-statements that were offered with a 9-point rating scale. The statements were structured to generate answers that would form a shape of a normal distribution. Answers to Q sample were analyzed using a QUANL PC program. Results: Four types of shared medical decision making were identified. Type I is patient-centered decision making, Type II is physician-centered, Type III is health professional-centered and Type IV is patient-family-centered. Conclusion: Study results indicate that it is recommended to develop an education program based on the four types of shared medical decision making so that health professionals can be provided with different approaches according to their decision making style.

Issues of Developing Decision Support System for Spatial Planning (국토공간계획을 위한 의사결정지원체계 개발과제와 해결방안)

  • Choe, Byong-Nam;Im, Eun-Sun;Kim, Kirl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7.10a
    • /
    • pp.131-139
    • /
    • 2007
  • 국토기본법과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은 국토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정책 및 계획을 규정하고 있다. 이를 효율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GIS를 기반으로 공간의사결정 지원체계 구축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 이는 그 동안 행정업무를 위한 자료관리 중심의 정보화에서 공간자료분석을 기반으로 한 정보화에 대한 새로운 수요라고 할 수도 있다. 그러나 국토공간계획을 지원하기 위한 의사결정지원체계를 성공적으로 구축하기 위해 해결해야 할 많은 과제들이 있다. 본 연구는 국토공간계획을 위한 의사결정지원체계를 구축하는데 장애가 되는 과제를 파악하고, 해결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델파이 조사를 실시했다. 본 연구는 공간의사결정지원체계의 설계 및 개발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을 중심으로 research questions를 가지고 접근했다. 시스템 설계 관점에서 처리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입력되는 자료와 지식, 분석처리하는 방법, 인터페이스 등을 중심으로 research question을 설정했다. 시스템 개발과 관련하여 개발도구 확보, 이해관계자 참여 방안, 시스템의 지속성 확보 등을 중심으로 research questions를 설정했다. 마지막은 향후 공간의사결정 지원체계의 연구 및 개발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파트너쉽에 대한 research question이다. 지금까지 국내에서 공간의사결정지원체계 구축과 관련해 기초적인 이론이나 방법론에 대한 연구가 미흡했다. 대부분 외국의 연구 및 개발사례를 소개하는 수준에 불과하다. 특히 공간의사결정지원체계를 구축하거나 운용하는 기반기술인 개발도구에 대한 기술수준이 상당히 미흡하다. 조사결과에서 공개소프트웨어 도입에 대한 필요성 강조가 이를 반증하고 있다. 또한 시민사회의 성숙, 다양한 사회단체 출현 등으로 국토공간계획 과정에 이해관계자 참여정도가 질적 양적으로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이에 대응하기 위한 기술, 기법 등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흡하고 단편적으로 관련 기술을 소개하는 정도이다. 국토공간계획 및 정책과 관련한 다양한 문제해결을 위한 공간의사결정지원체계를 구축하기 위해서 장기간에 걸긴 단계적 접근이 필요하다. 국토공간계획은 우리나라만의 자연 환경 및 인문환경의 특성이 반영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우리의 개발방법론, 우리의 기술이 개발되어야 하며, 이를 체계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협력체계 구축이 필요하다.

  • PDF

A Study on Applying SDSS to Landcover Change Detection for Enhanced Performance (토지피복 변화탐지력 제고를 위한 의사결정방법 도입에 관한 연구)

  • Kim, Sun-Soo;Heo, Yong;Yu, Ki-Yun;Kim, Yong-Il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13 no.2 s.32
    • /
    • pp.3-12
    • /
    • 2005
  • Change detections are widely used for its usefulness. During the process two factors are important; one is which method is to be adopted and the other is what should be the appropriate critical value. Until far, these factors are mostly decided by users based upon their knowledge from past experiences. In this paper we propose a set of methodologies that allow users maintaining optimal decisions on which change detection method is the desirable one, what might be the suitable critical value, and what does the introducing SDSSs(Spatial Decision Support Systems) to change detections means.

  • PDF

The Evolution of Cooperation according to Decision Making Methods of Strategic Coalition in Iterated Prisoner′s Dilemma Game (반복적 죄수의 딜레마게임에서 전략적 연합의 의사결정 방범에 따른 협동의 진화)

  • 양승룡;노혀걸;조성배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2.04b
    • /
    • pp.310-312
    • /
    • 2002
  • 반복적 죄수의 딜레마게임은 복잡한 사회현상들을 모델링 하기 위하여 주로 사용되는 방법이다. 본 논문에서는 집단을 협동으로 진화시키는데 있어서 전략적 연합을 이용하는 방법과 전략적 연합에 속해 있는 전략들이 연합의 의사를 결정할 때 어떠한 방법을 선택할 경우 더 빠르고 안정적으로 진화하는가에 대한 실험 결과를 제시한다. 의사결정방법으로는 신경망으로 결합에 주로 사용되는 투표방법 Borda 함수, Condorect 함수, 평균방법 그리고 최고이득 함수방법 등을 사용하였다. 실험결과 최고이득 함수 방법이 가장 좋은 결과를 보였으며 결합 방법에 따라 다소 상이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 PDF

A Study on Application of Family Group Conferencing Model in Korean Child Protection: Focus on Family Group Conference in New Zealand (한국 아동보호체계에 있어서의 가족의사결정모델 적용가능성에 관한 연구: 뉴질랜드의 패밀리그룹컨퍼런스 제도를 중심으로)

  • Jung, Eun-Ju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hild Welfare
    • /
    • no.27
    • /
    • pp.7-35
    • /
    • 2008
  • The model of family decision-making in child protection has been widely discussed and adopted in many countr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troduce the model and, then, investigate whether this process is applicable in child care and protection services in Korea. The main goal in the study has been to explore the philosophical and practical foundations of the family involvement approach in decision-making and describe the international applications of the model. Family group conferencing, originally developed and enacted in New Zealand, has been critically examined. The potential contributions of the study may include seeking a more effective intervention for child protection through determining whether the model is appropriate or desirable in issues of philosophy, practice and policy within the Korean cul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