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의복 이미지

검색결과 250건 처리시간 0.025초

노년층여성(老年層女性)의 의복(衣服) 자아(自我)이미지에 따른 소비자특성분석(消費者特性分析) (Analysis Consumers Characteristics on Clothing Self-Image of Elderly Women)

  • 배현숙;유태순
    • 패션비즈니스
    • /
    • 제2권4호
    • /
    • pp.112-125
    • /
    • 1998
  • This study is to grasp the variousness of clothing worn by elderly women with the ideal self-image by group and by finding out the characteristics of higher-image groups and lower-image group. The object of this study was a total of 488 elderly women above full 55 from an elderly women and who lived in downtown Pusan ionnaire. For statistical disposition, the analysis of factors and frequency was carried ou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realistic self-image and ideal self-image, the realistic self-image was derived as 5 factors-voguishness, loftiness, freshness, feminality, activeness and the ideal self-image as 4 factors-activeness, loftiness, feminality, voguishness. 2. The perceptive age according to age in the realistic self -image reflects that though the 50' s percept the 50' s, the 60' s percept the 50' s and the 70' s the 60' s and also in the ideal self-image, it shows the same result. 3. The degree of satisfaction of build in the realistic self-image appeared that the 50's unsatisfied, the 60's and the 70's felt so, and in the ideal self-image, the 50's and 60's unstisfied, the 70's so. 4. The ideal image according to age in both the realistic self-image and the ideal self-image of clothing appeared that all the 50' sand 60' s wanted a good impression and the 70' s wanted a gentle impression. 5. The frequency of doing a make-up by age in all elder women according of the realistic self-image of clothing showed that the case of doing a make-up when going out only was the greatest number and also in the ideal self-image, it agrees to the same.

  • PDF

근대시기 일본의 국어과(國語科) 교과서에 나타난 한국 (Depiction of Korea in Pre-Modern Japanese language Textbooks of Japan)

  • 박소영;정재윤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458-466
    • /
    • 2015
  • 이 글은 근대 일본의 국어교과서에 기술된 한국을 분석하여 당시 한국에 대한 인식이 어떠했는지 살펴보는 것이 목적이다. 이 연구에서는 일본에서 국정교과서제도가 시행되었던 제1기(1904년)부터 제5기(1945년)까지의 국어교과서에 수록된 한국 관련 내용을 살펴보았다. 근대 일본의 국어교과서에서 한국관련 내용은 신공황후, 도요토미 히데요시, 풍속, 인삼, 서울과 시골풍경 등의 내용으로 요약 가능하다. 신공황후와 도요토미 히데요시를 통하여 한국은 수동적인 약소국의 이미지가 부여되었다. 또한 온돌, 의복, 의례 등 일본과 다른 문화를 지닌 한국을 소개하기도 하였으나, 짐을 실어 나르는 말과 비위생적인 모습을 제시하여 전근대적인 측면을 부각하고 조선총독부와 일제에 의해 신축된 건축물을 중심으로 서울을 묘사함으로써 식민성을 강조하였다. 나아가 조선의 시골 모습을 배경으로 한 이야기를 통하여 내선일체를 유도하였다

외향성-내향성, 성별 및 연령과 의복이미지 선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lothing Image Preferences Associated with Extroversion-Introversion, Gender, and Age)

  • 이명희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6권12호
    • /
    • pp.105-114
    • /
    • 1998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classify the contents of clothing image preferences, and to examine how clothing image preferences vary according to extroversion-introversion, gender, and age. Subjects for the study were 627 men and women ranging in ages from teens to forties in Kwangju City, Korea.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Four factors of clothing image preference derived by factor analysis : F. 1 'peculiar image' ; F. 2 'noble image' ; F. 3 'bright image' ; F. 4 'sprightly imagel'. 2) The interaction between extroversion-introversion groups and gender groups was significant for sprigtly images. The men of extroversion group tended to prefer gentle images, while the women of extroversion group preferred sprightly images. 3) The women liked sprightly images more than the men, the liked gentle images more. Women in their 20's liked sprightly image most, but as they grew older they tended to prefer gentle images. 4) The extroversion groups liked peculiar images more than the introversion groups. Teens liked peculiar image more than the others, subjects in their 30's and 40's preferred commonplace images. 5) The extroversion groups liked noble images more than the introversion groups. Women in their 30's and 40's liked popular images more than female subjects in their teens and twenties. Women in their teens and twenties liked popular images more than did the men in the same age group. 6) The extroversion groups liked bright images more than the introversion groups. Men in their teens and 20's liked bright images more than did men in their 30's and 40's. This finding suggests that women liked sprightly and noble clothing images, and men liked commonplace and gentle images. As they grew older, they tended to like commonplace, popular, and gentle clothing images. The extroversion groups liked peculiar, noble, and bright images more than did the introversion groups. The results of this study mean that personality traits such as extroversion-introversion are characteristics that affect clothing preferences, and it is possible to infer people's personality by their attire.

  • PDF

한국도시여성의 얼굴색과 의복색과의 배색이미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ordination Image of Korean city woman's Face Color (5YR 7/3) and Clothes Colors)

  • 이정옥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68-180
    • /
    • 1995
  • The purpose of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how each clothes colors on the basis of 5YR 7/3 face color affect clothes colors images as follows : (1) what general consciousness of clothes colors in, (2) how the impression of the harmony of 5YR 7/3 face color and clothes colors is, (3) when we divide clothes colors according to the property of colors- chromatic color and achromatic color, cool color.neutral color.warm color, in tone, in color colume- if there is the difference of visual evaluation, (4) image analysis of 45 clothes colors with the view of each kind of adjective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the following: 1.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general consciousness on clothes colors, when subjects chose clothes, they most considered colors and they also considered their face colors. They would choose the color of clothes, which were becoming to their having clothes colors or their face colors when they bought clothes. 2. The impressions of coordination of 5YR 7/3 face color and clothes colors consisted of three dimensions - evaluation, activity and harmony. 3. It was known tha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visual evalutional differences according to dividing the clothes colors by property of colors, there were such notable differences that they might effect the coordination images of face color and clothes colors differently. 4. After arranging 45 clothes colors on the graphs in 17 adjectives, gethering them thogether in each dimension and as the result of the analysis in the evaluation dimension, estimation of yellow, light green column were low and that of achromatic colors were high. That is, it was known that the evalution dimension was concerned with hue of the color properties. In activity dimension, there were different image according to each adjectives. That is, it was known that the evalution dimension was concerned with hue of the color properties. In activity dimension, there were different image according to each adjectives. That is, it was known that the activity demension was concerned with value and chroma of the color properties. In harmony dimension, achromatic columm was high and yellow, green yellow, vivid green columm were low in harmony. That is, it was known that the harmony demension was concerned with hue of the color properties.

  • PDF

물방울무늬의 간격이 의복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 원피스드레스를 중심으로 - (The Influence of the Interval of Polka Dots on the Image of Clothes - Focused on One-Piece Dress -)

  • 최혜원;류숙희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278-285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e image of clothing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dots' interval was analyzed and its influence on the formation of the image of polka dots clothing was investigated. White waterdrop patterns were designed on the 12 kinds of black texture using Photoshop and CAD program in regular arrangement of diamond figure, composed of white waterdrop(0.5 cm, 1.0 cm, 1.5 cm and 2 cm in diameter) and interval(diameter : interval - 1 : 1, 1 : 2, 1 : 4). Applying above specification, the photograph stimulus of 12 kinds of X-line one-piece dress with wide square neckline and without sleeve or detailed ornament was presented on a screen in the same size as when putting it on. The image of polka dots clothes was investigated by questionnaire survey. The object of the study was 320 females aged between 16 and 29. Factor analysis, one-way ANOVA, Scheff$\acute{e}$ verication and two-way ANOVA using SPSS 10.0 were carried out for data analysis. The research finding are as follows. First, the image of polka dots clothing consists of 4 factors as aesthetics, brevity, dynamism and lightweight. Secondly, the interval of the dot has a great influence on the formation of the image of polka dots clothing. Lastly, the evaluations of the image of polka dots clothing we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age and physical image,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of the object of investigation.

제화류의 고객지향적 품질평가를 위한 감성만족도 요소 개발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the Human Satisfaction Dimension for Customer-Oriented Quality Evaluation of Shoes)

  • 김진호;황인극
    • 감성과학
    • /
    • 제7권2호
    • /
    • pp.107-121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생활용품이면서 의복과 함께 생활필수품인 신발을 대상으로 감성만족도 요소의 추출과 분류체계를 개발하였다. 제화류의 감성만족도 요소는 감각성(sense), 적합성(fitness), 묘사성(description), 평가성(evaluation), 선호성(attitude)의 5개 그룹으로 구성되었으며, 각 그룹에는 형태감, 볼륨감 등 29개 요소가 포함되었다. 이들 중에서 일반 제화의 평가에 적합한 요소들로 형태감, 볼륨감, 균형감, 색감, 인체적합성, 안락성, 안정성, 여유성, 개념적 이미지, 품위감, 고급감, 조화감, 견고성, 주목성, 간편성, 신뢰성, 선호도, 수용도, 만족성, 매력성 등 20개의 요소들을 선택하여 이들에 대한 평가양식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감성만족도 요소는 제화류의 고객만족도 평가 모델링에서 종속변수로 활용될 수 있다.

  • PDF

판매촉진이용성향에 따른 쇼핑가치 지각 및 소비자만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erceived Shopping Value and Consumer Satisfaction as related to Consumer′s Deal Proneness)

  • 오영심;고애란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6권7호
    • /
    • pp.1066-1077
    • /
    • 2002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1) to identify the effects of clothing involvement on deal Proneness, store images related to promotions and perceived shopping value, and 2) to reveal the effects of antecedent variables on the consumer satisfaction.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624 female consumers living in Seoul, Korea vi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and were analyzed by frequency, factor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path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 (1) Among the factors related to clothing involvement deal proneness, store images of promotions and perceived shopping values, Clothing importance, Shopping interest Fashion interest and all three factors of deal proneness had the effect on perceived hedonic shopping values. Clothing importance, Prudent purchase, Shopping interest store images related to promotions had the effects on perceived hedonic shopping values. And Prudent purchase had the positive effects and store images related to Display had the negative effects on perceived negative shopping values. (2) From the resulted of analyzing the effects of antecedent variables on consumer satisfaction, Sweepstakes/gifts proneness, store images related to Price discount/events and Display, perceived hedonic and utilitarian shopping values positive]y influenced the consumer satisfaction. Store images related to Price discount/events had the most significant effects on consumer satisfaction. From the results of path analysis, clothing involvement had the effects on consumer satisfaction indirectly through deal proneness, store images related to promotions and perceived shopping values.

아바타를 활용한 브랜드 개성의 시각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Visualization of Brand Personality by Utilizing the Avatar)

  • 송민정;정경원
    • 디자인학연구
    • /
    • 제19권1호
    • /
    • pp.215-224
    • /
    • 2006
  • 경쟁이 심화됨에 따라 브랜드 신뢰성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고객들은 브랜드에 대한 신뢰를 바탕으로 선택을 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기업들이 경쟁사와 차별화 되며 신뢰성이 있는 브랜드 이미지를 구축하려는 다양한 시도의 결과로 브랜드 개성이라는 개념이 생겨났다. 브랜드 개성은 브랜드 아이덴티티 확립이라는 기업의 목적과 자신이 선택한 브랜드를 통해 자신의 이미지를 표현하려는 소비자의 목적을 동시에 만족시켜주는 수단이 되고 있다. 브랜드 개성의 중요성이 커짐에 따라, 많은 학자들이 다양한 방법을 동원하여 그것을 명확하게 측정하기 위한 시도를 전개했다. 그러나 대다수의 연구들은 측정과 데이터의 분식에 많은 노력과 오랜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그 결과를 명확하게 시각화할 수 없는 언어적, 정량적 방법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아바타를 활용하여 새롭고 가시적인 브랜드 개성 측정 방법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바타는 브랜드 개성을 시각화하는 효과적인 매체가 될 수 있다는 가정(假定)이 입증되었다. 아바타는 얼굴과 의복, 자세와 동작 등을 통해 인간의 개성을 나타내 줄 수 있으므로, 목적에 부합되도록 특별하게 디자인된 아바타는 법인(法人)의 특성을 대변하는 브랜드의 개성을 독창적으로 표현해 줄 수 있다. 둘째, 브랜드 개성이 여러 가지 유형으로 분류될 수 있고, 그 분류가 브랜드 개성 아바타를 디자인하는 데 필요한 지침으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이 명확해졌다. 셋째, 특별하게 디자인된 브랜드 개성 아바타의 효용성을 실제로 활용하여 실험을 한 결과, 아바타가 구체적이고 직관적으로 브랜드 개성을 측정하는 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정확성 검증 실험을 통해서는 아바타들이 브랜드 개성 유형을 적절하게 표현하고 있음을 밝혔으며, 특히 아바타를 이용하여 기존 브랜드들의 개성을 측정해 본 결과, 아바타가 언어보다 브랜드 개성의 판단에 효과적이라는 것이 입증되었다.

  • PDF

디즈니 애니메이션의 시각적 표현에 따른 성 역할 행동 분석: 뮬란, 라푼젤, 모아나, 겨울왕국2 여성 캐릭터를 중심으로 (Analysis of Gender Role Behaviors in Accordance with Visual Expression of Disney Animation: Focusing on Female Characters of Mulan, Tangled, Moana, and Frozen 2)

  • 정이슬;김은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7호
    • /
    • pp.107-117
    • /
    • 2020
  • 대중문화 콘텐츠로서 소비되는 애니메이션은 당대의 사회문화적 변화와 가치관을 스토리와 캐릭터의 시각적 표현을 통해 나타나며, 관객들은 애니메이션 감상 및 캐릭터 수용 과정에서 작품에 나타난 성 역할 행동을 사회적으로 통용되는 여성 및 남성의 이미지로서 학습하게 된다. 본 연구는 디즈니 애니메이션 중 스토리와 여성 캐릭터 설정에 현대적 여성상의 변화가 반영된 것으로 평가받는 '뮬란', '라푼젤', '모아나', '겨울왕국2'를 선정하고, 중심 여성 캐릭터의 의복 및 몸짓 표현을 분석하여 애니메이션 캐릭터의 성 역할 행동 표현이 시대적/사회적 흐름에 따른 변화 양상을 보이는지 알아보았다. 이를 통해 정형성을 탈피한 스토리 구성 및 캐릭터 설정 변화와 대조적으로 주인공으로서 여성 캐릭터의 시각적 표현에는 정형적 이미지의 성 역할 행동 표현이 사용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애니메이션의 시각적 표현과 내포 의미를 확인함으로써 주요 수용자인 어린이 및 청소년 대상의 애니메이션 리터러시 교육에 대한 연구의 중요성을 강조하고자 한다.

성인 여성의 하반신 체형분석과 염상처리를 이용한 플레어 스커트의 외관분석 (Analysis of Lower Somatotype on Adult Women and Appearance Analysis of Flare Skirts by using the Image Processing)

  • 이수정;홍정민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권3호
    • /
    • pp.252-258
    • /
    • 1999
  • 미혼여성과 기혼여성을 대상으로 인체계측을 실시하여 직접 계측치와 지수치를 이용하여 주축요인분석을 한 결과 도출된 인자를 독립변수로 군집분석을 한 하반신 체형변인과 직물에 의한 플레어 스커트의 외관형상을 분석하기 위하여 영상처리를 이용하여 착용실험을 한 결괴는 다음과 같다. 1. 플레어 스커트의 헴라인 단면형상 분석 결과 체형변인에 의한 플레어 스커트의 드레이프 면적과 드레이프 계수는 드레이프의 면적이 크면 드레이프 계수도 큰 값을 나타내었다. 직물의 노드수는 드레이프성이 좋을수록 많이 형성되고 노드수가 많으면 노드지수 값은 작은 값을 가진다. 노드지수 값이 크면 노드의 고저가 균일하게 나타나고 작으면 노드의 고저가 불균일하게 나타난다. 또한 인체 측정치수의 허리둘레와 엉덩이둘레의 차이, 허리너비와 엉덩이너비의 차이 값이 큰 마름모형 체형변인에서 노드수는 많이 나타나고 노드지수 값은 작게 나타났다. 통형에 가까운 체형변인은 노드지수가 큰 값을 나타내므로 노드의 고저가 균일하게 나타났다. 직물의 노드수가 많으면 노드산 평균은 낮고, 노드지수 값이 큰 반면 노드수가 작으면 노드산펑균이 높으므로 노드산과 곡의 고저가 심하게 나타났다. 그러므로 직물의 드레이프성이 우수하다 할지라도 적정의 중량을 가지지 않으면 노드가 불균일하게 형성되어 의복 외관의 좋은 외관형상을 형성하지 못하는 결점이 나타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2. 플레어 스커트의 헴라인 단면의 최대횡경은 인체측정값의 너비항목과 최대종경은 두께항목과 관련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단면비의 값이 크면 최대횡경의 값이 크고 최대종경의 값이 작은 타원형에 가까운 단면형상이 나타나고, 단면비의 값이 작으면 최대횡경 값이 작고 최대총경 값이 큰 원형에 가까운 단변형상으로 나타났다. 3. 플레어 스커트의 외관형상 분석 결과 정면처짐분은 둘레항목, 너비항목 시아항목의 차이 값이 작을수록, 직물의 드레이프성이 좋을수록 크게 나타났다. 미혼여성과 기혼여성을 비교해 보면 기혼여성의 체형이 너비, 둘레항목사이의 치어 값이 적기 때문에 처짐분이 크게 나타났다. 측면처짐분은 인체측정값의 두께항목과 상관이 깊어 앞부분은 배두께가 클수록, 뒷부분은 엉덩이두께가 클수록 처짐분량이 크게 나타났다. 후면처짐분은 정면과 같이 S시료에서 드레이프성이 좋을수록 처짐분이 크고, 엉덩이너비는 크고, 엉덩이두께가 작올수록 처짐분이 크게 나타났다. 4. 플레어 스커트의 3차원 입체형상은 외관형상의 굴곡이 낮아 평평할 수록 이미지의 평균값은 높고 편차는 낮게 나타났다. 체형변인에 의한 플레어 스커트의 주름 형상을 정면, 측면, 후면에서 이미지 값 분포로 비교해 보면 정면, 후면보다 측면의 외관이 평활하여 이미지 분포폭이 좁게 나타나고 최빈값을 중심으로 회색에 가까운 쪽으로 치우쳐 있는 것을 불 수 있다. 5. 체형변인에 따른 플레어 스커트의 주름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영상처리법으로 얻은 결과를 3차원 업체형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6개의 영역을 측정한 결과 플레어 스커트는 체형유형에 따라 곡면을 형성하는 주름의 수와 주름강도가 다르게 나타나 위 아랫부분의 주름폭은 차이가 있었다. 위부분에서 아랫부분으로 내려올수록 주름높이 폭은 커졌다. 그러므로 주름의 높이와 플레어 스커트의 헴라인 단연형상의 노드각도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주름의 높이가 높으면 노드 각도는 작은 값을 보이고, 주름의 높이가 낮으면 노드각도는 큰 값을 나타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