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15.15.03.458

Depiction of Korea in Pre-Modern Japanese language Textbooks of Japan  

Park, So-Young (한국학중앙연구원)
Jeong, Jae-Yun (한국학중앙연구원)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his article aims at examining Japanese recognition of Korea through analyzing the Japanese language textbooks of Japan, in order to find how Japanese people perceived Korea in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I explored descriptions related to Korea in the Japanese language textbooks published in the 1st curriculum (1904) to the 5th curriculum (1945). In this period, the Japanese language textbooks were serving in allowing Korea to be associated Queen Jin Goo and Toyotomi Hideyoshi, Korean custom and Korean landscape of Seoul and rural area. They designated Korea was a small and weak country through the stories of Queen Jin Goo and Toyotomi Hideyoshi. Although they introduced Korean floor heating system, Korean costume, and Korean ritual, they reinforced Korea was a backward country through representing undeveloped transportation facilities and unsanitary living conditions. They characterized the coloniality of Korea through portraying modern buildings created by Japan on Seoul streets. Furthermore, they induced assimilation of Japan and Korea through the story of Korean rural areas.
Keywords
Pre-Modern Japan; Japanese Language Textbooks of Japan by Government-Published Textbook; Perceptions on Korea; Korean Culture; Seoul;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2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岩田一正, "教科書に見られる児童像の転換-明治期の國語読本を中心に-", 日本常民文化紀要, Vol.29, pp.175-204, 2012.
2 김영훈, "개화기 교과서 속 세계와 역사: 만국지리와 만국사를 중심으로", 비교문화연구, 제16집, 제2호, pp.5-30, 2010.
3 민병찬, "1912년 간행 '보통학교국어독본'의 편찬 배경에 대하여-소전성오의 '조선총독부편찬교과서개요'를 중심으로", 일본어교육, 제43집, pp.3-15, 2008.
4 박미경, "일제강점기 교과서에서 보는 일본신화-조선총독부발행 普通學校國語讀本과 初等 國語讀本을 중심으로-", 인문학연구, 제82호, pp.135-159, 2011a.
5 박미경, "일제강점기 일본어 교과서 연구-조선총독부편 普通學校國語讀本에 수록된 한국설화를 중심으로-", 일본언어문화, 제18호, pp.477-495, 2011b.
6 노성환, "일본신화를 통해서 본 일제의 동화교육", 일어일문학, 제39집, pp.285-303, 2008.
7 민병찬, 박화리, "일제강점기 일본어교과서 속의 도태랑", 일본어교육, 제41집, pp.3-20, 2007.
8 윤소영, "일제강점 초기 한일 초등학교 교과서의 한국인식", 한국독립운동사연구, 제36집, pp.327-368, 2010.
9 滋賀大學附属図書館, 近代教科書の歩み-明治から現代まで, サンライズ出版, 2006.
10 唐澤富太郎, 教科書の歴史-教科書と日本人の形成-, 創文社, 1956.
11 海後宗臣 外, 教科書でみる近現代日本の教育, 東京書籍, 2013.
12 岩田一正, "教科書に見られる児童像の転換-明治期の國語読本を中心に-", 日本常民文化紀要, 29, pp.175-204, 2012.
13 海後宗臣 外, 教科書でみる近現代日本の教育, 東京書籍, 2013.
14 海後宗臣 外, 日本教科書大系 近代編 第六巻 國語(三), 講談社, 1964.
15 海後宗臣 外, 日本教科書大系 近代編 第六巻 國語(四), 講談社, 1963.
16 海後宗臣 外, 日本教科書大系 近代編 第六巻 國語(五), 講談社, 1964.
17 김성필, 김종숙, 이민순, "한류이미지가 한국교육 상품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중국 대학생들의 몰입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2호, pp.460-474, 2013.   DOI
18 김미선, 유세경, "일본 시청자의 한국 드라마 시청에 관한 연구-한일 역사 인식에 따른 한국 드라마 시청 성과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5호, pp.44-54, 2014.   D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