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의복소재

검색결과 133건 처리시간 0.021초

강우환경 하에서의 스포츠웨어 착용시 인체생리반응 및 쾌적감 (The study on the physiological response and comfort in wearing sportswear in Raniy environments)

  • 권오경;김진아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2001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94-199
    • /
    • 2001
  • 쾌적한 스포츠웨어는 기능성에 있어서 자연환경의 변화조건과 인체의 운동 및 활동에 맞추어 열절달 및 수분전달 등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일반환경조건 및 강우환경조건하에서의 형상기억 투습방수직물 소재의 스포츠웨어 착용에 따른 인체생리반응 및 쾌적감을 규명하기 위하여 스포츠웨어를 제작하여, 인공기후실에서 환경조건변화에 따른 온열생리학적 특성 및 주관적 감각을 측정, 그 특성을 비교, 고찰하였다. 평균피부온은 강우환경조건에서 온도가 낮게, 변동폭이 많게 나타났다. 변화경향을 운동부하를 기점으로 온도의 상승이 나타났고, 운동 2단계에 가장 높은 온도를 나타냈으며, 이후 감소하였다. 직장온은 일반환경조건에 비해 강우환경조건에서 온도의 미세한 상승을 보였다. 의복내 기후는 두 조건 모두에서 가슴부위보다 등부위의 온·습도의 변동폭이 크게 나타났고, 강우환경조건에서의 의복내 온도를 제외하고는 모두 등부위의 온·습도가 높게 나타났다. 최고 혈압은 운동의 강도에 따라 비례하여 상승하고, 최저 혈압에는 큰 영향없이 나타났으며, 변화경향은 의복내 온도의 경향과 역으로 나타났다. 평균혈압은 일반환경조건에서 6.9mmHg 높게 나타났다. 심박수는 일반환경조건에서 4.4beats/min 높게 나타났다. 강우환경조건의 주관적 감각의 평가에서, 신체에 직접 가해지는 빗물 등으로 인해 불쾌감이 증가하였고, 운동 후에는 일반환경조건과 달리 냉감이 증가하였으며, 습윤감은 최고치에 달하였다.

  • PDF

밀착의복 의복압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탐색 -실제착의와 가상착의 비교- (Exploring Variables Affecting the Clothing Pressure of Compression Garment -A Comparison of Actual Garments and Virtual Garments-)

  • 김남임;이효정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7권6호
    • /
    • pp.1080-1095
    • /
    • 2023
  • Three-dimensional virtual fitting has become a trending practice in the fashion industry because of its productivity benefits, allowing garments to be virtually worn by avatar models without physical production. This study analyzed the variables influencing clothing pressure in both real and virtual fittings to expand the potential utility of pressure data derived from the latter. For this purpose, six sets of compression garments were created by combining two types of tricot fabrics and three types of reduced-pattern tops, with the clothing for real and virtual fittings having identical dimensions. Focus was directed to analyzing the correlation among clothing pressure, surface area deformation, and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fabrics. In real fittings, clothing pressure was influenced by multiple factors, including garment design, pattern reduction ratio, body shape, and fabric properties, consistent with existing knowledge. In virtual fittings, however, only the digital 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the fabrics significantly influenced clothing pressure. The findings suggest that a more reliable implementation of clothing pressure in virtual fitting programs necessitates an approach that considers the complex structural information of garments.

PET 직물 제조 공정특성이 의류 감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Manufacturing Process Characteristics of PET Fabrics on the Clothing Sensiblity)

  • 홍성대;김승진;박경순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2001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82-87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PET 직물의 물성개선과 품질의 향상을 위해 직물 제조 공정 중 제직준비공정인 1TY, P/W, 2-FOR-1공정에서 여러 가지 공정인자의 변화를 주어 염색·가공 공정을 거친 최종 11가지 직물의 역학적 특성치 및 각 공정별 시료의 물성을 측정하여 의류의 감성특성은 Handle, 의복성능 및 봉제성을 평가하여 직물 제조 공정특성이 의류 감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1TY, P/W, 2-for-1공정에서 균일하고, 안정된 장력으로 제조한 직물은 신축성 및 drape성이 장력이 과다하게 주어진 직물보다 우수하고, 의류봉제시 신장성이 양호한 봉제 범위를 가져 의복 착용시 감성면에서 부드럽고 쾌적한 성능을 가진다. 그리고 공정에서 고장력, 고속의 spindle 회전은 사물성 및 직물의 물성변화를 야기시키고 교략강도의 불안정성으로 최종 직물에서 유연성과 탄력성 및 volume감이 떨어지는 의류촉감을 가지며 또 stiff한 의류 감성을 나타냄으로서 의류용 소재로는 부적당함을 확인하였다.

  • PDF

써멀 마네킹 착용실험에 의한 보온력에 미치는 의복소재의 영향 (The Effects of Textiles for Thermal Insulation Value Using a Thermal Manikin)

  • 손원교;최정화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7권12호
    • /
    • pp.141-151
    • /
    • 1999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e effects of textile materials for thermal insulation value using a thermal manikin. Cotton, polyester, wool, silk and rayon were selected as outer wears like blouses, skirts, slacks, and one-pieces. Acetate was chosen as a lining. Brief and long sleeve upper underwear(cotton) were chosen as the inner wear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materials in skirts and blouse-skirt suits by the thermal manikin. However blouses, slacks, one-pieces and blouse-slacks suits were showed the effects of materials. Blouse-slacks suits was showed the highest thermal insulation value and one-piece had the lowest thermal insulation value.

  • PDF

아라미드 혼방직물의 전처리 조건에 관한 연구 (Study on pretreatment of aramid blended fabric)

  • 김종원;송병갑;홍진표;김경환;한성규;성상헌
    • 한국염색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염색가공학회 2011년도 제44차 학술발표회
    • /
    • pp.109-109
    • /
    • 2011
  • 국내의 섬유산업은 핵심 원천기술의 부족으로 고성능 섬유소재 등 고부가가치 제품의 제조가 취약한 실정이다. 이러한 고성능 섬유제품 산업의 기반이 되는 요소기술인 고성능 소재 생산, 복합화, 염색/후가공, 제품 설계, 디자인 및 제품화 기술 등의 모든 분야에서 선진국 대비 기술 수준이 부족하다. 하지만, 최근 들어 부가가치가 큰 고성능 의복 시장에의 관심이 증대되고 있으며, 국내에서 p-aramid 및 m-aramid 등의 고성능 소재의 양산화 및 활발한 기술개발 등이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다양한 용도 전개 노력으로 제품화가 이루어지고 있으므로 고성장 가능성이 잠재되어 있는 분야이다. 이처럼 기 개발된 고성능 섬유소재를 이용하여 용도에 따른 제품화로 산재되어 있는 고성능 의류 시장에의 진입 및 선점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고내열 소재인 FR-rayon(100%) 직물과 FR-rayon/m-aramid로 혼방하여 제직된 직물을 이용하여, 동일 전처리 조건에서 조제 투입비를 달리하여 전처리 공정을 진행한 후 침투도,호발성, 인장강도 등을 비교/분석하여 전처리 효과를 확인하였다.

  • PDF

여중생의 신체 인식에 따른 착의 의복형태에 관한 연구 (Actual Clothing Style of Middle school girls According to Self-perception of Their Body Size)

  • 박우미;위은하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13-125
    • /
    • 2006
  • 본 연구는 여중생의 신체부위 크기인식이 실제 착의 의복형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기 위하여 신체크기 인식과 신체만족도, 희망 착의의복형태, 실제착의 의복형태를 고찰하였으며, 수척/비만정도에 의해 집단을 분류하여 집단간착의 의복형태의 차이도 고찰하였다. 조사 대상자는 광주 소재의 중학교에 재학 중인 여중학생 219 명이었으며 설문지를 이용하여 결과를 얻었다. 결과분석은 Window SPSS 10.0 패키지를 이용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여중생들은 상반신보다 아랫배돌출, 엉덩이, 다리굵기, 체중 등의 하반신을, 그리고 몸통보다는 사지부를 굵게 인식하였으며 굵게 인식하는 신체부위에 대해서 만족하지 못하였다. 2. 여중생들은 착의하기를 희망하는 의복형태를 실제로 착의하였다. 실제로 착용하거나 착용을 희망하는 상의의 의복형태는 피부가 직접적으로 노출되지 않으면서 밀착여부에 관계없는 형태였으며, 하의의 의복형태는 밀착되거나 피부가 노출되지 않는 여유가 많은 긴 슬랙스형태였다. 3. 여중생들은 신체크기를 인식하여 의복형태를 결정하는 정도가 낮았다. 그러나 여중생들은 신체부위의 피부노출이나 밀착에 의한 실루엣 노출이 큰 의복형태를 둘레와 너비를 굵거나 크게 인식할수록 착용하지 알았으며 길이를 길게 인식할 수록 더 착용하였다. 4. 비만집단에 속하는 여중생들은 피부가 직접 노출되거나 밀착되어 실루엣이 노출되는 상의와 하의를 수척집단보다 덜 착용하였다. 그러나 여중생들은 수척/비만 분류와 관계없이 피부와 실루엣을 은폐하는 의복형태는 모두 착용하였다. 그리고 여중생들은 목, 어깨부위를 노출하는 의복을 착용하는 경우 자신이 인지하는 체형보다 객관적인 실체체형을 고려하였으며 반면, 팔의 피부노출과 다리의 밀착에 의한 실루엣 노출은 실제체형보다 자신이 인지하는 체형을 고려하였다.

  • PDF

축간 거리편차에 의한 벨트 운동경로의 쏠림현상에 관한 해석

  • 안성기;홍승관;허유;장승호
    • 한국섬유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섬유공학회 1998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33-237
    • /
    • 1998
  • 섬유산업은 fiber로부터 시작하여 yarn, fabric을 거쳐서 최종 섬유제품인 clothing을 생산 하는 복잡하고 긴 stream을 가지고 있으며, 최종상품으로 갈수록 부가가치가 높아지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다양한 구조, 디자인과 함께 감성과 개성을 중요시하는 의생활 패턴의 변화에 기인하여, 의복의 형태가 다양화되고 기능에 따르는 구조의 변화와 소재의 다변화를 통해, 어패럴 산업의 개념과 기술적 변화가 크게 요구되고 있다.(중략)

  • PDF

Structure and Properties of Wool Keratose Films -the effect of addition of glycerol onto keratose solution-

  • 한청희;박영환
    • 한국섬유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섬유공학회 1998년도 가을 학술발표회논문집
    • /
    • pp.320-324
    • /
    • 1998
  • 양모의 주성분인 케라틴 단백질은 과거에는 주로 의복용 재료로서 이용되어 왔지만 최근에는 케라틴이 가지는 물리적, 화학적 특성 때문에 양모-케라틴 유도체를 기능성고분자 소재로 이용하려는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양모케라틴 단백질은 원래 섬유 자체가 중금속 흡착성을 보유하고 있어 여러 용해 유도체의 흡착특성이 연구되고 있으며 우수한 생체적합성이 있어 헤파린과의 불용성 전해질 복합체를 필름으로 제조하여 인공혈관으로의 응용와 같은 의료분야에의 연구도 진행되고 있다. (1-3) (중략)

  • PDF

플레어 스커트의 실제착의와 가상착의 이미지 비교 (A study on the comparing visual images between the Real garment and the 3D garment simulation of flare skirts)

  • 김현아;유효선;이주현;남윤자
    • 감성과학
    • /
    • 제14권3호
    • /
    • pp.385-394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20대 표준체형 여성을 대상으로 하여, 소재에 따른 플레어 스커트의 실제착의와 가상착의에 따른 시각적 이미지를 비교 분석하고, 시각적 이미지와 역학적 특성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데에 있다. 본 연구는 드레이프 특성이 확연히 다른 5종류의 소재를 사용하였다. 실험에 사용되어진 플레어 스커트의 실제착의와 가상착의의 이미지는 사진으로 제공되었으며, 피설문자는 20대의 의류학 전공의 여성이었다. 자료의 분석은 SPSS Ver.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통계 처리하였으며, 연구 문제별로 요인분석, 일원변량분석(One way ANOVA), T 검정(t-test), 던컨테스트(Duncan test)를 실시하였다. 시각적 이미지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 '드레이프성', '매력성', '신체 보정성', '부피감', '활동성' 의 총 5 가지 요인이 분석되었다. 시각적 이미지중 '부피감'의 경우 G, 무게, 두께와 같은 역학적 특성들과 밀접한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3차원 의복 시뮬레이션과 실제착의간의 시각적 이미지는 소재에 따라 유의한 차이점을 나타냈는데, 실크나 폴리에스터 소재와 면, 린넨, 양모소재간 이미지 차이는 소재의 무게와 두께에 따라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여자 대학생의 의복 추구 이미지와 소재 선호에 대한 연구 (The Study on Desired Image and Fabric Preference of Woman College Student for Apparel)

  • 정인희
    • 복식문화연구
    • /
    • 제9권4호
    • /
    • pp.629-638
    • /
    • 2001
  • This study was intended to identify the desired image and fabric preference of woman college student for apparel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variables. Data were collected by questionnaire distributed to 260 woman college students through August to September of 2000. After eliminating incomplete questionnaires, 236 were analyzed. The most desired image was neat, and the most preferred fabric was natural fiber textile in fiber contents and light and soft in fabric sensation. The avoided image was masculine, and the negative sensation was heaviness. As a result of factor analysis, 7 factors -cute, intellectual, animate, neat, mature, sporty, sexy- were determined in image. And 8 factors -soft, durable, flat, rigid, light, bulky, heavy, pliable- were determined in fabric sensation. These factors explained large percentage of variance respectively. Multidimensional scaling was employ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desired image and fabric preference. Two dimensions were accepted to interpret the relationship. One of the results showed the closeness among the natural fiber textile, lightness, durability and natural image. And the short distance among the blended textile, elasticity, warmness and sporty image was present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