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의복내 온.습도

Search Result 10,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Clothing microclimate distribution on upper body for assessment of clothing comfort (의복의 쾌적성 평가를 위한 상반신에서의 의복기후분포)

  • 김양원;홍경희;박세진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2.11a
    • /
    • pp.275-278
    • /
    • 2002
  • 의복의 쾌적감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는 크게 미세공간의 온도, 습도, 기류인 의복내기후, 의복에 의해 피부가 받는 의복압, 의복과 피부와의 접촉감 등이다. 본 연구에서는 우선적으로 인체의 상반신에서 의복기후분포를 파악하였다. 상반신에서 의복기후 분포를 평가하기 위하여 건강한 남자 10명을 대상으로 25$\pm$1$^{\circ}C$, 습도 50$\pm$5%, 기류는 30cm/sec이하의 환경에서 의복기후를 측정하였다. 실험의복은 100% 면으로 된 긴 팔, 긴바지의 속내의를 착용하게 하였다. 측정결과 가슴에서의 의복내온도는 30.6~34.7$^{\circ}C$였고, 그 평균은 33.3$^{\circ}C$였다. 또한 의복내습도는 35.6~57.9%였고, 그 평균은 38.3%였다. 등에서의 의복내온도의 분포는 31.5~35.4$^{\circ}C$였고, 평균은 33.1$^{\circ}C$였으며, 의복내습도는 36.2~55.3%였으며, 평균은 38.8%였다. 상반신인 가슴과 등에서의 의복내온도와 의복내습도간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상반신 전체의 의복내온도의 분포는 30.6~35.4$^{\circ}C$, 의복내 습도의 분포는 35.6~57.9%였다.

  • PDF

Measurement of physiological response and estimation of subjective sensation with cool biz (쿨비즈 복장에 의한 생리적 반응 측정과 주관적 감각평가)

  • Gang, Nu-Ri;Lee, Ji-Yeon;Na, Yeong-J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9.11a
    • /
    • pp.236-238
    • /
    • 2009
  • 에너지 절약차원에서 냉방을 줄여 지구온난화 방지에 일조하고자 여름철에 가벼운 차림의 의복을 권장하는 쿨비즈 캠페인이 시작되었으나 이의 정량적인 효과를 분석하는 연구가 미흡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여름철 온실가스 줄이기 및 직장인 등의 건강증진 등을 위하여 기후복장 적응형에 대한 범국민 인식 및 실천 필요를 바탕으로, 실험을 통해 쿨비즈에 의한 생리적 반응 측정 및 주관적 감각평가를 실시하였다. 1 차실험은 두 복장(전통의복,기후의복)의 피부온 측정실험으로, 환경온 25, $27^{\circ}C$, 상대습도 50% RH 에서 20 대 성인남성 4 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하였다. 피험자는 심신을 안정할 수 있도록 30 분간의 안정기를 가진 후에 60 분 동안 실험을 하였으며, 사무실 내 작업환경과 같은 분위기 조성을 위해 편안하게 의자에 앉아 가벼운 대화나 컴퓨터 워드작업 및 설문을 응할 수 있도록 피험자 앞 책상 위에는 노트북을 설치해 두었고, 실험 진행기간 동안 피부온, 직장온, 습도, 발한량, 열화상 카메라, 온열감, 습윤감, 쾌적감 등과 같은 주관적 감각을 측정하였다. 2 차 실험은 동일 피부온 발현하는 환경온 찾기로 기준온도($27^{\circ}C$)에서 전통복장을 입고 온도를 점진적으로 하강시키면서 $27^{\circ}C$ 기후 복장을 입은 상태의 피부온도와 동일해지는 실내온도를 측정한다. 착의 형태에 따른 피부온도 변화에서 환경온도 $25^{\circ}C$ 전통의복 기후의복에 의한 피부온도의 차이는 전통의복이 최소 0.3~최대 $1.6^{\circ}C$ 더 높게 나타났으며, 환경온도 $27^{\circ}C$에서 전통의복 기후의복에 의한 피부온도의 차이는 대체적으로 전통의복이 최소 0.4~최대 $1.0^{\circ}C$ 더 높게 나타났다. 주관적 감각평가에서도 기후의복보다 전통의복에서 온열감 습윤감 불쾌감이 더 높은 경향을 보였다. 주관적 감각으로는 $25^{\circ}C$ 전통의복과 $27^{\circ}C$ 기후의복에서 중립적인 느낌을 나타냈다.

  • PDF

비타민 E 섬유가 인체생리 반응에 미치는 영향

  • Lim, Sun;Jeong, Myeong-Hui
    • Proceedings of the Costume Culture Conference
    • /
    • 2004.04a
    • /
    • pp.87-88
    • /
    • 2004
  • 본 연구는 피부의 노화방지 및 미백 효과에 탁월한 비타민 E를 섬유에 부착시켜 인체에 미치는 생리적 반응을 보기 위하여 온열감, 습윤감, 쾌적감의 주관적 감각평가와 심박수, 피부온, 의복내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였다. 연구방법 및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실험은 온도 30±1℃, 상대습도 50±15%, 기류 0.2m/s 이하로 설정된 인공기수실에서 실시하였다. 피험자는 평균연령 21세의 건강한 성인여자 5명으로, 체중, 신장 및 체표면적의 평균치는 52.2㎏, 161.2cm 및 155㎡이다. (중략)

  • PDF

The study on the physiological response and comfort in wearing sportswear in Raniy environments (강우환경 하에서의 스포츠웨어 착용시 인체생리반응 및 쾌적감)

  • 권오경;김진아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1.05a
    • /
    • pp.194-199
    • /
    • 2001
  • 쾌적한 스포츠웨어는 기능성에 있어서 자연환경의 변화조건과 인체의 운동 및 활동에 맞추어 열절달 및 수분전달 등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일반환경조건 및 강우환경조건하에서의 형상기억 투습방수직물 소재의 스포츠웨어 착용에 따른 인체생리반응 및 쾌적감을 규명하기 위하여 스포츠웨어를 제작하여, 인공기후실에서 환경조건변화에 따른 온열생리학적 특성 및 주관적 감각을 측정, 그 특성을 비교, 고찰하였다. 평균피부온은 강우환경조건에서 온도가 낮게, 변동폭이 많게 나타났다. 변화경향을 운동부하를 기점으로 온도의 상승이 나타났고, 운동 2단계에 가장 높은 온도를 나타냈으며, 이후 감소하였다. 직장온은 일반환경조건에 비해 강우환경조건에서 온도의 미세한 상승을 보였다. 의복내 기후는 두 조건 모두에서 가슴부위보다 등부위의 온·습도의 변동폭이 크게 나타났고, 강우환경조건에서의 의복내 온도를 제외하고는 모두 등부위의 온·습도가 높게 나타났다. 최고 혈압은 운동의 강도에 따라 비례하여 상승하고, 최저 혈압에는 큰 영향없이 나타났으며, 변화경향은 의복내 온도의 경향과 역으로 나타났다. 평균혈압은 일반환경조건에서 6.9mmHg 높게 나타났다. 심박수는 일반환경조건에서 4.4beats/min 높게 나타났다. 강우환경조건의 주관적 감각의 평가에서, 신체에 직접 가해지는 빗물 등으로 인해 불쾌감이 증가하였고, 운동 후에는 일반환경조건과 달리 냉감이 증가하였으며, 습윤감은 최고치에 달하였다.

  • PDF

Evaluation of Thermal Physiological Responses and Comfort in Dox Fabric (한지닥 섬유제품의 인체 생리 반응 및 쾌적성 평가)

  • Im, So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 /
    • v.63 no.5
    • /
    • pp.102-114
    • /
    • 2013
  • This study performed the evaluation of skin temperature, heart rate, humidity and temperature inside clothing, and subjective sensation to estimate the physiological responses of the human body and its feeling of comfort for developing value-added dox fabric. Experiments were performed on five healthy adult women whose average age was 21, at climate chamber in which temperature, relative humidity and air current were set up below $28{\pm}5^{\circ}C$, $50{\pm}10%$, 0.2m/s, respectively. Two kinds of clothes were used for the experiments: 100% cotton and dox clothes. The clothes were identical in size and form, and the attire consisted of long-sleeved shirts, long trousers, and socks. The experiment was performed for 30 minutes using ergometer.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It showed low skin temperature of forearm, breast, back, forehead and lower leg in exercise, but high skin temperature of them in recovery. However skin temperature of thigh and foot increased from rest to recovery. 2) I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p<0.001, p<0.01) in average skin temperature between cotton and dox clothes. Cotton clothes had a higher average skin temperature compared to dox. Not only was ther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emperature inside clothing (p<0.001), this was also the case with humidity inside the clothing (p<0.001).

Physiological responses and subjective sensation of human body wearing Cool Mapsi in air-conditioning environment (냉방환경에서 쿨맵시 착용에 따른 생리적 반응과 주관적 감각)

  • Kang, Noo-Ri;Na, Young-Joo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13 no.2
    • /
    • pp.359-370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est the performance of the recommended summer dressing for office man through the analysis of skin temperature changes by air-conditioning temperature. We tested two clothing combinations; formal wear with necktie and casual shirts without necktie as for Cool mapsi. 4 male subjects sat to stabilize for thirty minutes after entering artificial-climate chamber with both temperature of $25^{\circ}C$, $27^{\circ}C$ and $50{\pm}10%$ R.H. And during 60 minute experiments of simulating office work, the subjective feelings including thermal, humidity and comfort sensation, skin temperature, clothing humidity and sweat amount were measured at the equal intervals. The result is that formal wear of $25^{\circ}C$ and Cool mapsi of $27^{\circ}C$ show good values such as low skin temperature, low clothing humidity and neutral thermal sensation. And Cool mapsi of $25^{\circ}C$ shows the risk of low rectal temperature for long and static energy level of office work. Formal wear of $27^{\circ}C$ shows high values of mean skin temperature, clothing humidity and thermal sensation. Second experiment was to find the ambient temperature when the subject wearing formal wear shows the skin temperature corresponding to which he shows on Cool mapsi of $27^{\circ}C$. The air-conditioning temperature on wearing formal wear has to be $2^{\circ}C$ lower to produce the corresponding skin temperature to which shows on wearing Cool mapsi of $27^{\circ}C$. Therefore it is possible to increase room temperature to $27^{\circ}C$, when wear Cool mapsi for summer office, for skin temperature and thermal sensation are produced the same.

  • PDF

The change in temperature·humidity·perspiration of fire suit when applying phased intensive exercises to fire fighter wearing fire suit (소방공무원의 방화복 착용 후 단계별 운동강도 변화 시 의복 내 온도·습도·발한량 차이)

  • Choi, Seo-Yeon;Park, Il-Gyu;Kong, Il-Chean;Rie, Dong-Ho
    • Journal of the Korea Safety Management & Science
    • /
    • v.15 no.4
    • /
    • pp.97-103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change in temperature humidity perspiration of fire suit when applying phased intensive exercises to fire fighter wearing fire suit. For this study, three male fire fighters took basic physical test and performed 10 minute phased intensive exercises -exercise intensity I (30%VO2max), exercise intensity II (45%VO2max), exercise intensity III (60%VO2max) based on maximum oxygen consumption (VO2max)- wearing fire suit (helmet, boots, air respirator) in treadmill and took a rest. The result of study shows that the temperature in the suit elevated during stabilization period after each exercise intensity, humidity elevated as exercise intensity increased, perspiration elevated as exercise intensity increased. This study indirectly ascertained the fire suit's physiological change in fire fighters during field activities.

A Study on Wearing Test of Protective Clothing against a Toxic Substance (유해물질 차단을 위한 방호복의 착용실험에 관한 연구)

  • Chung, Myung-Hee;Park, Soon-Ja;Shin, Jung-Sook;Koshiba, Tomoko;Tamura, Teruk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30 no.11 s.158
    • /
    • pp.1626-1635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arch for comfortable protective clothing for waste incinerator workers. The experimental protective clothing came in two types: one whose outer side made use of polypropylene film, and the inner side, a non-woven rayon fabric processed with charcoal with a 10% density (CF): and one whose outer side made use of polyolefine and polyamide films, and the inner side, a non-woven polypropylene fabric (NNCF). Experiments were conducted on five healthy adult women whose average age was 21. These experiments were conducted at a climate chamber, in which the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were set below $28{\pm}1^{\circ}C\;and\;50{\pm}10%$, respectively. Measured were the rectal temperature, the skin temperature, the sweating rate, the weight loss, the heart rate, the blood pressure, the temperature, and the relative humidity of a microclimate and subjective sensation. These were measured within a period of 60 min, consisting of a 20-min stable period, a 20-min exercise period (walking exercise for 2 miles/hr on a treadmill), and a 20-min recovery period. Through this experiment, the differences between the human body's physiological reactions to CF and NNCF clothing, and the human body's comfort levels when wearing these, were determined.

Subjective Wear Comfort and Related Fabric Surface Parameters Including Fractal Dimension of Contact Points (Fractal 차원과 면 혼방직물 셔츠의 착용 쾌적감)

  • 김정화;이현영;홍경희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1999.11a
    • /
    • pp.157-161
    • /
    • 1999
  • 본 연구에서 직물의 열, 수분 전달특성과 KES-FB의 역학적 특성치, 직물표면의 fractal dimension을 측정하여 주관적 의복 착용 쾌적감을 예측하고자 하였다. 실험의복에 사용된 직물은 면 100% 평직물, 면/PET 혼방직물, 피치가공된 면/PET 혼방직물, PET 100% 평직물, 알칼리 감량가공된 PET 100% 크레이프 직물이었으며, 실험의복의 형태는 긴 소매 셔츠로 하였다. 착용실험은 온도 29$\pm$0.5$^{\circ}C$, 상대습도 75$\pm$2%RH, 기류 0.15m/s를 유지하는 항온항습실에서 실시하였고 36명의 여성 피험자(20-23세)들이 참여하였다. 의복 착용감의 하위 구성차원을 파악하기 위해 실험결과를 요인분석한 결과 5 개의 요인으로 추출되었다. 제 1 요인은 체온상승, 수분특성과 관련이 있는 온열.발한감이었으며, 제 2 요인은 무게ㆍ두께감, 제 3 요인은 회복특성감, 제 4 요인은 표면접촉감, 제 5 요인은 온냉감으로 구성되었다. 직물의 표면특성을 정량화하는 방법으로 도입한 fractal dimension 의 분석값들과 종래의 가장 보편적으로 이용되어 온 KES_FB 의 표면 특성치들이 주관적 착용쾌적감 예측에 얼마나 기여하는지 비교해 본 결과, 표면접촉감은 fractal dimension, 접촉점들의 총면적, 접촉점들의 평균 axis ratio, MMD, SMD와 높은 상관을 나타내었다. 또한 종합적 착용쾌적감에 대해서는 SMD 를 제외한 척도들이 유의한 상관을 보였으며, 그 중에서도 fractal dimension 과 접촉점들의 총면적은 0.8 이상의 높은 상관을 나타내었다. 착용쾌적감을 예측하기 위한 회귀분석결과에서는 fractal dimension 만으로 쾌적감의 74%가 설명되었으며 공기 투과도를 첨가하면 두 변수로 $R^2$=.792가 되었다. 설명되는 누적분산값은 67.18%였다.주관적 평가의 결과와 객관적 평가 결과를 이용해 마직물의 태를 평가하는 산출식을 제시하였다. 태 평가치의 경우 16가지 특성치를 모두 넣는 방법과 stepwise 방법, 또 Kawabatark 사용한 순차적 군 회귀법의 세가지 방법의 회귀식 중 16가지 특성치를 모두 넣는 방법의 결정계수가 가장 높았다.tosterone농도는 107.7$\pm$12.0 pmol/l이었고, 남성의 타액내 농도는 274.2$\pm$22.1 pmol/l이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본 연구에서 정립된 EIA 방법은 RIA를 대신하여 소규모의 실험실에서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려된다.또한 상실기 이후 배아에서 합성되며, 발생시기에 따라 그 영향이 다르고 팽창과 부화에 관여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더욱이, 조선의 ${\ulcorner}$구성교육${\lrcorner}$이 조선총독부의 관리하에서 실행되었다는 것을, 당시의 사범학교를 중심으로 한 교육조직을 기술한 문헌에 의해 규명시켰다.nd of letter design which represents -natural objects and was popular at the time of Yukjo Dynasty, and there are some documents of that period left both in Japan and Korea. "Hyojedo" in Korea is supposed to have been influenced by the letter design. Asite- is also considered to have been "Japanese Letter Jobcheso."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into the origin of the letter designs in t

  • PDF

Thermal Comfort and Sleep under Different Room Temperatures (침상내 기후와 수면과의 관계)

  • Lee Young Suk;Engel Peter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15 no.4 s.40
    • /
    • pp.351-365
    • /
    • 1991
  • 본 연구에서는, 수면환경의 열적 쾌적도의 측정방법으로서 생리적 반응 뿐만 아닌 국소자극의 반응에 대한 평가법 (Allesthesial Response)에 의 한 가능성을 제시 하고자 하였다. 피험자는 19세에서 22세의 건강한 독일 여자 대학생 5명이며, 실험은 12월과 1월 독일의 KASSEL에 있는 Marburg대학 연구소의 인공기후실에서 이루어졌다. 사용의복은 면 $100\%$의 잠옷이며, 침구는 메트리스와 Wool 담요(두께 180 mm)를 사용하였다. 국소자극 반응의 온도는 $20.0^{\circ}C,\;22.5^{\circ}C,\;25.0^{\circ}C,\;27.5^{\circ}C,\;30.0^{\circ}C,\;32.5^{\circ}C$의 set가 사용되었으며, 온도자극은 Pottier Thermode type PKE 36 HO2-1 (독일, Peltroil사)로서, 온도의 도달정 밀도는 60내지 90초 동안에 각 자극온도의 변화조절이 가능하였다. 수면환경 온도는 $15^{\circ}C,\;18^{\circ}C,\;21^{\circ}C,\;24^{\circ}C,\;27^{\circ}C$의 다섯 환경으로 조절하였으며, 습도는 RH $45\%$였다. 수면환경 $18^{\circ}C$에서 $24^{\circ}C$까지에서는, 수면전, 수면후 모두, 피험자는 약간의 Hypothermia의 경향을 보였지만 Neutral Situation과 큰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수면전과 수면후의 체온조절 반응의 차이가 Allesthesial Response와 국소의 쾌적한 온도 선택의 두 실험결과 모두에서 현저히 나타났다. 생리적 반응의 결과에서도 $18^{\circ}C$에서 $21^{\circ}C$까지의 수면환경이 가장 쾌적하게 나타났다. 또한, 실험결과에서 행동적 온도 조절 반응이 생리적 반응에 앞서 보다 민감하게 이루어짐을 볼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