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의복구매만족

검색결과 28건 처리시간 0.025초

의복 관여 유형에 따른 소비자 행동 특성 (Consumer Behavior Characteristics Related to Clothing Involvement)

  • 전경숙;박혜정
    • 복식문화연구
    • /
    • 제16권4호
    • /
    • pp.709-721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different consumer clusters based on clothing involvement and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consumer characteristics related to clothing purchasing. As consumer behavior characteristics, this study included visiting purpose of Internet shopping malls, purchasing situation, consumer confidence, and clothing satisfaction. Data were gathered by surveying university students living in Seoul metropolitan area using convenience sampling, and 321 questionnaires were used in the statistical analysis. In analyzing data, cluster analysis and one-way ANOVA were conducted. The cluster analysis identified four different consumer clusters,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onsumer behavior characteristics among the four clothing involvement clusters.

  • PDF

신체만족도와 의복태도에 따른 소비자의 충동구매와 부정적 소비자상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sumer's Impulse-Buying in a Negative Consumer Situation by Body Cathexis and Clothing Attitude)

  • 박정은;강경자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3-24
    • /
    • 2006
  • The college students selected by random sampling were classified into four groups by their body cathexis and clothing attitude to investigate differences in the consumer's Impulse-Buying in a negative consumer situation. Consumer cluster were classified into four groups: positive congruity(G1), positive incongruity(G2), negative congruity(G3), negative incongruity(G4). The result are as follows: G1 had high impulse. After Impulse-buying in a negative consumer situation they had negative attitude. G2 tends to do Impulse-buying a lot in a negative consumer situation. G3 had low impulse. After impulse-buying in a negative consumer situation they had both positive and negative attitude. After impulse-buying, G4 had negative and they tend to do a pure impulse buying in a negative consumer situation. As a result, the buying-impulse could cause the impulse-buying.

  • PDF

의복제품에 대한 소비자 만족의 종적연구 -구매시 만족과 사용시 만족을 중심으로- (A Longitudinal Study on Consumer Satisfaction in Clothing Product -With Reference to Satisfaction at the Point of Purchase and Satisfaction in Wearing-)

  • 홍금희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3-14
    • /
    • 1991
  • This thesis investigates influential attributes in clothing purchase through the examination of questionnaire concerning consumer satisfaction at the point of purchase, and clarifies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umer satisfaction at the point of purchase and that in wearing.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At interest stage, color, beauty, becomingness and suitability to occasion are influential (in this order): at trial stage, becomingess, color, others' reaction and fit: at adaption stage, color, becomingness, beauty, fit. 2. According to canonical analysis, consumer satisfaction at the point of purchase and that in wearing are closely related. (RCI = .97) It suggests that satisfaction in wearing depends largely on satisfaction at the point of purchase. 3. General satisfaction in wearing is closely related with such factors as predictive expecta-tion, satisfaction at the point of purchase, predictive disconfirmation, normative disconfirrna-tion, and product performance. According to repression results, those factors can explain $79\%$ of satisfaction ill wearing (R = .79). Above all, product performance and normative disconfirmation are highly influential.

  • PDF

성에 대한 태도, 신체만족도가 신체 노출 의복의 구매의사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Sexual Attitude and Body Satisfaction on Buying Intention of Body Exposed Clothing)

  • 김수경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105-114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is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attitude toward sex and body satisfaction in the on interest, preference, and buying intention of body exposed clothing among female university students. The Susubject were 397 female students from 3 different universities in Seoul. The instruments of this study wereconsisted of response scale and stimuli. Thirty-four four items on a of 5-point Likert scale were used to measure the attitude towards sex and body satisfaction The stimuli were 6 types of different body exposed clothing style on line drawing. The results were as follow; 1. Most female students were liberal in sexual attitude and had a high level of body satisfaction. Especially, younger students were more liberal than older students. 2. Designs with the greatest interest, preference and that were most interested in, prefer and had buying intention were Camisole, V-neckline and low-neckline designed clothes. 3. Attitude toward sexual value has a strong effect on interest, preference, and buying intention of body exposed clothing. And also ilneterest of body exposed clothing has more effect on buying intention than preference.

폐경기 증상 경험 유무에 따른 중년여성의 의복 구매 요인 및 만족도 조사 (Survey on Clothing Worn by Middle-aged Women Undergoing Menopause and Their Satisfaction with Garments According to Menopausal Symptoms)

  • 박순지;김혜진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6권11호
    • /
    • pp.1186-1196
    • /
    • 2012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garments of middle-aged women undergoing menopause and their satisfaction with them.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survey of 288 middle-aged women and analyzed using SPSS 17.0. As a result (in terms of degree of symptoms) backache, arthralgia, muscular pain and heat sensation were indicated as significantly more outstanding in the menopause group rather than the menopausal transition group. As a countermeasure to physiological symptoms, a change of temperature (warming or cooling) was applied for backache and arthralgia as well as taking medicine for stomachaches and muscular pain. Body parts suffering from heat sensations were the face, back neck, chest center, waist and hip. Body parts suffering from arthralgia and muscular pain were the shoulder and hip joints. The most significant purchasing factor for menopausal women was the fit of outerwear and antibiosis in underwear; however, women not undergoing menopause selected comfortableness when moving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terms of body shaping and thermoregulation function, the satisfaction degree in underwear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Menopausal women wanted functional underwear that provided functions such as thermoregulation, absorption of secretions, and antibiosis.

청년기 여성의 의류상표선택과 가정환경과의 관계 연구

  • 이은실;이명희
    • 한국복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복식학회 2001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46-47
    • /
    • 2001
  • 본 연구의 목적은 청년기 여성의 국내 및 외국 의 류상표선태과 가정의 가치지향성 및 물리적 가정환 경과의 관계를 조사하며. 상표선택에 따른 상표결정 동기의 차이를 파악하고 의복구매 후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특성을 조사하는 데 있다. 연구방법은 질문지법을 사용하였으며, 조사대상은 서울시내 여고생과 여자대학생 408명이었다(여고생 224명, 여대생 184명). 가정환경변인 측정도구는 정원식의 '가정환경진단검사'중에서 가정의 가치지향 성을 사용하였으며. 사회상승주의, 물질주의, 전통주 의에 관한 내용을 포함하였다. 상표선택은 최근에 구 입한 캐주얼웨어의 상표에 대한 내용과 구입희망 상 표를 조사하였으며, 상표결정동기는 5점 척도의 10 문항을 사용하였다. 가정의 물리적 환경은 부모의 학력, 사회계층, 주거공간을 조사하였으며, 인구통계적인 변인으로 학년, 연령, 용돈을 조사하였다. 조사기 간은 2000년 4월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고생 및 여대생이 구입한 의류상표는 국 내상표가 24.0%. 외국 상표가 37.5%. 상표명을 기억 하지 않는 상표무관심 집단이 38.5%였다. 구입희망 상표는 외국상표가 48.8%. 국내상표가 26.0%. 무관 심집단이 25.2%로서 구입한 상표보다 구입희망상표 의 경우 외국상표가 더 높은 비율을 나타냈다. 둘째, 가정의 가치지향성은 국내 및 외국의류상표 구입집단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가정 의 가치지향성 중에서 사회상승주의는 구입희망 집 단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어, 외국상표 구입희망 집단은 가정의 사회상승주의가 높았고, 상표무관심 집단은 사회상승주의가 낮았다. 따라서 사회적 지위 상승을 추구하는 가치관을 지닌 가정의 청소년들은 부모의 가치관에 영향을 받아 외국상표 의류를 희망 하여 의복을 통해 신분상승을 추구하려는 정도가 높은 것으로 해석된다. 셋째, 국내 및 외국 의류상표 구입집단운 부모의 학력, 가정의 사회계층 및 주거공간과 유의 한 관계가 있었다. 아버지와 어머니의 학력이 대졸 이상의 경우 는 외국상표를 더 많이 구입하였고, 부모띄 학력이 고졸인 청소년은 상표 무관심집단이 많았다. 또 상류 층은 외국상표 및 국내상표를 구매한 비율씨 비슷하 게 높았으나 하류층은 상표 무관심집단이 더 많은 편이었다. 구입회망상표와 사회계층 및 주거공간과 는 유의한 관계가 없었다. 따라서 청년기 여성은 가정의 사회계층과 관계없이 외국상표의 구입을 희망 하는 정도가 높다고 할 수 있다. 넷째, 외국상표 구입 집단은 국내상표 구입 집단 보다 상표를 미리 결정하는 경우가 더 많았고. 백화 점에서 구입하는 정도가 더 높았다. 또한 여대생은 의류상표선택과 용돈이 유의한 관계가 없었으나 여고생은 유의한 관계가 있었다. 다섯째. 외국상표 구입집단은 국내상표 구입집단 보다 주위 사람의 상표와 상표의 명성이 더 높은 구입동기로 작용하였으나. 품질, 유행, 할인가, 디자인, 가격, 착용감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여섯째, 상표결정동기 중 할인가 구매는 가정의 사회상승주의 및 물질지향주의와 유의한 정적 관계 가 있었고, 적절한 가격도 물질지향주의와 정적 관계 를 나타냈다. 가정의 전통주의는 의복의 디자인과 부 정적인 관계, 상점의 위치와는 정적관계가 있었다. 따라서 전통주의적인 가치관을 지닌 가정의 자녀는 편리한 상점의 위치가 상표결정동기로 작용하는 데 영향을 주는 특성임을 알 수 있다. 일곱째, 의복만족에 동시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디자인, 면안성, 타인의 착용( - ). 상표의 명성, 외국 상표선택, 의복품질로 나타났으며. 6개 변인을 통한 설명력은 24.4%였다. 즉 상표를 결정할 때 디자인, 편안성, 상표의 명성, 의복품질을 고려하며. 주위사람들이 착용한 상표를 고려하지 않을수록 만족도가 높았으며, 외국상표를 선택한 집단일수록 만족도가 높았다. 종합적으로 볼 때 가정의 사회상승주의가 높은 청년기 여성은 외국상표 구입을 희망하는 비율이 높고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높을수록 외국상표 구입 빈도가 높았으며. 외국상표를 구입한 여성은 의복구 매 후 만족도가 높았다. 또한 청소년들이 외국 의류 상표를 구매하는 데에는 상표의 명성과 타인의 옷차 림이 영향을 주었으나, 타인의 착용에 영향을 받는 정도가 높을수록 의복 구매 후 만족도는 낮아진다고 할 수 있다.

  • PDF

성인여성 기성복의 치수 간격설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pparel sizing system of adult women)

  • 이진희;최혜선;박수찬;김진호
    • 대한인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인간공학회 1993년도 추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189-204
    • /
    • 1993
  • 산업화로 인한 급속한 경제성장과 증가하는 여성들의 사회진출은 의생활에서 보다 편 하고 간소화된 생활양식을 추구하게 되고, 이에따라 의복의 구입에 있어서도 맞춤복보다 는 시간, 경제면에서 유리한 기성복을 선호하게 되었다. 불특정다수를 위한 기성복의 생산에 있어서 개개인의 체형에 보다 적합성이 좋은 제품의 개발을 위해 다수인의 다항 목계측치에 근거한 치수체계의 설정은 무엇보다 중요한 문제가 된다. 우리나라에서는 1979년 공업진흥청에 의해 제 1차 국민표준체위조사가 실시되었으며, 1986년에는 제 2차 조사가 실시되어 그 결과를 토대로 한국 공업규격의 의류치수 규격이 제정 발표되었다. 그러나 이것은 연령에 따른 신체적 변화를 고려한 체형분류가 되어 있지 않으며, 제품 호수에 따라 동일한 간격을 둔 체계였다. 1992년에는 제 3차 국민표준체위조사가 실시 되어 그 결과가 발표되었다. 의복은 인체계측에 의한 신체 각 부위의 치수와 형태를 기초로 2차원적인 소재에 적절한 원형을 사용하여 재단, 봉제과정을 거쳐 3차원의 입체 로 구성하고 인체에 대응시킨 것이므로 기성복에 대하여 소비자의 치수적합성을 만족시 키기 위해서는 체형의 특징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특히, 성장이 완료된 성인 여성은 출산후 중년에 접어들면서 신체적 특성이 변하여 체형이 바뀌는 경향이 있으므로 전 여성에대한 의류치수규격보다는 연령의 구분과 체형의 분류가 필요하다고 본다. 더우기 의류업체들의 판매대상의 세분화는 이를 더욱 뒷받침해주고 있다. 따라서 체형의 분류는 의복 치수 규격에 적용되어 의복의 종류에 따라 대다수의 불특정 다수 에게 보다 잘 맞는 의복 치수를 제공할 것이며, 그 치수의 정확성을 증대시키게 된다. 김성득(1991)은 소비자의 기성복에 대한 구매확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규격치를 등간격 으로 하기 보다는 소비자의 분포밀도가 높은 곳일수록 규격치 간격들을 좁게 설정함으 로써 생산자 입장에서 총손실을 줄이고, 상대적 비용절감효과를 갖게할 수 있다고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성인 여성기성복의 치수적합성을 높이기위하여 출산 후 중년에 접어 들면서 체형이 변화되는 것을 고려하여 연령을 분류하고(18세-34세, 30세-51세), 각 연령 집단에 따른 체형을 각각 3가지로 분류하였다. 이에 따라 의복 생산시의 총손실을 줄이기위한 상의, 하의생산시 필요한 부위별 최적규격치 간격을 제시하였다.

  • PDF

의류점포서비스가 의복충동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pparel Store Services on Impulsive Buying Behaviors)

  • 최영은;박은주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6권11호
    • /
    • pp.1615-1626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hopping orientation, and service quality and satisfaction on impulsive buying behavior in two types of apparel store. The sample consisted of 616 females aged 20-30 who were shopping at department stores and shopping malls in Busan. Data were analyzed with factor analysis, t-test, cross analysis and path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consumers of department stores showed more strongly convenient orientation than those of the shopping mall, consumers of the shopping mall showed more strongly recreational orientation and practical orientation than those of the department. Stores services of the department were perceived better than that of the shopping mall in promotional services, salespersons' services and environmental services. But it didn't show any differences between store types in product services. Consumers 'satisfaction with the service was greater in department stores than the shopping mall. But it didn't show any difference between apparel store types in the impulsive buying behaviors. Impulsive buying behavior of department store shoppers is directly affected by a shopper' shopping orientation as well as store service quality perceived by shoppers rather than a shopper' satisfaction. The service quality does not have directly related to consumers’ service satisfaction. The causal relationships of impulsive buying behaviors showed similarity in shopping malls and department stores. The perceived quality and satisfaction with store service were higher at department store than shopping malls. In impulse buying behavior of a department store was directly affected by a shopper' shopping orientation as well as store service quality perceived by shoppers rather than a shopper’ store service satisfaction.

의복구매효능감에 따른 의류제품평가의 차이 (Differences in the Evaluation of Clothing Products according to Self-Efficacy in Purchasing Clothes)

  • 고선영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5권7호
    • /
    • pp.775-786
    • /
    • 2011
  • This study examines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evaluation of clothing products according to self-efficacy in purchasing clothes. A total of 300 surveys were distributed and 231 were used for analysis. The data were analyzed by regression and factor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roduct attributes considered according to self-efficacy in purchasing clothes. The consumers with high self-efficacy considered diverse product attributes comprehensively when making purchase decisions and had significantly higher score in perceived value and post-purchase satisfaction level than the consumers with low self-efficacy. Second,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attributes of clothing products that effects perceived value according to self-efficacy in purchasing clothes. The attributes of 'clothes that I like' and 'necessary clothe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erceived value for both consumers. The attributes of 'design that suits me' and 'inexpensive price' had significant effect on perceived value on consumers with high self-efficacy while the attributes of 'harmony with other clothe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erceived value for consumers with low self-efficacy. Third, there were differences in product attributes and the perceived value that influenced post-purchase satisfaction level according to self-efficacy in purchasing clothes. The attributes of 'design that suits me' and perceived value had a direct effect on the post-purchase satisfaction level four consumers with a high self-efficacy. For the consumers with low self- efficacy, the attributes of 'clothes I like', 'necessary clothes', and 'design similar to that of usually purchased products' had a direct effect on post-purchase satisfaction level; however, the effect of perceived value was not found.

패션 판매원의 직무적합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Job Aptitudity of Fashion Salesperson)

  • 정인희;박경옥;이민점;민경선;강진구
    • 한국유통학회지:유통연구
    • /
    • 제10권2호
    • /
    • pp.73-97
    • /
    • 2005
  • 오늘날 시장에서는 제품 미학, 브랜딩 전략, 서비스 품질과 같은 감성적 요소들의 중요성이 점점 증대되고 있으며, 특히 패션제품의 경우 구매 시점에서의 감성적 요소들은 주로 인적 판매와 관련된다. 이처럼 패션 판매원의 역할이 중요해짐에 따라 판매원이 갖추어야 할 직무적합성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1) 패션 판매원의 직무적합성을 구성하는 요인을 규명하고, (2) 인구통계 특성과 직업 통계 특성 및 의복관여, 유형혁신성, 지속적 정보탐색, 직무만족과 직무적합성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에서 패션 판매원의 직무적합성은 제품지식, 직업의식, 현 직장 관여, 마케팅 협력자로서의 자질, 고객지향성, 자기관리의 6개 요인으로 규명되었다. 패션 판매원들의 전반적인 의복관여와 유행혁신성은 높게 나타났으며, 직무적합성 요인들 중에서는 마케팅 협력자로서의 자질과 제품지식 요인에 대한 점수가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었으므로 통합적 패션 마케팅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섬유와 패션 관련 제품지식과 판매 정보의 전략적 활용을 포함한 판매원 교육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패션 판매원의 직무적합성은 의복관여, 유행혁신성, 지속적 정보탐색, 직무만족과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 직무적합성과 유의한 관계를 보인 척도들은 패션 유통 업체들의 판매원 관리에 직무적합성 검증을 위한 지표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