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의복구매

Search Result 410,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Study on the Effect of A Teenager′s Materialistic Sense of Value on Their Clothing Behavior (청소년의 물질주의 가치관이 의복행동에 미치는 영향 연구)

  • Lim, Sook-Ja;Lee, Mihy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25 no.10
    • /
    • pp.1719-1727
    • /
    • 2001
  • 본 연구는 심리적으로 불안정하여 준거집단이나 사회의 영향을 민감하게 받으며, 의복과 외모에 관심이 높은 청소년을 대상으로 전통적 가치관이 무너지고 소비 지향적인 물질주의 가치관이 팽배한 사회 분위기 속에 이들의 심리적 변수인 가치관이 의복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서울의 강남과 강북에 위치한 고등학교 1학년 남녀 학생 530명을 대상으로 선행연구에서 사용된 척도를 사용한 실증연구를 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PC$^{+}$프로그램을 사용하여 t-test, ANOVA, MANOVA등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물질주의 가치관은 청소년의 의복착용행동에 영향을 미쳐, 물질주의 가치관이 높은 청소년은 물질주의 가치관이 낮은 청소년에 비해 의복 착용시 심미성을 더 중시하고 의복에 대한 관심과 의존도가 높으며, 의복을 또래집단과 비슷하게 입으려는 동조성도 더 높았으며 의복을 통해 과시하려는 경 향도 높았다. 그러나 의복착용시 정숙성은 그리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았다. 물질주의 가치관은 청소년이 의복을 구매할 때도 영향을 미쳐, 물질주의 가치관이 높은 청소년의 의복구매동기는 물질주의 가치관이 낮은 청소년에 비해 더 충동적이고 과시적이며, 유행과 개성 지향적인 것을 알 수 있었으나 실질적이거나 실용적인 구매동기는 상대적으로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물질주의 가치관에 따라 청소년의 의복 구매시 사용하는 정보원천과 즐겨 구매하는 장소도 차이가 나타나, 물질주의 가치관이 높은 청소년이 물질주의 가치관이 낮은 청소년보다 의복 구매시 정보를 얻기 위해 더 많은 정보원천을 사용하며, 다양한 구매장소를 활용하며, 더 비싼 의류제품을, 더 자주 구매하며, 쇼핑을 위해서도 더 많은 시간을 할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로 청소년의 물질주의 가치관은 이들의 의복관심과 의복착용 그리고 구매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PDF

Clothing Purchase Motivation by Clothing Attitudes for Korean-Chinese College Female Students (중국 조선족 여대생의 의복태도에 따른 의복구매동기)

  • Kim, Soon-Sim;Kim, Hyun-Sik
    • The Korean Journal of Community Living Science
    • /
    • v.16 no.3
    • /
    • pp.133-141
    • /
    • 2005
  • 본 연구는 연변 지역 조선족 여자 대학생을 대상으로 의복태도에 따른 의복구매동기를 조사함으로써 소비자의 심리적 특성을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2002년 5월에서 6월 사이에 300부의 설문지가 중국 연변 지역의 여자 대학생에게 배부되어 248부의 설문지가 최종적으로 분석에 사용되었다. 설문지는 5점 척도를 사용하였고, 통계처리는 SAS PC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요인분석, t-test를 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여자 대학생의 의복태도는 유행성, 유명상표지향성, 심미성, 정숙성의 네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각 요인 별로 요인의 평균값이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으로 분류하여 의복태도에 따른 의복구매동기를 조사한 결과, 유행성${\cdot}$유명상표지향성${\cdot}$심미성${\cdot}$정숙성 네 요인 모두 각 요인 별로 평균값이 높은 집단과 낮은 두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유행성요인에 높은 평균점수를 갖는 집단은 낮은 집단에 비해 멋진 외모나 새로운 유행을 추구하기 위해 의복을 구입하는 동기가 높았고, 미적요인에 높은 평균점수를 갖는 집단은 낮은 집단에 비해 실용적 이유보다는 사회적 모임이나 기분의 변화를 위하여 의복의 구매동기를 가졌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의복태도는 중국조선족소비자의 경우에도 의복구매행동을 예측하는 좋은 변수가 될 수 있으며 시장세분화를 위한 유용한 기준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A Study on Clothing Buying Motive and Clothing Buying Behavior (의복구매동기와 의복구매행동에 대한 연구-여대생을 중심으로)

  • Park, Hye-Sun;Kwon, Chung-Mun;Kim, Chun-Yo;Lee, Han-Goo;Chol, Hun-soo
    • The Journal of Natural Sciences
    • /
    • v.9 no.1
    • /
    • pp.131-143
    • /
    • 1997
  • The authors studied clothing buying motive and clothing buying behavior. The date were obtained from 352 women college students living in Seoul and Taejon. As the result of factor analysis. four buying motive factors were found: fashion and individuality, economy, status, advertising and impulsive buying. Three buying behaviors(information using, clothing selection standard, and shop selection standard) were factor analyzed. Three factors were founded in information using: human, electric wave communication, advertising and observation factors. Four factors were found in clothing selection standard: utility, design, marketing, fashion and status. Two factors were found in shop selection standard: merchandise and service. Clothing buying motive and clothing buying behavior were related, and they we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levels of spending money and major in college.

  • PDF

The Effects of Self-esteem, Shopping Motivations, and Shopping Tendencies on the Clothing Purchase Behavior of the MZ Generation (MZ세대의 자아존중감, 쇼핑동기 및 쇼핑성향이 의복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 Lee, Myeong-Jin;Lee, Min-Ji;Kim, Hye-Kyu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2 no.9
    • /
    • pp.308-321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how self-esteem, shopping motivations, and shopping tendencies affect the clothing purchase behavior of the so-called "MZ generation," a cohort that includes both millenials and Generation Z and exerts significant influence in various area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extrinsic purchase motivations (purchased made due to the influence of other people), trend-seeking shopping tendencies, and pleasure-seeking shopping tendencies had a positive and significant effect on personal needs among the sub-factors of clothing purchase behavior of the MZ generation.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MZ real purchase shopping motivations, trend-seeking shopping tendencies, pleasure-seeking shopping tendencies, and convenience-seeking shopping tendencies had a positive and significant effect on actual needs among the sub-factors of clothing purchase behavior among the MZ generation. Third, it was found that social self-esteem, extrinsic purchase motivations, and convenience-seeking shopping tendencies had a positive and significant effect on clothing marketing strategies among the sub-factors of clothing purchase behavior of the MZ generation. On the other hand, personal self-esteem was found to negatively affect the marketing strategies of clothing purchase behavior. In other words, the expectation that the MZ generation would buy clothes in accordance with their individual preferences and beliefs was not supported by the findings of this study. It would appear that the beliefs and behaviors of the digitally savvy MZ generation are changed by the fashion trend-related information they readily access when purchasing clothing. From the above research results, it can be concluded that there many variables that influence the clothing purchase behavior of the MZ generation and it is thus necessary to consider this cohort a new consumer segment and establish marketing strategies accordingly.

자기 이미지에 따른 착용의복이미지, 의복추구이미지 및 의복구매행동

  • 염인경;김미숙
    • Proceedings of the Costume Culture Conference
    • /
    • 2003.09a
    • /
    • pp.85-86
    • /
    • 2003
  • 의복은 비언어적 상징으로서 의사를 전달하는 무언의 언어로 이용되어 사람들은 의복을 통해 자기를 나타내며 동시에 다른 사람을 지각하고 평가하게 되는데 이러한 역할은 현대사회에 와서 더욱 강조되었다. 따라서 소비자들은 이미지라는 감정적ㆍ주관적인 요소로써 의류상품을 평가, 구매하는 경우가 많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여자 대학생을 대상으로 자신이 생각하는 자기 이미지에 따른 실제 착용하는 의복이미지, 추구하는 의복이미지와 의복구매행동을 조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의류산업체에서 의류상품개발을 위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중략)

  • PDF

백화점과 시장 구매자의 의복 소비가치와 소비자 만족에 관한 연구

  • 박태희;이명희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Costume Conference
    • /
    • 2003.05a
    • /
    • pp.39-39
    • /
    • 2003
  • 본 연구의 목적은 의복 구매시 백화점 및 시장에서 구매한 소비자의 의복 소비가치와 소비자 만족의 관계를 조사하여 비교하며, 이들 변인의 인구 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고, 의복 소비 가치와 인구통계학적 변인이 소비자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질문지법을 사용하였으며, 피험자는 서울 및 서울 근교에 거주하는 20∼50대 성인여성 364명이었다.

  • PDF

Apparel Impulse Buying and Shopping Emotion: Does It Differ between Korea and the US? (의복충동구매와 쇼핑감정: 한국과 미국 간의 차이가 있는가?)

  • Park, Eun-Joo
    •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 /
    • v.20 no.2
    • /
    • pp.401-412
    • /
    • 2011
  • 국가들 간의 차이는 국제적 소비자행동 연구의 근간이 되며 글로벌기업의 전략 구상에 중요한 변수로 작용한다. 본 연구에서는 의복충동구매에 대한 국가간 이해를 증진시키기 위해 한국과 미국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의복충동구매와 구매에 영향을 미치는 쇼핑감정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 쇼핑감정이 의복충동구매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질문지를 개발하였고, 한국(N = 412)과 미국(N = 290) 각각의 대도시에 위치한 대학교를 무작위 선정하여 정규강의시간 전후에 자원자들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 결과, 미국대학생들에 비해 한국대학생들은 구체적 구매의도가 없는 상태에서 점포를 둘러본 후에 구매할 것을 결정하는 등의 계획적 충동구매나 다른 목적으로 점포에 들렀다가 계획에 없었던 필요한 것 혹은 기억나는 의류제품을 구매하는 등의 상기된 충동구매를 더 많이 하는 경향이 있었다. 그러나 미국 대학생들의 경우, 구매의도는 없었으나 새로운 스타일이나 최신 의류제품을 보았을 때 충동적으로 구매를 하는 패션지향적 충동구매가 한국대학생들에 비해 더 많이 나타나는 경향이 있었다. 또한 소비자들이 쇼핑할 때 느끼는 쇼핑감정 중 긍정적인 쇼핑감정은 미국대학생들이 한국대학생들보다 더 많이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과 미국 대학생들은 모두 쇼핑과정에서 긍정적 감정을 느낄 때 여러 유형의 의복충동구매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으나 부정적 쇼핑감정이 발생했을 때는 한국 대학생들만이 패션지향적인 충동구매를 하는 경향이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의류제품을 쇼핑할 때 두 나라 대학생 모두에게 쇼핑감정 특히, 긍정적 감정은 구매의도를 자극하여 충동구매를 조장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함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의복충동구매와 쇼핑감정 간의 관계를 이해하고자하는 연구자들과 리테일러들에게 필요한 정보들을 제공해준다.

주5일 근무 직장인의 라이프스타일과 의복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 이선재;최정원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Costume Conference
    • /
    • 2003.05a
    • /
    • pp.48-48
    • /
    • 2003
  • 주5일 근무제는 높아지는 생산력과 원활한 재생산을 담보하는 중요한 기제로 작용하여, 한 나라의 경제발전단계가 양적 성장단계에서 질적 성숙단계로 전환하는 시기에 도입이 요구되는 중요한 제도적 과제이다. 이에 본 연구는 주5일 근무제 도입에 따라 직장인의 라이프스타일과 의복구매행동의 유형을 분류하고, 유형별 특성과 인구통계적 특성의 관계를 밝혀 라이프스타일과 의복구매행동의 유형간의 관련성을 규명하여 본 연구를 바탕으로 주5일 근무제 도입에 대한 마케팅의 기초분석자료로써 달라진 고객의 라이프스타일과 의복구매행동의 변화를 인식하여 합리적인 마케팅 전략 수립에 도움을 주고, 의류업계의 나아갈 방향을 모색해 보려고 한다.

  • PDF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isk Dimensions of Apparel Involvement and Online Impulse Buying Behavior (위험지각 측면에서의 의복관여와 온라인 충동구매행동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 Rhee, Young-Ju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31 no.12
    • /
    • pp.1733-1741
    • /
    • 2007
  • Consumers nowadays spend more time using computers and are getting used to buying products through the Internet(Park, 2002), and therefore, understanding consumers' impulse buying behavior in an online shopping context is also important for retail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online apparel impulse buying behavior and the two risk dimensions of apparel involvement(i.e., risk importance, risk probability).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an online survey with a structured questionnaire. A total of 339 college students were used in the study. The results of MANOVA showed that the impulse buyer group perceived the risk importance and risk probability of apparel involvement significantly lower. Based on the results, the two hypotheses were supported. From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it is concluded that the two risk dimensions of apparel involvement are negatively related to online impulse buying behavior of apparel products. From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it is concluded that the risk dimensions of apparel involvement are closely related to the online apparel impulse buying behavior.

Impulsive buying behavior of apparel products -Relating to store service quality, evaluative criteria, perceived risk - (의류제품의 충동구매행동과 의류점포 서비스 품질, 의복평가기준 및 위험지각의 관계)

  • Park, Eun-Joo;Kang, Eun-Mi
    • Journal of Global Scholars of Marketing Science
    • /
    • v.9
    • /
    • pp.153-173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of store service quality, evaluative criteria, perceived risk and impulsive buying behavior of apparels. Data were collected from 481 women living in Busan and analysed by factor analysis, frequency analysis, Cronbach's $\alph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overall perceived risk was emerged the relationship to the easy-of-care and prestige/brand royalty of apparel products in evaluative criteria. The lower scores of salesperson service and store atmosphere were the high perceived performance risk by consumers. But the color/style of apparel products influenced positively performance risk. The care risk was emerged the relationship to the easy-of-care. And the time convenience loss risk and socio-psychological risk was influenced by prestige/brand royalty of apparel products. 2. The impulsive buying behavior of apparel products was influenced by care risk, performance risk and the store atmosphere. The results showed that perceived risk were influenced partially by store service quality and evaluative criteria of apparel. When were impulsive buying behavior of apparel products, consumers were influenced by care risk that easy-of-care and change after cleaning, and performance risk that coordination and the cost of buying, and then, were influence by store atmosphere and interior.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