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22.22.09.308

The Effects of Self-esteem, Shopping Motivations, and Shopping Tendencies on the Clothing Purchase Behavior of the MZ Generation  

Lee, Myeong-Jin (동덕여자대학교 패션학과)
Lee, Min-Ji (동덕여자대학교 패션학과)
Kim, Hye-Kyung (동덕여자대학교 패션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how self-esteem, shopping motivations, and shopping tendencies affect the clothing purchase behavior of the so-called "MZ generation," a cohort that includes both millenials and Generation Z and exerts significant influence in various area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extrinsic purchase motivations (purchased made due to the influence of other people), trend-seeking shopping tendencies, and pleasure-seeking shopping tendencies had a positive and significant effect on personal needs among the sub-factors of clothing purchase behavior of the MZ generation.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MZ real purchase shopping motivations, trend-seeking shopping tendencies, pleasure-seeking shopping tendencies, and convenience-seeking shopping tendencies had a positive and significant effect on actual needs among the sub-factors of clothing purchase behavior among the MZ generation. Third, it was found that social self-esteem, extrinsic purchase motivations, and convenience-seeking shopping tendencies had a positive and significant effect on clothing marketing strategies among the sub-factors of clothing purchase behavior of the MZ generation. On the other hand, personal self-esteem was found to negatively affect the marketing strategies of clothing purchase behavior. In other words, the expectation that the MZ generation would buy clothes in accordance with their individual preferences and beliefs was not supported by the findings of this study. It would appear that the beliefs and behaviors of the digitally savvy MZ generation are changed by the fashion trend-related information they readily access when purchasing clothing. From the above research results, it can be concluded that there many variables that influence the clothing purchase behavior of the MZ generation and it is thus necessary to consider this cohort a new consumer segment and establish marketing strategies accordingly.
Keywords
MZ Generation; Self-esteem; Shopping Motivations; Shopping Tendencies; Clothing Purchase Motivations;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3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이호연, 의복쇼핑성향과 인터넷 쇼핑몰에서의 의복구매행동에 관 연구: 20대 여성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2 주경원, 쇼핑성향, 패션 혁신성, 모바일 편의지각이 의복구매에 미치는 영향, 국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3 이경희, 중학생의 의복태도와 의복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광주시와 무안군을 중심으로, 목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4 박명희, "중년여성의 건강증진 생활양식 관련요인분석," 여성건강간호학회지, 제35권, 제1호, pp.85-98, 1997.
5 임경복, 시간지각이 의복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4.
6 A. J. Rohm and V. Swaminathan, "A typology of online shoppers based on shopping motivations,"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Vol.5, No.7, pp.748-757, 2004.
7 신승현, 2635세대의 의복쇼핑성향 및 의복구매동기에 관한 연구: 여가행동 참여 정도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8 P. H. Bloch and M. L. Richins, Shopping without purchase: An investigation of consumer browsing behavior," ACR North American Advances, Vol.10, No,1, 1983.
9 김태미, 다문화가정 구성원의 자아존중감과 신체만족도에 따른 의복행동 및 뷰티관심도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10 정지혜, "한국형 얼리어답터, 그들을 주목하라," LG경영연구원, p.22, 2006.
11 심정은, 청소년기의 자의식 및 체중조절행동과 의복행동과의 관련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7.
12 이지은, 최자영, "쾌락적 쇼핑동기와 충동구매행동간의 관계에서 쇼핑관여도의 조절효과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제9권, 제3호, pp.497-521, 2008.   DOI
13 홍병숙, 박성희, "고객의 관여도 수준 및 의류판매원과의 성격유사성이 판매효과에 미치는영향," 한국의류학회지, 제29권, 제3호, 제4호, pp.576-584, pp.79-103, 2005.
14 이현경, 의복쇼핑성향에 따른 온라인 구매동기와 구매후기 정보 활용 그리고 온라인 구매행동, 동덕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15 안채윤, "신체이미지가 외모관리행동, 자아존중감,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성인남성을 대상으로-," 한국콘텐츠학회, 제19권, 제6호, pp.620-631, 2019.   DOI
16 정기옥, 중년남성의 라이프스타일과 외모관리행동에 따른 의복구매행동,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17 문혜경, 유태순, "자아존중감, 외모관심도와 의복태도 및 화장에 관한 연구," 한국복식학회, 제53권, 제4호, pp.101-112, 2003.
18 김애경, 옴니채널 소비자들의 쇼핑동기와 쇼핑성향 이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19 이인숙, 양윤미, "여대생의 신체상, 외모관리 행동 및 심리사회적 건강과의 관련성,"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2호, pp.301-312, 2015.   DOI
20 홍정화, "MZ세대의 가치가 식품 친환경 소비행동에 미치는 영향-가치-신념-규범 이론을 적용하여-," 호텔리조트연구, 제19권, 제4호, p.20, pp.1-220, 2020.
21 오영진, 여성의 외모관리행동과 자아존중감에 관한 연구. 남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22 이인숙, 양윤미, "여대생의 신체상, 외모관리 행동 및 심리사회적 건강과의 관련성,"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2호, pp.301-312, 2015.   DOI
23 박근정, 패션모델의 가치관과 쇼핑성향이 의복구매 동기 및 평가기준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7.
24 김정실, 뉴실버 여성소비자의 지각연령에 따른 의복 구매행동연구: 라이프스타일과 쇼핑성향을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6.
25 김한나, 중국유학생의 자아존중감이 자기이미지 의복추구이미지 및 의복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충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26 J. M. Carman, "Value and consumption patterns: A closed loop,"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Vol.5, pp.403-407, 1978.
27 이경아,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7.
28 M. Rosenberg, Society and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65.
29 이희경, 청소년의 충동구매 경향성과 자아존중감 및 불안간의 관계, 서강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
30 M. J. Arnold and K. E. Reynolds, "Hedonic Shopping Motivation," Journal of Retailing, Vol.79, No.2, pp.77-95, 2003.   DOI
31 S. Dawson, P. Bloch, and N. Ridgway, "Shopping M.otives, Emotional States, and Retail Outcmes," Journal of Reatailing, Vol.66, No4, pp.408-427, 1990.
32 D. I. Hawkins, P. J. Best, and K. A. Coney, "Consumer Behavior : Implications for Marketing Strategy, Homewood, IL ; Irwin Inc., 4th, p.641, 1989.
33 김현, 남녀대학생의 가치관에 따른 의복행동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34 M. J. Sirgy, "Self-Concep t in Consumer Behavior: A Critical Review,"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Vol.9, pp.287-300, 1982.   DOI
35 송찬미, 중학생의 자아존중감이 스트레스 대처행동에 미치는 영향: 부모애착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인하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9.
36 J. O'Shaughnessy, Why people Buy,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987.
37 서은희, 이영선, "소비자의 의복쇼핑성향과 의복관여, 지속적 정보탐색과의 관계구매행동을 중심으로-," 충남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제10권, 제1호, pp.1-15, 1997.
38 이경민, 취업준비대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외모만족도 가 취업스트레스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영향: 항공서비스전공과 타전공간에 비교 효과 중심으로, 세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20.
39 E. Lee, G. P. Mochis, and A. Mathur, "A study of life events and changes inpatronage preferences,"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Vol.54(October), pp.25-38, 2001.   DOI
40 김순구, 윤학자, "자아존중감이 의복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제10권, 제1호, pp.4-7, 1986.
41 이수정, 의생활양식에 따른 의복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서울시내 남녀대학생을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3.
42 김유솔, MZ세대 인식조사를 바탕으로 한 전통문화상 품 디자인 연구: 십이지신의 현대적 해석을 중심으로, 영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