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의류상품

검색결과 367건 처리시간 0.024초

밀착의복 의복압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탐색 -실제착의와 가상착의 비교- (Exploring Variables Affecting the Clothing Pressure of Compression Garment -A Comparison of Actual Garments and Virtual Garments-)

  • 김남임;이효정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7권6호
    • /
    • pp.1080-1095
    • /
    • 2023
  • Three-dimensional virtual fitting has become a trending practice in the fashion industry because of its productivity benefits, allowing garments to be virtually worn by avatar models without physical production. This study analyzed the variables influencing clothing pressure in both real and virtual fittings to expand the potential utility of pressure data derived from the latter. For this purpose, six sets of compression garments were created by combining two types of tricot fabrics and three types of reduced-pattern tops, with the clothing for real and virtual fittings having identical dimensions. Focus was directed to analyzing the correlation among clothing pressure, surface area deformation, and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fabrics. In real fittings, clothing pressure was influenced by multiple factors, including garment design, pattern reduction ratio, body shape, and fabric properties, consistent with existing knowledge. In virtual fittings, however, only the digital 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the fabrics significantly influenced clothing pressure. The findings suggest that a more reliable implementation of clothing pressure in virtual fitting programs necessitates an approach that considers the complex structural information of garments.

E-textile을 이용한 무선 sEMG 모니터링 컴프레션 바지 설계 (Design of Compression Pants for Wireless sEMG Monitoring using e-textile)

  • 진희재;이효정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94-107
    • /
    • 2024
  • This study developed compression pants with excellent wearability and signal quality by approaching the design of wireless sEMG monitoring pants from the perspective of technical design, including the evaluation of wearability and the stable wireless transmission of signals through electrode and circuit design, and using e-textiles. An electrode, sewn with silver thread and a circuit stitched in a zigzag pattern using stainless steel wire, were applied. Additionally, polyurethane sealing tape was used to enhance adherence to the skin and reduce electrical resistance. Conductive snaps completed the design, allowing attachment and detachment to the bio-signal acquisition mainboard. Through the subjects' evaluation, it was determined that the final pants were applied with a pattern reduction rate of 25% to provide superior comfort according to different body parts while also minimizing skin irritation around the thigh circuit. The final pants for wireless sEMG monitoring, which demonstrated stable transmission of wireless measurements, was positively evaluated in terms of cognitive acceptability.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achieved an optimal design by considering both technical aspects and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bio-signal monitoring garments, as well as the wearer's perception when designing smart wear.

우리나라 의류상품 소매유통구조의 변화요인과 방향 (제2보) (Factors and Directions of the Change in Apparel Retail Structure in Korea (Part II))

  • 고선영;이은영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4권7호
    • /
    • pp.1087-1099
    • /
    • 2010
  • This study explores the retail environment factors of the changes mentioned in the "Factors and Directions of the Change of the Apparel Retail Structure in Korea" (Part I) to understand the changes in apparel retail institutions. This study was done through a literature research method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hanging consumer needs and trends require extensive new products, a method to manufacture diverse products according to the market demand, and the necessity to manufacture based on trends in demand. This limits the role of mass production, which brought about more flexible manufacturing modes, scaled down manufacturing factories, promoted more cooperative subcontract relationships, and increased global sourcing which uses other companies at the most appropriate global venue. How to organize and use cooperative networks that benefit companies is the key to global competitiveness in the new era and the information technology developed around retail shops plays a key role. Consequently, the management of consumers and their information becomes critical and retail distribution functions become a key corporate function. In addition, it is difficult for small shops to introduce effective new technologies that encourage the growth of large companies. Second, apparel companies that use to benefit from scale merits based on the previous mass production system are now becoming effective by using economies of scale through mass retailing while shops are enlarging their sizes as a way to survive. On the other hand, inexpensive clothes become even more inexpensive while expensive ones become even more expensive, promoting polarization and diverse price ranges that widen consumer options.

인터넷 의류쇼핑몰의 상품정보 제공방법 연구

  • 천종숙;이지원
    • 복식문화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복식문화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111-113
    • /
    • 2003
  • 한국에서의 인터넷 이용자 수는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2002년 6월에 발표된 KNP (Korea Netizen Profile)의 자료는 한국의 인터넷 사용자 중 여성은 약 42.9%이고, 20대가 약 43.6%를 차지한다고 보고하였다. 그러나 인터넷 쇼핑 방식에서는 소비자가 직접 실물을 확인하고 구매할 수 없으므로 의류 제품 구매 시 위험을 낮추기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 선행연구는 구매하는 의류의 품목에 따라 구매시 소비자가 지각하는 중요도가 다름을 보여준다. (중략)

  • PDF

온라인 의류 소비자들의 쇼핑동기, 정보원 사용과 의사결정 유형 (Purchase Motives, Use of Information Sources, and Decision Making Styles of Online Clothing Shoppers)

  • 이정은;이규혜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880-892
    • /
    • 2009
  • 본 연구는 온라인 쇼핑동기, 정보원의 사용, 의사결정 유형의 관계 분석을 통해, 소비자들에게 적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전략을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수행되었다. 실증적 연구결과 소비자의 쇼핑동기는 편의적 동기, 제품특성적 동기, 쾌락적 동기, 경제적 동기로 구분되었다. 본 연구에서 정보원은 이전 연구들과는 달리 쇼핑몰에 관한 정보원과 상품에 관한 정보원, 두 가지 종류로 구분하였다. 온라인 쇼핑몰에 관한 정보원은 중립적 정보원, 인적 정보원, 마케터 주도적 정보원으로 구분된 반면, 상품에 관한 정보원은 온라인 정보원, 오프라인 정보원으로 구분되었다. 이처럼 쇼핑몰에 관한 정보원과 상품에 관한 정보원은 차이를 보였으며, 정보원의 사용, 쇼핑동기, 의사결정 유형 각각의 관계도 알아 보았다. 결론을 바탕으로 온라인상의 의류 판매자가 소비자들을 그들의 쇼핑몰로 이끌고, 구매를 유도하도록 마케팅 전략을 제안하였다.

의류 상품에 인터넷 쇼핑몰 성공 제품에 관한 조사 연구 -F/W 상품을 중심으로- (The Research about Successful Apparel Products in Internet Shopping-mall -Focusing on F/W products-)

  • 김선숙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9권9_10호
    • /
    • pp.1349-1358
    • /
    • 2005
  • Generally apparel products were recognized as an incongruent product type which direct search was needed for. But nowadays apparel products were ranked as a second product type next to electronics in sale amount of internet shopping mall. Therefore more detailed study on which attributes of fashion products are more successful and suitable in internet shopping mall is necessary. This study was executed to analyze common attributes of successful apparel in internet shopping mall on the basis of real sale data, and then to help internet apparel marketer plan marketing strategies more efficiently. Common attributes of successful apparel products in internet shopping-mall in terms of product, price and promotion attributes were identified. 240 products which were loaded in bestseller section of internet shopping-mall for 8 weeks from November to December, 2004 were analyz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roducts ratio for women ($76.7\%$) were higher than for men($18.3\%$). And the amount of each apparel product types purchased by consumers were ranked in the order of leather/fur coat, woven coat, inner wear, jacket, T-shirts, pants, training wear, suit, knit wear etc. and basic style dominated in $74.2\%$. General brands ($69.2\%$) that had price competitiveness were preferred to famous designer brand, national brand and PB brand. Preferred level of price was ten thousand to fifty thousand won. For promotion skill, in order of just one product, product adding promotion product and package set were preferred. Regular price, less than $50\%$ off and more than $50\%$ off price showed no difference in preference. Product planning strategy for internet apparel marketer was followed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소비자의 가격민감도에 따른 상품특성별 멀티채널 선택에 관한 연구 -경험재로서의 의류상품과 탐색재로서의 디지털 가전제품을 중심으로- (A Study on Multichannel Selection according to Consumer's Price Sensitivity -Focusing on Fashion Products as Experience Goods and Digital Appliances as Search Goods-)

  • 안현아;김지은;이진화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0권6호
    • /
    • pp.967-978
    • /
    • 2016
  • This study examines consumers' multi-channel choices in the search phase and purchasing phase stage according to price sensitivity and product characteristics in order to propose a multichannel strategy. For the research, one-way ANOVA, t-test, clustering analysis, and crosstabs are used for the descriptive analysis of 317 surveys on men and women conducted in 2014.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consumers that both experience goods and search goods rely on surrounding advice as well as a search channel regardless of price sensitivity. Second, channel selection differs by price sensitivity when it comes to purchasing phase. Consumers with high price sensitivity tend to purchase from online channels; however, consumers with low price sensitivity tend to purchase from off line channels in cases of search goods. Meanwhile, cases of experience goods have no meaningful result. Third, consumers are divided into 3 groups by the tendency of channel selection. In case of experience goods, search channel choice is aligned with purchasing channel; however, search channel choice is not aligned with purchasing channel in search goods. This study provides clear information on fashion consumers' behavior on multi-channel choices compared to ones for search goods consumers on strategic strategies for fashion companies.

의류학관련 학과에서의 CAD의 경향 - 미국내 대학을 중심으로 - (The Trends of Computer Aided Design in the Clothing and Textiles Programs in U.S.A. Colleges & Universities)

  • 최현주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638-647
    • /
    • 1993
  • 현재 미국에서 컴퓨터 디자인(Computer aided design)은 의류산업과 의류학 교육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한국내 의류학관련 학과에서의 CAD의 도입은 아직 초기 단계에 불과하다. 이에 본 연구는 미국내 대학을 중심으로 의류학관련 학과에서의 전반적인 CAD 교육 경향을 조사 분석하여 실질적인 자료와 국내 의류학관련 학과의 CAD 교육의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1993년 5월, 총 19문항의 질문지가 124개 대학 의류학관련 학과에 우편으로 배포되었으며 71부가 회수되어 57%의 회수율을 나타내었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 대상(71개 학교)중 56%가 CAD를 커리큘럼에 포함시켰다. 특히 의상디자인 전공을 가진 학과의 79%가 CAD를 도입하여, 의상디자인 전공이 없는 학과(28%가 CAD를 도입)보다 그 비율이 훨씬 높았다. 의류학 교육에서 CAD의 도입은 1988년 이후 급격한 증가 추세를 보였으며, 대부분의 강의는 의류학분야 교수진에 의해, 의류학과 시설물내에서 이루어졌다. CAD를 독립된 과목으로 강의하는 경우 대부분 필수과목으로서 한 학기 코오스가 많았으며 3학년부터 시작되었다. CAD를 다른 의류학 과목에 포함시켜 일부분으로 강의할 경우 영역 별로는 복식 의장학 분야의 과목에, 시간 별로는 한 학기 중 "몇 주" 정도로 가르치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전체 CAD 강의에서 다루는 주제로는 패턴 메이킹이 가장 많이 차지하였으며 그 다음에는 패턴 그레이딩, 마커 메이킹, 직물/패턴 디자인, 패션 일러스트레이션, 의상디자인 순이며 스토어 레이아웃 상품전시 및 디스플레이 계획이 가장 적었다. 본 연구 결과는 현재 CAD를 강의하고 있거나 앞으로 CAD를 커리큘럼에 도입하려는 한국 의류학 분야 교육자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의류점포 구성요인에 대한 소비자 지각의 차이 (The Differences of Consumer Perception toward the Components of Apparel Store)

  • 김관일;김미영
    • 한국유통학회지:유통연구
    • /
    • 제6권1호
    • /
    • pp.1-21
    • /
    • 2001
  • 서비스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서비스가 포함하는 범위가 점점 확장됨에 따라, 점포 속성의 하위차원으로 다루어지던 서비스에 대한 재정의와 범위 설정이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점포속성을 상품 요인과 서비스 요인으로 구성된 의류점포 구성요인으로 제시하였으며, 이론적 고찰을 통해 상품요인은 가격, 품질, 유행성, 디자인, 다양성, 상표로, 서비스 요인은 물적 서비스, 판매원 서비스, 정책적 서비스로 구성하였다. 의류점포 구성요인의 차원과 이에 대한 소비자의 중요도 지각의 차이를 밝히고 의복관여와 인구통계적 특성이 중요도 지각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함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20대 여성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해 연구가 이루어 졌다. 연구 결과 서비스 요인은 크게 물적 서비스, 판매원 서비스, 교환/환불 태도 및 정책 서비스, 판촉정책 서비스, 편의정책 서비스로 밝혀졌다. 응답자들은 교환/환불 태도 및 정책 서비스를 가장 중요하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나 20대는 교환/ 환불에 대한 위험을 크게 지각함을 알 수 있었고, 판매원 서비스, 상품의 품질, 상품의 다양성 등이 그 다음으로 나타났다. 각 서비스 차원별 세부 내용의 중요도는 물적 서비스에서는 디스플레이, 판매원 서비스에서는 신속한 불만족 해결능력, 정책적 서비스에서는 교환/환불시 친절한 처리가 상대적으로 중요하게 나타났다. 의복관여와 인구통계적 특성도 중요도 지각에 부분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상품군 연관망 기반의 상품가치 평가모형 (Product Value Evaluation Models based on Itemset Association Chain)

  • 장용식
    • 지능정보연구
    • /
    • 제16권2호
    • /
    • pp.1-17
    • /
    • 2010
  • 연관분석에 의한 연관규칙은 상품 간 연관성을 나타내고 있으며, 교차판매와 상품진열 등의 마케팅 전략에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교차판매 효과를 반영하는 더 실질적인 상품가치를 평가한다면, 상품구색과 이윤극대화 등의 기업 의사결정에 더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단일상품 간의 연관망과 상품군 간의 연관망 기반에서 상품의 순수가치, 이득가치, 손실가치로 구성되는 유효가치를 바탕으로 상품의 가치를 평가하는 수학적 모형을 제시하고, 두 모형에 대해 각각 예시를 통한 평가과정을 기술하였다. 이 경우, 상품군은 단일상품을 포함하기 때문에 상품군 간 연관망 기반에서의 상품가치 평가모형은 단일상품 기반의 평가모형을 포함하고 있다. 모형의 실질적인 유용성을 보이기 위하여, 국내 한 온라인 쇼핑몰의 과거 1년 간 의류 관련 거래데이터 표본을 이용하여 상품분류군 간의 연관규칙을 발견하고 상품분류별 유효가치를 평가하는 실험을 하였다. 표본은 총 106개 상품분류와 48,044건의 거래 데이터로 이루어져 있다. 먼저, SPSS Clementine 12.0을 이용하여 상품분류군 간 18개의 연관규칙을 발견하였다. 한편, 순수가치와 연관규칙을 바탕으로 이득가치, 손실가치를 계산하고 유효가치를 평가하는 JAVA 어플리케이션을 구현하였다. 유효가치 평가의 실험결과, 순수가치보다 큰 유효가치를 갖는 상품분류가 있는 반면, 순수가치 보다 작은 유효가치를 갖는 상품분류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상품 연관망에서 일차적인 관계만을 고려한 유효가치를 평가하였다. 향후, 다단계 연관성의 교차판매 효과를 반영하는 고차적인 평가모형 연구는 보다 효과적인 유효가치 평가를 가능케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