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의료자원 분포

Search Result 24,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Utilization pattern of health care resources of resident in a designated rural area (일부 농촌 지역주민의 보건의료자원 이용양상)

  • Kim, Jin-Soon
    •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and community health
    • /
    • v.22 no.2
    • /
    • pp.253-263
    • /
    • 1997
  • 농촌지역은 도시지역에 비하여 의료자원의 부족으로 보건의료자원의 이용 접근성이 낮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일부 농촌지역주민의 질병이환과 이환시 보건의료자원의 이용양상을 분석하는 것은 매우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본 연구방법은 포천군 주민의 보건의료자원의 이용과 치료원의 이용 양상을 분석할 목적으로 1995년 8월 4일~20일까지 1,200가구를 대상으로 가구 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대상 가구수는 1,019가구였으며 훈련받은 조사원에 의하여 조사되었으며 경기도 포천군 지역은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및 간호대학의 연구사업지역으로 본 분석 자료는 연세대학교 연구자료의 일부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성별인구분포는 남자가 49.9%, 여자가 50.1%이고 연령별 분포는 60세 이상이 16.5%로써 전국의 노인인구 비율보다 높았다. 교육상태는 13년 이상 교육이수율이 남자가 여자보다 높았으나 전체 조사 대상 인구는 교육수준이 높았다. 가족 형태는 핵가족이 70.9%로써 농촌지역임에도 매우 높았다. 지난 15일간의 이환상태를 조사한 결과 급성이환율은 5.4%(54/1,000)이며 3개월 이상 만성이환율은 130/1,000으로 나타났다. 급성이환시 증상별 분포는 호흡기계질환이 36.4%, 소화기계가 20.9%, 여러 가지 복합 증상이 33.0%을 나타낸 반면 만성이환율은 관절염 및 류마티즘이 21.2%, 기타 골격계가 12.6%로서 높았다. 급성 이환시 의료이용양상은 포천군관내의 의료기관이용이 62.6%, 약국이용이 15.2%, 보건소 이용이 4.0%였으며 의료기관이 주요 이용자원이었다. 아무 조치를 취하지 않은 비율은 6.1%로서 높지 않았다. 즉 극성질환인 경우 전체이환자의 76.5%가 1회 방문으로 문제를 해결한 것으로 나타난 반면 나머지 23.5%가 2회 이상 의료자원을 이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3개월이상 만성이환자는 포천군관내 의료기관의 이용율이 56.3%, 관외의료관 이용이 19.3%인 반면 한방기관이용이 7.6%로서 급성이환시 한방이용비율인 4.0%보다 높았다. 1회 방문이 67.4%인 반면 2회 이상 보건의료자원을 이용한 비율이 33.6%로서 만성질환 이용시 보건의료자원의 이용 빈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분석결과 포천군 주민의 주요 보건의료자원의 이용은 의료기관으로 나타났고 미치료율이 타농촌지역에 비하여 낮았으며 만성질환시 급성이환시보다 한방의료이용이 높았음을 나타났다.

  • PDF

Evolution of Healthcare Service Disparities: A Case Study of Primary Care Services in Korea, 1995-2021 (보건의료 서비스의 공간적 불균등 분포 변이에 대한 연구: 1995년부터 2021년까지 초기진료기관을 대상으로)

  • Hyun Kim;Yena Song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26 no.3
    • /
    • pp.289-309
    • /
    • 2023
  • While South Korea's universal healthcare system has garnered attention in public health, the issue of inequality in healthcare service provision among different age groups has incessantly become a significant concern. The focus of this concern is primarily on essential healthcare services, encompassing fundamental aspects of healthcare such as internal medicine, family medicine, and pediatric and adolescent care. This inequality is not limited to differences among age groups (both junior and senior demographics) but also extends to potential disparities in healthcare services based on geographic location, particularly in urban and rural contexts.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disparities in primary healthcare service resources in South Korea's evolving economic landscape between 1995 and 2021. We utilize a set of inequality indices with a spatial perspective through geographic cluster analysis. The findings reveal that concerns about inequality have been amplified during various economic events, including the IMF crisis in 1999, the global financial crisis in 2008, and the COVID-19 pandemic in 2020. These years are identified as significant phases that have contributed to manifesting spatial disparities in primary healthcare provisions, with a particular emphasis on the senior-aged population rather than junior or all population groups. Our findings underscore the pressing need to address the unequal distribution of essential healthcare resources as part of preparedness for potential economic impacts, requiring a comprehensive consideration of the interconnected nature of demographic and spatial dimensions in healthcare services.

A Study of the Health and Medical Manpower Policy - The Case of dental Technicians - (의료인력(醫療人力)의 수급정책(需給定策) 개선방안(改善方案)에 관한 연구(硏究) - 치과기공사(齒科技工士) 분야(分野)를 중심(中心)으로 -)

  • Roh, Jae-Kyung
    • Journal of Technologic Dentistry
    • /
    • v.17 no.1
    • /
    • pp.82-108
    • /
    • 1995
  • 인력은 한 사회에 있어서 자본을 축적하며 자연자원을 개발하고 사회 경제 정치적 조직을 성장시키는 변화요인으로, 인간을 중심으로 하는 사회경제적 자원을 종합적으로 지칭하는 말이다. 이렇게 국가 사회가 필요로 하는 인력을 정부가 적절히 계획하여, 형성시키며, 배분 및 활용하는 문제를 논리적이고 일관성 있게 다루는 것을 인력정책이라 한다. 이러한 거시적이고 대 사회적인 정부의 인력정책은 국민의 건강과 생명을 보호하기 위한 보건의료 서비스를 제공해야 하는 의료인력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 그 중요성이 더욱 특별하다 할 것이다. 국민에 대한 보건의료 서비스는 훈련된 보건 인력에 의해서 제공되며, 국가의 인력정책의 결과로 나타나는 보건의료인력 공급의 적합성은 인력의 불균형이라는 개념들을 통해서 검토될 수 있다. 의료인력의 불균형이라 함은 의료인력의 수, 종류, 기능, 분포, 질 등과 의료서비스에 대한 국민의 전체적 요구에 대응하여 정부가 생산하여 채용, 지원, 유시할 수 있는 정부 능력의 한계를 의미한다. 다시 말해서 국민에 대한 의료서비스의 적정화는 잘 훈련된(well qualified) 의료인력이 충분히 공급되어야(adequately supplied) 하고, 또한 적절히 분포되어야(well distributed) 한다는 양적, 질적, 그리고 분포의 세 가지 측면에서 살펴볼 수 있다. 질적, 양적, 그리고 분포의 불균형이라는 범주를 통하여 살펴본 치과기공사 분야의 인력정책에 대한 연구 결과와 개선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수적 불균형의 면에서 치과기공사의 인력은 1970년대 중반이래 계속 과잉 공급되어 왔으며, 이에 대해 정부는 그동안 소극적으로 대처하므로 과잉공급을 가속시켜왔다. 따라서 이러한 과잉공급을 최소하기 위해서는 치과이용에 대한 수요의 확장, 무면허자의 취업규제단속 및 대학의 치과기공학과 정원 축소 등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이러한 외형상의 과잉공급에도 불구하고 현업에 종사하는 실제인력은 수용에 비해 부족한 과소 공급현상을 빚고 있다는 점이 문제이다. 이러한 역설적인 현상을 타파하기 위하여 무면허자의 적발을 위시한 제도적 장치가 마련되어야 한다. 둘째, 질적 불균형은 수적 과잉공급에 의한 취업률 저하로 인한 실력 있는 전문인력 확보의 어려움과 전문 교육인력 및 교육시설의 열악한 조건이 원인으로 지적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해결방안으로 적절한 인력수요의 조절과 교육인력 및 시설 여건의 향상이 요망된다. 예컨대 3년제로 되어있는 학제를 4년제로 상향조정하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다. 세째, 치과기공사 분야의 인력분포 불균형은 그다지 심각하지는 않은 것으로 나타난다. 그러나 변화하는 소득수준과 사회환경은 의료인력과 균등한 지역적 분포에 대해 지속적인 관심을 가질것을 요청한다고 할 것이다. 이를 위하여 현재의 공중보건의 제도처럼 치기공 분야의 인력을 무의촌지역에 배치하여 공익요원으로 봉사케 하는 제도를 생각해 볼 수 있다.

  • PDF

Moving Patterns of Patients and Its Implication for Regional Unbalance in Health Resources (환자이동현황을 고려한 병상공급 방향)

  • Yun, Heesuk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v.29 no.1
    • /
    • pp.41-78
    • /
    • 2007
  • Due to the concern of regional unbalance relating to healthcare resources, the government has set up a plan to expand public healthcare services and a policy to manage the supply of hospital beds. However, it is not clear what standards are needed to measure the degree of unbalance, and to what extent the gap needs to be narrowed. Unlike the previous methodology comparing the proportions of patients who move out from their administrative district to receive medical services, this study examines the inconvenience gap patients experience when they have to move out from their actual living area. The logit and multinomial logit models are employed. The regional unbalance decreases when the degree of movement is measured based on the living area. This result implies that essential standard for achieving regional balance relating to medical services need to be based not on the even distribution of medical resources, but the complications of regional people that require proper medical services.

제주도내 보건진료원의 업무분석에 관한 연구

  • Hyeon, In-Suk
    • Research in Community and Public Health Nursing
    • /
    • v.1 no.1
    • /
    • pp.183-184
    • /
    • 1989
  • 제주도내 보건진료원의 업무분석 및 보건진료소 이용에 관한 사항을 분석하기 위하여 제주도내에 근무하는 보건진료원 43명을 대상으로 하여 본 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1986년 10월 20일부터 11월 20일까지이며, 43명 중 37명의 설문지가 회수되었으며, 보건진료원의 분포, 업무배경, 의료자원, 이용주민수 및 업무수행 등을 분석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 PDF

A Study on Small Area Variations of Hospital Services Utilization in Some Acute diseases -Focused on Gastric Diseases and Acute Appendicitis (일부 급성질환의 지역간 입원의료이용 변이에 관한 연구 -위장질환과 충수염질환을 중심으로-)

  • Kwon, Young-Chae;Kim, Kwang-Hwan;Chang, Dong-Mi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0 no.7
    • /
    • pp.193-200
    • /
    • 2012
  • This study aims to provide an important base resource for the effective medical supply system construction by figuring out the characteristics and changes of admission medical use of gastritis in 160 middle treatment areas classified by 2008 patient examination resources, and by figuring out factors affecting on changes. As a result, in terms of admission rate according to sex and age standardization per small area, there were differences as EQ was 15.1 and CV was 0.4. Top 10 variations were mainly in rural areas. It showed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 between admission and the number of bed, doctor and special medical equipment per 10,000 population. It is recommended that the government set a priority in the management of regional bed supply and the distribution of efficient medical resources.

Analysis on the Accessibility of the Primary Medical Facilities in Jinju City (진주시 1차 의료시설의 접근성 분석)

  • Kim, Mi Song;Won, Tae Hong;Yoo, Hwan Hee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23 no.3
    • /
    • pp.49-55
    • /
    • 2015
  • Current medical delivery system in Korea has been distinguished into three types; primary medical facilities, secondary facilities, and tertiary facilities since 1989. This system prevents the waste of medical resources along with the maintenance of balance according to the medical treatment subjects. However, it is inevitable that the imbalance of the medical services among regions has been generated due to the concentration of the medical facilities on large cities. In this regard, this study attempted to evaluate the quality of the primary medical services, emphasizing accessibility and convenience targeting Jinju city, a small and medium-sized city, based on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the space. The study results show that cohesion index about the spatial distribution of the primary care facilities was 0~0.25. It conducted a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location of the hospitals and users, based on the study results. Finally, it is demonstrat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location of the hospitals and users tended to be low, while, the cohesion of the Oriental medicine clinics was high in other treatment subjects, and the accessibility to the Oriental medicine clinics was the highest because most Oriental medicine clinics were distributed to the places where users were many. However, on account that the locations of the medical facilities and users were varied in other treatment subjects except for the Oriental medicine clinics, problems were generated in terms of the accessibility. Therefore, it is judged that the preparation of the measures to improve the selection of lots in consideration of users, who use the primary medical services, is required.

Technical Efficiency of Medical Resource Supply and Demand (의료자원 공급, 수요의 성과 효율성에 대한 실증분석)

  • Chang, Insu;Ahn, Hyeong Seok;Kim, Brian H.S.
    •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Science Association
    • /
    • v.34 no.2
    • /
    • pp.3-19
    • /
    • 2018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observe the efficiency of clinical performance on the supply and demand of medical resources in Korea. For the empirical analysis, we constructed the dataset on age standardized mortality rate, the number of physician, specialist, surgery, medical institution, ratio of general hospitals of 16 provinces in Korea from 2006 to 2013. The panel probability frontier model is employed as an analysis method and considered heteroscedasticity and autocorrelation of the error in panel data. In addition, the demographic and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of the 16 provinces, unemployment rate, elderly population ratio, GRDP per capita, and ratio of hospitals in comparison to the general hospitals are used to find the effect on the technical efficiency of clinical performance on supply and demand of medical resourc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for the clinical performance, the supply side of human resources such as doctors and specialists and the demand side factors such as chronic illness clinic per unit population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respectively. Second, the technical efficiency of clinical performance on the supply and demand of medical resources of each input component was 59-70% in terms of clinical efficiency in each region. Third. estimates of technical efficiency of inputs that affect clinical performance showed a slight increase in all regions during the analysis period, but the increase trend decreased slightly. Fourth, the ratio of the elderly population and GRDP per capita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the technical efficiency of clinical performance on the supply and demand of medical resources. The difference of each efficiency by region is due to the regional differences of the input medical resources and the combination of them and the demographic and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It is understood that the differences in technological efficiency due to the complexity of supply and demand of medical resources, demographic structure and economic difference affecting clinical performance by region are different.

A Characteristics of the Vulnerable Area for Emergency Medical Service in Daejeon by Analysis of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지리정보시스템(GIS)으로 분석한 대전광역시 응급의료서비스 취약지 특성)

  • Hwang, Ji-Hye;Na, Baeg-Ju;Lee, Dong-Woo;Hong, Jee-Young;Lee, Moo-Sik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0.05b
    • /
    • pp.859-862
    • /
    • 2010
  • 본 연구는 대전광역시의 응급의료서비스 취약지를 도출하고 취약지역의 보건학적 특성 및 응급의료서비스 취약여부와의 관련성을 분석하여 응급의료 관련 정책의 의사결정에 유용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기 위한 연구이다. 응급의료서비스 취약지 도출은 Arc GIS의 공간분석 방법 중 가중분석(Cost Weighted distance) 방법으로 응급의료센터로부터의 접근성 분석을 하였으며, 응급의료서비스 취약지의 보건학적 특성 및 응급의료서비스 취약여부와의 관련성은 SPSS 17.0을 이용하여 비모수 t-검정 및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지역의 응급의료기관 분포는 동구와 유성구, 대덕구는 지정된 응급의료센터가 없으나 서구와 중구는 응급의료센터가 2개소 이상 위치하고 있어 응급의료기관 분포가 편중되어 있으며, GIS를 활용하여 응급의료센터와의 접근성 분석을 수행한 결과, 대전광역시 자치구별 전체 면적 대비 응급의료서비스 취약지의 비율이 높은 자치구는 동구가 41.2%로 가장 높았다. GIS를 활용하여 행정동별 응급의료서비스 취약지를 분석한 결과, 대덕구 신탄진동, 동구 대청동과 산내동, 유성구 구즉동과 노은2동, 서구 기성동, 중구 산성동으로 나타났으며, 응급의료서비스 취약지 중 기성동, 대청동이 노인 인구밀도가 높게 나타났다. 응급의료서비스 취약여부에 따른 보건학적 특성별 차이를 분석한 결과, 국민기초생활수급권자, 장애인등록자, 농업인구 비율의 평균은 취약지가 비취약지에 비해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 응급의료서비스 취약여부를 종속변수로 하고 지역별 보건학적 특성을 독립변수로 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한 결과, 농업인구 비율과 국민기초생활수급권자 비율이 높았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여 응급의료서비스 취약여부를 설명할 수 있는 변수인 것으로 나타났다(p<0.01, p<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대전광역시 5개 자치구의 행정동 중 응급의료서비스 접근 불평등지역이 도출되었고 이러한 지역은 보건학적 특성 중 농업인구 비율과 국민기초생활수급권자의 비율이 높았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여 응급의료서비스 취약여부와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효율적인 응급의료 자원 분배를 위해서는 GIS를 활용한 의사결정이 필요하며, 응급의료서비스 이용의 형평성을 증진시키기 위해서 응급의료서비스의 사각지대에 놓여있는 지역의 보건학적 특성을 고려한 정책이 시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Temporal and Spatial Distributions of Emergency Medical Services: Busan (부산시 응급의료서비스의 시공간적 분포특성)

  • Nam, Kwang-Woo;Kim, Jeong-Geo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10 no.1
    • /
    • pp.113-123
    • /
    • 2007
  • This study analyzed the appropriateness of the spatial distribution of fire stations and emergency medical facilities, the main providers of emergency medical care, in Busan. The area over which the 119 emergency medical services were situated in relation to the dispatch and transport of urgent rescue services was examined. Addresses of patients requiring 119 emergency services were obtained and stored as individual units so that they could be analyzed in a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GIS). The time taken by emergency services to reach patients and transport them to a hospital or other facility was measured in seconds. By inputting additional information such as the location of the 119 dispatch centers, jurisdictions, and emergency medical facilities, the GIS allowed for analyses not only of the temporal but also the spatial aspects of emergency medical services. The results showed that of 16 Gu/Gun and 226 Eup/Myen/Dong in the Busan area, only 41% of Busan's emergency medical services could respond to and transport patients within five minutes. In all districts, most emergency medical services were provided within five to ten minutes. However, the pattern of hospital use to transfer patients to hospitals was inefficient. Based on the temporal and spatial distributions of fire stations and emergency medical agencies, and on their dispatch and transport times, this study sets out and compares ideal dispatch and transportation patterns for the efficient use of Busan's emergency medical services and resourc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