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응답시간 편차

검색결과 43건 처리시간 0.025초

멀티미디어 활용 e-러닝에서 응답시간 편차 개선 (An Improvement of the Deviation of Response Time on Multimedia Application e-Learning)

  • 나윤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6권6호
    • /
    • pp.502-505
    • /
    • 2005
  • e-러닝에서 멀티미디어콘텐트의 사용이 증가함에 따라 e-러닝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콘텐트의 크기 편차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e-러닝 사용자에 대한 응답시간의 편차를 크게 하여 학습의 효율성을 떨어뜨리는 요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멀티미디어콘텐트를 활용한 e-러닝 시스템에서 사용자의 응답시간 편차 개선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e-러닝 사용자의 응답시간의 편차를 줄이는 것이며 이를 위해 다중 계층 구조의 혼합형 e-러닝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또한 실험을 통해 편차 개선을 확인하였다.

  • PDF

지진하중의 특성과 이력모델에 따른 저층 표준학교건물의 비탄성 지진거동 (Inelastic Seismic Behavior of Low-story Standard School Buildings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Earthquake Loads and Hysteresis Models)

  • 김진상;윤태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9호
    • /
    • pp.4294-4301
    • /
    • 2012
  • 본 연구는 내진설계 되지 않은 학교시설물 중 다수를 차지하는 1980년도 표준설계 도면(건설부 공고 제130호, 1980년 10월 28일)에 의하여 건설된 국내에 현존하는 4층 모멘트 연성골조의 학교건물을 대상으로 이력모델의 특성과 지진파의 특성에 따라 표준학교건물의 비탄성지진거동을 분석하고자 한다. El-centro지진은 주파수 성분과 강진지속시간의 특성에 의하여 표준학교건물의 단변방향 층전단력, 층간변위비, 층변위 응답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치며 특히 수정다케다모델 선택시 응답의 차이가 매우 크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층전단력의 경우 최대 46%, 층간변위비의 경우 최대 70%, 층변위의 경우 최대 59%의 편차를 보인다. Santa Monica지진은 장변방향의 응답에서 이력모델별 편차가 더 크게 나타났으며, 층전단력은 최대 59%, 층간변위비는 최대 65%, 층변위는 최대 50%의 편차를 보였다. 이는 장변방향의 고유주기가 단변방향에 비하여 크기 때문에 1초이상의 주기성분이 많은 Santa Monica지진의 특성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Taft지진은 이력모델에 따른 층간변위비와 층변위 응답의 편차가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층간변위비는 최대 15%, 층변위는 최대 5%의 편차를 보여 변위응답에 있어서 이력모델에 가장 의존도가 적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 된다.

유닉스 에코응답시간 분석 (An Analysis of the UNIX Echo Response Time)

  • Jong-Seul Lim
    • 한국컴퓨터산업학회논문지
    • /
    • 제2권12호
    • /
    • pp.1557-1562
    • /
    • 2001
  • 에코응답시간은 유닉스 시스템 성능을 위한 관심사이며, 평균값으로 보면 중요하지 않지만 때에 따라 길어지는 등 평균에 대한 편차가 일정치 않은 문제점이 있다. 본 논문은 유닉스 시스템의 에코응답시간을 분석한다. 유닉스 커널의 Fair Share Scheduler (FSS)를 설명하며, FSS의 영향을 받아 에코응답시간이 길어지는 이유를 분석한다. 이러한 분석을 통하여 에코응답시간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제시한다. 이 해결방법은 유닉스의 장점인 FSS의 본질을 잃지 않으면서 에코응답시간에 대한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는 개선된 FSS이다. 이러한 결과 도출을 위하여 수학적인 분석을 사용하였으며, 제시된 방법은 유닉스시스템의 성능 및 생산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 PDF

자동차용 연소식 프리히터의 온도제어를 위한 퍼지 제어기 설계 (Fuzzy Controller design of fuel fired heater for vehicle to control temperature)

  • 정원근;이한욱;이상준;김주호;김광열;조원래;이건기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2권4호
    • /
    • pp.29-36
    • /
    • 2009
  • 본 논문은 버스에 사용되는 연소식 프리히터(Fuel Fired Heater) 퍼지 제어기(Fuzzy controller)를 설계하였다. 프리 히터는 얼마나 빠른 시간 안에 설정한 온도에 다다르는지와 공간내의 온도 편차가 얼마나 작게 발생하는지의 두 가지가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기존의 연소식 프리히터의 온도 제어 방식으로 사용된 PI 제어기의 온도편차를 줄임과 동시에 응답특성을 개선한 퍼지 제어기를 설계하여 그 성능을 평가하였다. 설계된 퍼지 제어기에서 온도를 설정하면 기존의 PI 제어방식에서는 $25^{\circ}C$의 도달시간이 12분 소요되었으나 퍼지 제어방식에서는 9분 20초 소요되어 기존의 제어기보다 퍼지제어기가 2분 40초의 빠른 응답 성능으로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난방의 온도 편차에서도 기존의 PI 제어 방식에서는 $2.4^{\circ}C$의 편차를 보인 반면 설계된 퍼지 제어기에서는 $1.6^{\circ}C$로 온도 편차 또한 개선되었음을 확인하였다.

  • PDF

안경식 스테레오스코픽 3DTV의 주관적 화질평가 방법에 대한 고찰 (Subjective Evaluation on Image Quality of Stereoscopic 3DTV)

  • 이호동;박민철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2011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333-334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안경식 스테레오스코픽 3DTV에 대한 효율적인 주관적 화질평가 방법에 대한 논의를 한다. 3DTV의 주관적 화질평가는 시각피로나 신체적 불편감을 유발하는 요인들을 규명하고 평가하여 사용자가3D 영상물을 관람할 때 이들을 최소화하면서 컨텐츠 제공자가 의도한 입체 깊이를 시청자가 지각 할 수 있도록 도와 줄 수 있도록 가이드라인을 제공하기 위해 이루어진다. 주관적 화질평가를 위해 적절한 깊이감을 갖는 카메라기반의 실영상과 컴퓨터 그래픽 기반의 3D컨텐츠를 사용하였다. 설문은 디스플레이 자체와 3D컨텐츠에 대한 화질평가 구분을 하고, 전문가와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주관적 평가에 앞서 평가결과에 대한 객관성을 유지하기 위해 Random-dot Stereogram을 이용하여 개인별 입체시 평가를 하였다. 일반인들의 경우 전문가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응답편차가 많이 발생하였으나 전문가 집단과 일반인 집단의 설문응답 경향은 대체적으로 일치하였다. 전문가 그룹의 주관적 평가 결과를 적절히 반영하고 일반인들의 응답편차를 줄임으로써 3DTV에 대한 주관적 평가에 대한 시간과 비용을 효율적으로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트래픽 관리를 위한 부본서버 성능평가 및 분배 알고리즘 (Evaluating and Distributing Algorithms based on Capacities of Duplicated Servers for Traffic Management)

  • 한정혜;이경희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0C권1호
    • /
    • pp.33-38
    • /
    • 2003
  • 최근 들어 다수의 클라이언트에게 컨텐츠를 안정적으로 서비스하기 위하여 여러 부본서버를 운영한다. 이 부본서버 중 시공간적으로 다양한 환경으로부터 요청된 클라이언트의 요구를 가장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서버를 선택하기 위한 서버 선택 알고리즘이 여러 분야에서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본 논문은 비교적 큰 용량의 컨텐츠를 서비스하는 부본서버 간의 하드웨어 성능 차이가 큰 경우에 QoS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또, 부본서버의 하드웨어 성능평가 알고리즘과 HTTP 응답시간의 평균과 편차를 동시에 고려한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일반적인 경우에 가장 성능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진 HTTP 반응시간 평균과 편차에 근거한 부본선택 알고리즘이 비교적 큰 사이즈의 컨텐츠 서비스할 경우와 부본 서버들간의 하드웨어 성능 차가 큰 경우에 더 나은 성능을 보인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지진 하중을 받고 있는 회전축-베어링 시스템의 동적 거동에 관한 연구 (Dynamic response of rotor-bearing systems under seismic excitations)

  • 김기봉;김양한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 /
    • 제12권5호
    • /
    • pp.992-1002
    • /
    • 1988
  • 본 연구에서는 Monte Carlo 새뮬레이션 기법을 이용하여 지반가속도의 스펙트 럼 밀도함수(power spectral densities)로부터 여섯 성분의 지반가속도 시간이력곡선 을 얻고, 이들을 입력 데이터로 하여 운동방정식에 Newmark의 직접적분법을 이용하여 회전축-베어링 시스템의 응답상태벡터(response state vector)를 얻기로 한다. 충분 히 많은 수의 지반가속도 시간이력곡선을 시뮬레이션하고, 각 경우에 대응하는 응답상 태벡터들을 얻은 다음 일반적인 통계학 방법을 적용하여 평균함수, 표준편차 및 r.m.s (root mean square)등을 얻는다.

비선형 약산법들에 의한 전단형 건물의 지진응답평가 (The Seismic Response Evaluation of Shear Buildings by Various Approximate Nonlinear Methods)

  • 김재웅;강병두;전대한
    •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 /
    • 제9권5호
    • /
    • pp.75-86
    • /
    • 2005
  • 성능에 기초한 설계법에서는 비선형 응답산정이 필수적이다. 이를 위한 해석법으로는 비선형 시간이력해석, 비선형 정적해석 혹은 비선형의 영향을 고려한 등가정적해석 등이 있다. 비선형 응답을 산정하기 위한 가장 정확한 해석방법은 비선형 시간이력해석법이지만, 많은 시간과 노력을 필요로 한다. 비선형 직접스펙트럼법은 pushover곡선으로부터 구조물의 선형 진동주기와 항복강도를 구한 다음, 반복계산 없이 비선형 응답을 직접 산정하는 약산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비선형 약산법들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다양한 지진과 전단형 건물의 여러 가지 조건에 대해 검토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선형 능력스펙트럼법에 의한 약산응답들은 수렴하는 해를 구하지 못하거나 발산하는 경우가 발생하며 수렴하더라도 큰 오차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으며, 지진별로 오차의 편차가 크다. 2) 비선형 능력스펙트럼법은 능력스펙트럼법보다 계산량이 크게 줄어들고, 해는 구해지나 요구곡선의 특성으로 정확한 해를 구하기 어려울 수 있으며, 전반적으로 큰 오차가 발생한다. 3) 비선형 직접스펙트럼법은 다른 약산법들에 비해 추가적이고 반복적인 계산과정 없이 pushover곡선과 비선형 응답스펙트럼으로부터 비교적 정확한 값을 직접 구할 수 있으므로 실용적인 방법으로 사료된다.

지수이동평균을 중심으로 하는 ESD밴드 (ESD(Exponential Standard Deviation) Band centered at Exponential Moving Average)

  • 이정연;황선명
    • 지능정보연구
    • /
    • 제22권2호
    • /
    • pp.115-125
    • /
    • 2016
  • 현재 주가가 최근 움직임 범위 내에서 어떤 위치에 있는지를 나타내는 블린저밴드 (Bollinger Band)는 단순이동평균 (Simple Moving Average)을 중심으로 단순표준편차 (Simple Standard Deviation)를 가감하여 만들어진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단순이동평균과 지수이동평균 (Exponential Moving Average)의 특성을 연산자 (Operator)의 관점에서 살펴보고, 각 연산자들의 임펄스응답 (Impulse Response) 1차 모멘텀의 중심값을 동일하게 하는 조건으로부터 단순이동평균 구간크기 N과 지수이동평균의 가중치 ${\rho}$ 사이의 관계를 구한다. 다음으로 이산시간 프리어변환 (Discrete Time Fourier Transform)을 통해 1차 모멘텀의 중심값이 동일하다는 조건하에서의 각 연산자의 주파수 응답 (Frequency Response)의 특성을 비교한다. 단순이동평균연산자는 지수이동평균연산자에 비해 고주파성분을 더 많이 포함시키므로 주가의 움직임에 과도하게 반응하게 된다는 사실에 기초하여, 지수이동평균을 중심으로 하는 새로운 ESD밴드 (Exponential Standard Deviation Band, 지수표준편차밴드)를 제안하고 자기회귀 (Auto Recursive) 형태의 계산공식을 유도하고 동일조건하에서 블린저밴드와 ESD밴드를 실제의 예를 통해 비교한다. 제안한 ESD밴드는 주가 움직임 범위를 보다 부드럽게 표현하는 특징이 있으며, 날짜 변경 시 갭이 발생할 경우에도 이러한 장점을 살리기 위해 갭보정된 차트에 대한 ESD밴드와 블린저밴드의 비교도 함께 살펴본다. 기존의 블린저밴드를 이용하여 개발된 거래법들은 ESD밴드에 그대로 적용가능하다.

개선된 응답면기법에 의한 신뢰성 평가 (Reliability Assessment Based on an Improved Response Surface Method)

  • 조태준;김이현;조효남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20권1호
    • /
    • pp.21-31
    • /
    • 2008
  • 응답면기법(RSM, Response surface method)은 복잡한 구조물의 매우 작은 발생확률이나 신뢰성해 석에서 폭넓게 사용된다. MCS(Monte-Carlo Simulation)방법은 어떤 시스템의 평가에서도 사용될 수 있으나 해석시간이 파괴확률의 역수에 비례하게 되어 발생확률이 매우 희박한 시스템의 평가에 불리하다. 확률유한요소해석법은 이러한 MCS의 한계점을 해결해 줄 수 있는 대안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평균과 표준편차 등이 모델링 (내부 프로그래밍)된 특별한 프로그램에서만 적용 가능하며 임의의 범용소프트웨어의 응답을 모델링하거나 임의의 프로그램의 특성을 이용할 수가 없다. RSM방법은 복잡한 구조시스템에서 응답에 대한 회귀모델을 구성하여 효율적인 해석단계를 통해 시간과 노력을 획기적으로 절감시킬 수 있다. 그러나 RSM의 정확도는 한계상태방정식의 선형성과 축점간의 거리에 영향을 받게 된다. 이런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한계상태방정식의 선형성과 무관하게 정확한 수렴해를 구하기 위한 개선된 적응적 응답면기법을 개발하고 선형과 2차형식의 응답면방정식에 대한 2가지 예를 들어 검증하였다. 검증결과 가장 효율적인 RSM기법을 결정하였다. 개발된 선형적응적가중응답 면기법 (linear adaptive weighted response surface method, LAW-RSM)은 비적응적이거나 비가중형식의 2차 RSM기법에 비해서 정해의 신뢰성지수에 가장 근접한 정확성과 수렴성을 나타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