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응답보상

검색결과 281건 처리시간 0.038초

아날로그 적분기를 이용한 맥동전압 보상형 순시추종 PWM 제어기를 적용한 인버터 (Ripple Voltage Compensation Instantaneous Follow Controller of Inverter by using Analog Integrator)

  • 라병훈;이현우;김광태
    • 전력전자학회논문지
    • /
    • 제9권4호
    • /
    • pp.381-389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입력단 커패시터를 제거한 인버터의 제어에 아날로그 적분기를 이용한 새로운 비선형 제어 기법인 순시보상형 PWM 제어회로를 적용하고 있다. 비선형 순시보상형 PWM 제어기는 순시 입력전압의 변동에 대한 보상과 제어기준값에 대한 추종이 스위칭 한 주기 내에서 이루어지는 다이나믹하고 강인한 응답성을 가지고 있으며, 아날로그 소자를 사용하고 있어 제어회로가 간단하면, 인버터 입력 맥동전압을 보상함으로 대형의 평활용 커패시터가 필요치 않아서 소형, 저가형으로 부피가 적은 인버터를 제작 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장점을 가지고 있는 순시보상형 PWM 제어 인버터를 기존의 VVVF 제어형 전동기 인버터 시스템을 대치하여 저가이고 소형의 인버터 시스템으로 제안하고 실험을 통하여 우수한 동작특성을 확인하고 있다.

교류전기철도 불평형 전력 개선을 위한 전력보상장치 제어 (Power Compensator Control for Improving Unbalanced Power of AC Electric Railway)

  • 우제훈;이정현;조종민;차한주
    • 전력전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전력전자학회 2019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34-36
    • /
    • 2019
  • 본 논문은 교류전기철도의 불평형 부하로 인해 야기되는 3상 계통 전력의 불평형 특성을 저감하기 위한 제어 알고리즘을 제안하였으며, 전력보상장치 설계 및 이를 적용한 실험을 통해 성능을 검증하였다. 전기철도 시스템과 동일하게 3상 전압을 2개의 단상 전압으로 변환하는 스코트 변압기를 적용하였으며, M상과 T상 출력 단에 부하 및 3레벨 백투백 컨버터가 연계되어 구성된다. 백투백 컨버터는 M, T상의 불평형 부하 간 발생하는 유효전력의 차이를 실시간으로 감시하고 양방향 특성을 이용해 전력을 보상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백투백 컨버터의 유효전력은 동기좌표계 PI 제어를 통해 수행되며, DC 링크 전체 전압 및 밸런싱 제어는 시스템의 응답성 향상을 위해 M, T상 컨버터가 공동으로 분담하여 제어한다. 제안된 전력보상장치의 성능 확인을 위해 M상 5kW, T상 1kW 불평형 부하가 연계된 조건에서 시뮬레이션 및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실험 결과 전력보상장치의 동작 후 3상 전류의 불평형률이 65.04%에서 6.38%로 58.66% 저감되는 것을 통해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전력보상장치의 우수한 성능을 검증하였다.

  • PDF

다모듈 다위상 양방향 배터리 충방전 시스템의 제어기 설계 및 동특성 해석 (Control Design and Dynamics Analysis of Multi-Module Multi-Phase Bidirectional Battery Charger/Discharger)

  • 강영봉;김동명;최병조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9년도 제40회 하계학술대회
    • /
    • pp.899_900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다모듈 다위상 양방향 배터리 충방전 회로의 소신호 특성을 해석하여, 적절한 제어기 및 보상기 회로설계를 제안한다. 제안된 회로를 바탕으로 폐루프 응답 특성을 시뮬레이션과 측정을 하여 분석하고 검증한다. 최종적으로 설계된 제어기를 적용하여 양방향 배터리 충방전 회로를 동작 시켜봄으로써 안정성과 부하변동에 따른 응답 특성을 관측해 본다.

  • PDF

플라이휠 유도전동기 시스템을 이용한 에너지 저장 및 전력보상 (Energy Storage And Power Compensation Based on Flywheel WRIM System)

  • 김윤호;이경훈;박경수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2권4호
    • /
    • pp.32-39
    • /
    • 1999
  • A flywheel system which can compensate electric power is presented. The designed system has a capability of providing real and imaginary power instantaneously as well as storing energy. In this paper, a control algorithm is designed. The designed algorithm is to control the secondary side current of the wound rotor induction motor using voltage-based PWM inverter. The flywheel system has advantages in converter size and power quality improvement comparing to the conventional system.

  • PDF

차량 내 공간에서의 저주파 이퀄라이징 (The equalization of low frequency response in automotive space)

  • 김미정;김래훈;성굉모
    • 한국음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음향학회 2002년도 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21권 1호
    • /
    • pp.229-232
    • /
    • 2002
  • 콘서트 홀과 같은 대형 공간의 경우와는 달리, 자동차 내의 작은 공간에서는 저주파의 음향 공진으로 인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크로스오버 주파수까지 재생된 사운드가 컬러링 된다. 이러한 크로스오버 주파수는 Schroeder의 'large room limit'로 결정되며, 이것은 작은 공간과 대형 공간을 구분하게 되는 기준이 된다. 이러한 컬러링을 보상하기 위해, 먼저 대역 제한된 사인 스윕 신호를 이용하여 특정 차량의 저주파 응답 범위를 크로스오버 주파수까지 측정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이렇게 측정한 저주파 응답을 이퀄라이징하는 방법에 대하여 논의한다.

  • PDF

포화를 고려한 직류전동기의 유한시간 정정 응답제어 (Speed Control of DC Motor Using Deadbeat Response Method with Consideration of Saturation)

  • 유완식;김영석
    •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지:조명전기설비
    • /
    • 제5권4호
    • /
    • pp.52-59
    • /
    • 1991
  • 본 논문은 유한시간 정정응답 제어이론을 이용한 직류전동기의 속도제어에 대하여 논하였다. 유한시간 정정응답 제어계는 이산시간제어를 적용하므로 제어량 포화현상과 검출지연 문제가 발생하여 계통의 불안정을 초래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포화상태에서도 고속응답이 가능하도록 예측제어를 적용한 보상기를 제안한다. 실험 결과 지령치가 포화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1샘플링시간으로 정정할 수 있었다. 지령치가 포화한 상태에서는 포화로부터 벗어난 후 1샘플링시간으로 정정할 수 있었다. 또한 예측제어를 적용하므로써 과도시의 오우버슈우트가 억제된 고속정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모델 동정에 의한 Smith predictor 구조를 갖는 최적의 PID 제어기 설계 (Optimal design of PID controllers including Smith predictor structure by the model identification)

  • 조준호;황형수
    • 전자공학회논문지SC
    • /
    • 제44권1호
    • /
    • pp.25-32
    • /
    • 2007
  • 본 논문은 시간 응답을 과도응답과 정상상태 응답으로 분류하여 1차의 지연시간을 포함한 공정을 동정하는 새로운 모델링 방법을 제시했다. 먼저 공정의 입.출력 데이터를 분석하여 공정의 상태를 정상상태 응답과 과도상태 응답으로 분류한다. 그 다음 최소 자승법을 사용하여 정상상태 응답은 하나의 1차의 지연시간을 갖는 공정으로 추정하고, 과도상태 응답은 여러 개의 모델로 나누어 모델링 한다. 최적의 PID 동조법으로는 지연시간을 보상하는 Smith- Predictor 구조에 성능지수 ITAE값이 최소가 되도록 설계하였다.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다양한 공정에 대하여 본 논문에서 제안한 방법을 적용하여, 모델축소 방법의 정확성 및 제어기 성능의 개선을 보였다.

비선형 시변 시스템을 위한 퍼지 보상기를 가진 적응 제어기 (An adaptive controller with fuzzy compensator for nonlinear time-varying systems)

  • 박거동;전완수;김종화;이만형
    • 제어로봇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3권2호
    • /
    • pp.149-155
    • /
    • 1997
  • 본 논문에서는 비선형 시변 시스템을 제어할 경우 제어시스템의 안정성을 보장하고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새로운 적응제어 구조를 전개하였다. 주어진 플랜트가 선형 시불변이라는 가정하에 표준 기준 모델 적응제어기가 적용될 경우 발생되는 출력오차는 플랜트의 비선형 시변특성으로 인하여 점근적으로 0에 수렴되지 않는다. 이때 미지의 출력오차를 점근적으로 0에 수렴시키는 방법으로 퍼지보상기를 사용하였으며 결과적으로 플랜트의 비선형 시변 특성을 보상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퍼지 보상기로는 출력오차등의 조건에 따라 이득이 변하는 퍼지 PID 보상기를 도입하여 안정하게 설계되도록 노력하였다. 또한 출력오차를 점근적으로 0에 수렴시키는 것은 표준 기준 모델 적응제어기 내부의 모든 파라미터와 신호가 유한하게 됨을 의미하기 때문에, 제어시스템 전체의 안정도를 보장할 뿐만 아니라 결과적으로 과도응답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었다. 몇가지 예제를 대상으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분석함으로써 비선형 시변 시스템을 제어할 경우 본 논문에서 전개된 새로운 적응제어 구조의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 PDF

외란관측기와 파라미터 보상기를 이용한 PMSM의 정밀위치 제어 (Precision Position Control of PMSM using Load Torque Observer and Parameter Compensator)

  • 고종선;이태훈
    • 전력전자학회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42-49
    • /
    • 2004
  • 본 논문은 데드비트 외란 관측기를 사용한 외부 부하 외란 보상과 파라미터 추정기에 의한 보상 이득의 조정을 나타내고 있다. 결론적으로 PMSM의 응답은 지표 시스템을 따른다. 부하 토크 보상 방법은 데드비트 관측기로 구성된다. 노이즈 영향을 감소시키기 위해 MA 처리에 의해 구현된 후단 필터를 적용하였고, RLSM 파라미터 추정기를 가진 파라미터 보상기가 주어진 실제 시스템의 이득 계산시 사용된 파라미터로 가상 동작하여 이득이 오차가 없는 것처럼 동작하게 한다. 제안된 추정기는 문제를 풀기 위해 고성능 외란 관측기와 조합하여 사용한다. 제안된 제어 시스템은 부하토크와 파라미터 변화에 대해 강인하고 정밀한 시스템이 된다. 이상의 제안된 시스템의 안정성과 유용함이 컴퓨터 시뮬레이션과 실험을 통하여 확인되었다.

온라인 조사의 응답오차에 대한 연구 : 설문 응답 시간과 응답 성실성의 관계 (Amounts of Responding Times and Unreliable Responses at Online Surveys)

  • 이윤석;이지영;이경택
    • 한국조사연구학회지:조사연구
    • /
    • 제9권2호
    • /
    • pp.51-83
    • /
    • 2008
  • 온라인 조사는 면접 조사와 전화 조사를 대체할 조사 방법으로 각광받고 있지만 면접원 없이 진행되는 자기기입 방식을 택하고 있기 때문에 응답자가 불성실하게 응답할 수 있다는 불신을 받고 있다. 이러한 단점에 대해 조사 전문가들은 설문 응답시간을 통해 불성실 응답자들을 차단할 수 있다고 생각해 왔다. 너무 짧거나 긴 설문시간은 성실하지 못하게 조사에 응한 증거로 볼 수 있다는 논리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가설을 실증적으로 확인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1,052명으로 이루어진 온라인 조사 패널 회원을 대상으로 온라인 조사를 실시하여 응답시간을 분석하였다. 평균 비교, 응답 범주 횟수, 상관 분석을 실시한 결과, 설문 시간이 짧은 응답자들은 대략 만족적(satisficing)응답 경향을 보이거나, 나머지 응답자들과 매우 다른 방식으로 응답을 하는 등 불성실 응답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설문 시간이 긴 응답자들에게서는 이러한 문제가 나타나지 않았다.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설문 시간이 매우 짧은 응답자들은 금전적 관심이 높았으며, 조사 참여 시도 횟수는 많았고, 보상 적립금의 기부율은 낮았다. 또한 이들은 패널가입기간이 짧다는 특징이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온라인 패널에 불성실하게 응답하는 회원이 엄존함을 보여주고 있는데, 이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온라인 조사를 실시할 때, 실제 표본 수보다 많은 표본을 조사하여 응답 시간이 지나치게 짧은 집단을 제외해야 할 것이다. 또한, 불성실 응답과 관련된 패널 관리는 가입 초기에 집중되어야 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