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응답보상

Search Result 281, Processing Time 0.04 seconds

Ultrasonic Wave Attenuation Measurement for Damage Characterization of Concrete (콘크리트의 손상 평가를 위한 초음파 감쇠량 측정법)

  • Kwak, Hyo-Gyoung;Yim, Hong-Jae;Kim, Jae-H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Conference
    • /
    • 2009.05a
    • /
    • pp.85-86
    • /
    • 2009
  • A nondestructive test method based on the self-compensating frequency response function is proposed in this paper to quantitatively measure the attenuation in concrete materials. Since the proposed technique measures inherent attenuation of material itself, more stable experimental results can be expected. In advance, comparison of the experimental results to those obtained by other methods shows the repeatability and accuracy of the proposed technique.

  • PDF

쿼터니온을 이용한 유도탄 자세제어

  • 송찬호;남헌성;김승환;조항주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Military Science and Technology
    • /
    • v.1 no.1
    • /
    • pp.166-188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쿼터니온 궤환 개념이 기존의 오일러각 궤환 개념에 비해 추력벡터제어(Thrust Vector Control) 방식을 사용하는 전술 유도탄 자세제어에 보다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보인다. 오일러각 궤환 방식을 택한 기존의 자세제어기에서 오일러각 궤환 부분을 쿼터니온 궤환으로 적절히 바꾸어 주게 되면 자세명령 크기 변화에 따른 시간응답 특성의 변화를 줄일 수 있으며, 쿼터니온 궤환 방식을 택할 경우, 우주비행체 자세제어 분야에서 활발히 연구되고 있는 고유축(Eigen Axis) 회전에 의한 자세변환을 수행할 수 있는 자세제어기 설계가 가능하다. 고유축 회전은 최단경로에 의한 자세변환 개념이므로, 이러한 능력을 갖춘 자세제어기는 신속한 자세변환이 필요한 전술 유도탄의 초기비행에 매우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더욱이, 제어법칙에 공력모멘트를 보상하는 항을 추가하게 되면 변화가 심한 공력 모멘트가 유도탄의 회전운동에 미치는 영향을 줄일 수 있어 고유축 회전성능을 보다 개선시킬 수 있다. 우선, 오일러각 궤환보다 쿼터니온 궤환이 유리한 점을 논하고, 쿼터니온 궤환에 근거한 자세제어기의 설계 개념과 제안된 제어기에 의해 구성되는 폐루우프에 대한 안정성 문제를 다룬 후, 시뮬레이션을 통해 그 타당성을 검증한다.

  • PDF

Design of Fast and Overshoot Free Digital Current Controller (오버슈트 없는 고속 디지털 전류제어기 설계)

  • 이진우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Power Electronics
    • /
    • v.5 no.2
    • /
    • pp.163-169
    • /
    • 2000
  • From the viewpoint of the cost effective design of power conversion systems, it is very important to fully u utilize the CillTent capacity of power devices over all circumstances. Therefore this paper deals with the l practical design of digital CillTent controller to meet the requirements of fast and overshoot free control r response over the varying control voltage bOlmds, the accompanied computational delay, and the system U W1certainties. The proposed controller consists of high gain PI control schemes using both the conditional i integrator and the modified delay compensator. The simulation and experimental results show the validity of t the proposed controller.

  • PDF

압전액츄에이터 연동파형 고전압증폭 구동장치 설계

  • 조정대;함영복;윤소남;감광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4.05a
    • /
    • pp.110-110
    • /
    • 2004
  • 하나 또는 다수개의 압전액츄에이터(piezoelectric actuator)로 구성된 시스템에서 구동 효율을 높이는데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고정밀과 빠른 응답 특성을 구현(implementation)하기 위하여, 입력전압에 대하여 출력전압이 선형적으로 추종하고 주파수 가변(variable)이 독립적이며 순차적으로 제어가 가능한 위상가변(phase shifting)형 압전액츄에이터 구동장치의 설계가 필요하다. 구동신호론 증폭하고 가변하는 고전압 증폭 구동장치는 압전액츄에이터 구동에 직접 영향을 주게 되므로, 이의 특성인 고주파에서의 위상지연 보상, 높은 회전비(slew rate)로 고전압에서 정현파의 찌그럼짐을 방지, 전압이득의 가변 및 안정화, 입력 및 출력 임피던스의 개선과 주파스 대역폭(band width)의 확장 등은 매우 중요하다.(중략)

  • PDF

Frequency Response Compensation Technique for Capacitive Microresonator (용량형 마이크로 공진기의 주파수 응답 보상 기법)

  • Seo, Jin-Deok;Lim, Kyo-Muk;Ko, Hyoung-Ho
    • Journal of Sensor Science and Technology
    • /
    • v.21 no.3
    • /
    • pp.235-239
    • /
    • 2012
  • This paper presents frequency response compensation technique, and a self-oscillation circuit for capacitive microresonator with the compensation technique using programmable capacitor array, to compensate for the frequency response distorted by parasitic capacitances, and to obtain stable oscillation condition. The parasitic capacitances between the actuation input port and capacitive output port distort the frequency response of the microresonator. The distorted non-ideal frequency response can be compensated using two programmable capacitor arrays, which are connected between anti-phased actuation input port and capacitive output port. The simulation model includes the whole microresonator system, which consists of mechanical structure, transimpedance amplifier with automatic gain control, actuation driver and compensation circuit. The compensation operation and oscillation output of the system is verified with the simulation results.

Symbol timing synchronization for OFDM by using QPSK modulation (QPSK변조를 이용한 OFDM 시스템의 심볼 타이밍 동기)

  • Kang, Eun-Su;Lim, Chae-Hyun;Han, Dong-Seo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06.11a
    • /
    • pp.171-174
    • /
    • 2006
  •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odulation)은 주파수 선택적인 페이딩 환경에서 높은 전송율과 빠른 속도를 가지는 효율적인 전송 기법이다. 그러나 OFDM 심볼이 시작되는 지점을 정확히 찾지 못하면 시간 영역에서 위상회전으로 인해 수신 데이터의 BER(bit error rate)이 높아질 수 있다. QPSK(quadrature phase shift king)변조를 이용한 OFDM 시스템에선 정수배의 샘플 옵셋만 아니라 소수배의 샘플 옵셋까지 보상하여 동기를 획득해야 한다. QPSK 심볼 복조 시 소수배의 샘플 옵셋이 잔존할 경우 시스템의 수신 성능은 떨어지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QPSK변조를 이용한 OFDM 시스템에서 소수배의 샘플 옵셋이 존재할 경우 동기를 획득하는 방법에 대해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심볼 타이밍 동기 방법은 수신된 트레이닝 심볼의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0.5 샘플 이전과 이후의 충격응답을 각각 구하여 이들을 차를 이용하여 동기를 획득한다. 제안한 심볼 타이밍 동기 기법의 성능은 멀티패스의 모델화 채널을 적용한 모의실험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 PDF

Performance Analysis of Channel Estimation Schemes for MF Band Digital Radio Broadcasting System (MF 대역 디지털 라디오 방송 시스템을 위한 채널 추정 기법의 성능 분석)

  • 송정훈;김기남;노재성;조성준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 /
    • v.15 no.2
    • /
    • pp.217-222
    • /
    • 2004
  • In this paper, the efficient channel estimation schemes for DRM system(AM band digital radio broadcasting standard) are investigated. In frequency domain, by means of the linear interpolation, the second order interpolation, cubic spline interpolation, and time domain interpolation, the channel impulse response is estimated respectively to compensate the attenuation due to the fading. And in time domain, the frequency channel impulse response is averaged to reduce the attenuation due to the AWGN. By the simulation, the performance of MSE, BER and the complexity of calculation is compared and analyzed for each interpolation scheme.

Development of Hybrid Temperature Measurement System (복합형 체온계 개발)

  • Han, Young-Hwan;Park, Seung-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0.07a
    • /
    • pp.195-197
    • /
    • 2010
  • 체온은 가장 기본적인 진단 정보로써 여러 가지 생리 변화를 반영하는 지표이므로 거의 모든 질환에 대해 반드시 측정하도록 되어있다. 그러므로 체온을 정확하고 빠르게 측정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은 복합형 체온측정 시스템의 개발에 목적이 있다. 즉, 하나의 복합 시스템으로 고막과 이마에서의 체온을 측정하려고 한다. 개발 결과, 이 시스템은 IR 센서를 사용한 비접촉식 방식이며 빠른 응답시간과 $0.2^{\circ}C$의 정밀도를 가지고 있다. 또한 체온 측정을 위한 주변온도 보상을 고려하여 온도 측정의 정확도를 높였다.

  • PDF

Current Reference Compensation for Fast Response in PCMC of PSFB Converter (PSFB 컨버터의 PCMC에서 빠른 응답특성을 가지기 위한 전류 명령 보상)

  • Lee, Jong-Uk;Kim, Hag-Wone;Baek, Seung-Woo;Cho, Kwan-Yuhl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Power Electronics
    • /
    • v.23 no.2
    • /
    • pp.147-151
    • /
    • 2018
  • Phase-shift fullbridge (PSFB) converter detects the current in the primary side for operation of the peak current mode controller (PCMC). The PCMC must used the slope compensation to solve the problem when the effective duty is over 0.5. The voltage response of PSFB converters has slower than that of buck converter because of slew interval even if the voltage controllers of two converters have same bandwidth. To overcome these problems, this work proposes a compensating method of current reference considering slew interval and fast response in the PSFB converter.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method is proven using the PSIM simulation and experiment.

수배전 시스템의 에너지 절약$\cdot$이용합리화 3. 액티브 콘덴서

  • 대한전기협회
    • JOURNAL OF ELECTRICAL WORLD
    • /
    • s.264
    • /
    • pp.84-89
    • /
    • 1998
  • 지금까지 수전설비의 역률조정에는 진상콘덴서가 사용되었고 콘덴서뱅크의 투입-해별에 따라 Step 모양으로 제어하여, 역률 개선효과는 0.98$\~$0.97정도가 일반적이었다.그러나 자에너지(에너지 절약$\cdot$이용합리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가운데, 부하기기에 대해서는 파워일렉트로닉스 기술을 이용한 인버터화 등에 의하여 자에너지화가 도모되고 있다. 또한 코제너레이션의 설치에 의한 설비 전체로서의 에너지의 유효활동도 이루어져, 역률조정에서도 변동이 적고 가능한 한 고역률을 유지할 것을 요망하고 있다. 또 자에너지화에 크게 기여하고 있는 인버터 등에서 발생하는 전기공해라고도 할 수 있는 고조파전류가 많이 발생하고, 이 고조파전류의 유입으로 진상콘덴서의 과열$\cdot$이음발생 등의 이상을 일으키는 경우가 최근에 많이 발생하고 있다. 이와 같은 배경에서 액티브필터 제어기술을 적용하여 전력용콘덴서를 사용하지 않는 무효전력보상장치인 액티브 콘덴서(active condenser)를 제품화하여 시장에 내놓았다. 액티브 콘덴서는-무효전류 연속제어에 의하여 전원역률을 1.0으로 유지 -고속응답성 -대용량 IGBT(Insulted Gate Bipolar transistor)소자의 채용에 의한 소형화 -고조파의 영향을 받지 않음 등 지금까지의 진상콘덴서에는 없는 우수한 장점이 있어, 자에너지와 고조파문제에 유효한 수단이 되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