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읍치

검색결과 38건 처리시간 0.019초

수체계가 홍주성의 입지와 공간구조 변천과정에 미친 영향 (A Study on the Influence of the Water System on the Location and Spatial Structure of Hongju-seong)

  • 이경찬;강인애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12-24
    • /
    • 2020
  • 본 연구는 홍주목 읍치 일대의 물(水) 공간과 연계하여 홍주성의 형성·변천과정과 더불어 조선 후기 홍주읍성의 공간구조와 축성방식이 지니는 특성을 해석해보고자 하는 목적을 지니고 있다. 조선시대 홍주목 읍치 일대의 수체계는 남에서 북으로, 서에서 동으로 흐르는 가지형 구조의 자연하도를 기반으로 인공적으로 조성된 성안물길과 연못(池)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다양한 문헌기록, 발굴조사 결과 및 지도자료 등에 대한 분석결과를 종합해보면 수체계가 홍주성의 조영과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는데 대표적으로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고려시대 이후 조선 후기에 이르는 홍주성은 큰 위치 변화 없이 금마천과 용봉천을 외수로 삼고 홍성천과 월계천을 중심으로 한 환포형의 지형구조와 하천 합수부의 내측(汭)에 형성된 소규모 침식분지를 이용하여 위치하고 있다. 이러한 홍주성의 입지특성은 고대 중국과 한국에서의 물길을 고려한 도시 입지선정 방법을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둘째, 홍주성 일대 수체계의 골격을 형성하는 홍성천과 월계천, 소향천 등은 다양한 측면에서 홍주성의 입지와 축성방식, 물 관련시설, 읍성 공간구조 등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또한 홍주성 내외부의 미지형구조는 월계천 및 홍성천의 하도특성과 어우러져 홍주성의 토지이용 및 읍치시설 배치형태를 결정하는데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셋째, 홍주읍성에서는 물을 고려한 다양한 비보조치가 이루어졌다. 홍성천과 금마천 사이의 숲 조성, 조선 후기 읍기(邑基)를 방해한다 하여 이루어진 남문 폐쇄 등은 그 대표적인 조치의 일환으로 이해된다. 넷째, 월계천의 영향으로부터 읍성 또는 읍내 시가구역을 보호하기 위하여 일찍부터 성안물길을 설치하여 물길을 분지시키거나 연못(池)을 조성하는 등 인공 배수시설을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있다. 특히 홍주성의 축성방식과 관련하여 수해로부터 성벽을 보호하기 위한 다양한 조치가 이루어졌다. 고려시대 토성과 일체화된 조선시대 석성 구조, 조선 후기 북문지 일대의 퇴축 성벽, 서벽과 동벽에서 보이는 외벽과 내벽 사이의 석렬이나 와편층을 활용한 성벽 축조방식은 그 대표적인 방법이었다.

영남지방 비보(裨補)의 기원(起源)과 확산(擴散)에 관한 일고찰(一考察) (An Origin and Diffusion of the Bibo in Youngnam Region)

  • 최원석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48-64
    • /
    • 2001
  • 영남지방 비보의 기원은 가야와 신라의 불교적 비보사탑에서 비롯하며, 고려 및 조선조를 거치면서 국도(國都)에서 풍수적 비보의 성행은 영남지방 비보경관의 조성에 큰 영향을 끼친다. 비보의 확산양상은, 조선 초기까지는 수위(首位)의 공간적 위계(空間的 位階)를 지니는 국도(國都)(개성 한양)를 비보핵심지(裨補核心地)하여 주변지역(周邊地域)의 부 목 대도호부(府 牧 大都護府) 등 대읍(大邑)의 차위중심지(次位中心地)로 확산되고, 대읍(大邑)이 다시 비보중심지(裨補中心地)가 되어 순차적으로 인근 군현(郡縣) 단위의 중소 읍치(中小 邑治)로 비보가 확산되었다. 이윽고 조선 중기 이후 좌지사비(左地士族)들의 촌락 개척과 맞물려 읍치(邑治) 외곽의 주요 士族(사족)의 주거지로 비보가 파급되어 나갔다.

  • PDF

조선후기 남한산성 관아건축의 변천 (Transition of Namhansanseong Government Office in the Late Choson Dynasty)

  • 김기덕
    • 건축역사연구
    • /
    • 제20권6호
    • /
    • pp.99-114
    • /
    • 2011
  • Namhansanseong fortress (南漢山城) is not Eupchi (邑治) created for ages but the new settlement of public and military administration as Baedo (陪都) to defend capital territory. Namhansanseong has Jinsan (鎭山) that is named Cheongnyangsan (淸凉山) and its government office building was located in the main place, also a periodic five-day market was being held in the center of fortress. This study is find out the transition and its historical background of government office building on Namhansanseong by the relocation of Eupchi in the 17th century. The conclusion of analysi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main change of government office in the late Choson dynasty is to move Yi-a, administrative complex (貳衙) around Yeonmugwan (演武館). Since 1795, the 19th year of King Jeongjo (正祖), this was fixed by the end of the Choson dynasty on the unification of Magistrate which is also Defense Commander. In the second place, the military office on Jungyeong (中營) that is Junggun's (中軍) place of work was abolished by the reform of Junggun system. Thirdly, transition of the end of the Choson dynasty is the abolition of Sueoyeong (守禦營) and the realignment of government offices. Namely, the administrative agency was moved to Haenggung (行宮) after the collapse of unification in 1895. Also former military offices was changed to police administration on Gwangju-bu (廣州府), Gwangju county level unit.

근대 한국에 있어 일본제국에 의한 철도건설과 읍치의 변화에 관한 역사적 연구 (A Historical Study of the Railroad Construction by the Empire of Japan and the change of Eupchi in Modern Korea)

  • 김헌규
    • 건축역사연구
    • /
    • 제17권6호
    • /
    • pp.29-44
    • /
    • 2008
  • This paper analyses the railroad trunk line constructed in the Korea since the end of the 19th century. The analysis consists of the following problematics. 1) The process of the decision of the railroad route 2) The relationship of the location of Eupchi and the stations By clarifying the abov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larify how the morphology of the city in Korea has been affected by the change in the relationship with Korea and Japan. The Empire of Japan has been reconnoitering the Korea since way before the formal contract for the railroad construction was signed. Therefore, the Empire of Japan had a very good understanding of the actual transportation system when it started the construction of the railroad. The railroad construction was used by the Empire of Japan to empower the control over the Korea. For this reason, the new railroad system was constructed as a different system from the former transportation system and the urban system was also affected. Also the relationship of the western powers and Japan around the turn of the 20th century defined the characteristic of the railway system as a pathway through the Korean peninsular to link Japan to the continent. Moreover, being apprehensive about the friction with the western, Japan located the railway stations to avoid the missionary land properties. This made it clear that the restraint relationship between Japan and the western affected the urban special structure.

  • PDF

조선시대의 지방도시 읍치의 성립과 계획원리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formation and planning principles of the provincial city "Eupchi" during the Joseon Dynasty)

  • 김헌규
    • 건축역사연구
    • /
    • 제16권2호
    • /
    • pp.119-136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lanning principles and historical meaning of Eupchi constructed during the Joseon Dynasty. I investigated the general character of Eupchi based on analyses of published materials from the Joseon Dynasty. The Joseon Dynasty, which started in 1392, set up Eupchi in a position to effectively govern the whole country. Eupchi was differentiated from the surrounding villages, and became the center of administration and education. Eupchi was established based on techniques taken from the capital. Following precedence in the capital, Eupchi was transformed with spaces for Confucian ceremonies. The cityscape of Eupchi was also differentiated from the surrounding villages. Such transformation of Eupchi represents the progress of urbanization. The developments found in Eupchi spread around Korea, and mark an important stage in the historical evolution of Korean urbanization. The Joseon Dynsasty used similar techniques from the capital to establish Eupchi. However, I found some differences between Eupchi and the capital. The Joseon Dynasty recognized that walls could protect not only the capital city bnt also the country from foreign enemies. Protective walls were required for a capital, but not for Eupchi. In addition, Eupchi did not have commercial institutions supported by the Dynasty. This further demonstrates that different planning principles were used at Eupchi.

  • PDF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동여편고" 연구 (A Study on "Dongyeopyengo" Housed by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 이기봉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27-41
    • /
    • 2012
  • 이 연구에서는 여백에 무수한 교정과 첨가의 흔적이 담겨 있는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동여편고"의 내용을 정리 소개하고, 지리지 편찬 역사에서 차지하는 학술적 가치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동여편고"는 순조(재위: 1800~1834) 때 "신증동국여지승람"에서 유래 관련 내용을 대폭 삭제하여 편찬되었다. 둘째, 주로 순조 때 "동국문헌비고"의 정보를 중심으로 교정과 첨가 작업을 진행하였다. 셋째, 헌종(재위: 1834~1849) 때도 "중정남한지"등 여러 자료를 바탕으로 교정과 첨가 작업을 진행하였다. 넷째, 양주의 읍치 이동에 대한 기록과 지리지 전체의 편찬경향을 통해 볼 때 "동여편고"의 편찬자는 김정호이다. "동여편고"는 우리나라의 가장 위대한 지리학자인 김정호 인생의 초기에 진행된 지리지 편찬 과정을 생생하게 담고 있는 중요한 자료로서, 그 동안 자료의 부족으로 주목하지 못했던 1834년 이전의 김정호 삶을 이해할 수 있게 해주는 학술적 가치를 갖고 있다.

  • PDF

조선후기(朝鮮後期) 충청도(忠淸道) 지방(地方) 읍치(邑治)의 공간구조(空間構造)에 관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Spatial Structure of ChungChong-Do Province Eupchi in the Late Chosun Dynasty)

  • 김기덕;이재헌
    • 건축역사연구
    • /
    • 제12권1호
    • /
    • pp.43-58
    • /
    • 2003
  • This study is to analyze spatial structure of Eupchi(邑治) on Chungchong province with Chungchong-do regional maps(忠淸道地方地圖) and Eupjis(邑誌, topography) being compiled in the late Chosun dynasty.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it in this study, we make conclusions as follows; 1. Gunhyeon(郡縣) which had been Eupseong(邑城) on Chungchong-do in Chosun dynasty was 13 provinces, and the construction of Eupseong was the coast Eupseong built for the purpose of defense and military Eupseong built at Byeongyeong(兵營) and Geojin(巨鎭). And a measure used In the construction of a castle was Pobaekcheok(布帛尺) used to survey a frontier defence in Chosun dynasty, also Jucheok(周尺) or Yeongjocheok(營造尺) could be assumed to be wide use at that time. 2. Eupchi of Chungchong-do Gunhyeon was almost disposed to the south direction, also had been Jinsan(鎭山) safeguarding it. With relation to Jwahyang(坐向) and Jinsan, its Jinsan and Myeongdang-cheon(明堂川) match each other in location of Eupchi, as it get Jinsan sat, and take main river in front of it. And provincial government office to be the center of a Eupchi is organized into Gaeksa(客舍), Dongheon(東軒), Naea(內衙), Hyangcheong(鄕廳), and practical business facilities, Jakcheong(作廳) or Jangcheong etc., the others is composed for the use of support of those. 3. In most Eupchi in Chungchong province, the layout Sajikdan(社稷壇) and Yeodan(礪壇) was gone with a principle as they were disposed in the west and the north with Eupchi. Seonghwangdan(城隍壇) and Munmyo(文廟) was built in defiance of a principle, as a condition of province. Jangsi(場市) of Eupchi was opened in front of government office or Gaeksa, and the Gunhyeon which had Eupseong was established in the inside and outside of Eupseong.

  • PDF

도심 복원 이미지 제작을 통한 1930년대 후기 청주읍치 경관 고찰 (A Study on Cheongju-eup Townscape in the Late 1930s by Modeling the Restoration Image)

  • 김태영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21권2호
    • /
    • pp.27-34
    • /
    • 2019
  • This study explores the emergence of a modern form of Cheongju-eup townscape in the late 1930s by re-examining the 1960s restoration model of Seongan-dong and Jungang-dong in Cheongju, one of the historic cities in South Korea. According to the acquired data from the restoration model, it is found that the construction of a new urban area during the late 1930 was resulted from the following events: the development of a railroad station located outside of the north gate of Cheongju-eup since 1921, the completion of Musimcheon embankment outside the south gate in 1932, and the construction of Chungcheongbuk provincial office outside the eastern gate in 1937. In this period of development, which the author named 'Cheongju-eup period', the streets in the old castle, consisting only of two-story financial buildings, had been expanded from the existing area at the Seongan-gil intersection to the outside the east gate of Cheongju-eup. In addition, public government buildings, which were mainly located in both Seongan-gil and Yulgok-ro in the east-west direction, were newly constructed during the late 1930s in Seokgyo-dong, a new area in which a large number of commercial buildings including department stores, clothing stores, shoes shops, and watch stores were also built along the streets. Moreover, the modern form of Cheongju-eup was to be formed by several construction projects in the area of Jungang-ro in the late 1930s. Until the 1920s, the townscape outside the northern gate of Cheongju-eup, were composed of primary, agricultural, and female schools built on a largest site of Gyoseo-ro and Daeseong-ro as well as a transportation warehouse and a railway office near the Cheongju station. Then, entering the 1930s, new school buildings and domestic industrial shops and factories were built around the area of Jungang-ro ranging from the railway outside the northern gate to Bangadari. As a result, the expansion of townscape with newly constructed buildings in the late 1930s marked the emergence of a modern form of Cheongju-eup.

『숙천제아도(宿踐諸衙圖)』를 통해 본 조선시대 읍치(邑治)의 공간구조와 관아(官衙) 조경 - 평안도 영유현과 황해도 신천군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patial Structure of Eupchi(邑治) and Landscape Architecture of Provincial Government Office(地方官衙)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rough 'Sukchunjeahdo(宿踐諸衙圖)' - Focused on the Youngyuhyun Pyeongan Province and Sincheongun Hwanghae Province -)

  • 신상섭;이승연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9권2호
    • /
    • pp.86-103
    • /
    • 2016
  • 조선후기 문신 한필교(1807~1878년)가 관직을 역임했던 읍치를 대상으로 제작한 "숙천제아도(宿踐諸衙圖)" 화첩의 평안도 영유현과 황해도 신천군 읍치를 분석 자료로 활용하여 실증사료로서의 가치추적, 공간구조 등의 전형성 정립, 관아조경 및 문화경관 특성 도출 등을 시도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풍수형국도' 성격을 겸하며 사방전도묘법으로 그려진 "숙천제아도"의 읍치도는 조선시대 지방고을의 터잡기와 공간구조는 물론 환경설계원칙 등을 파악할 수 있는 사료적 가치를 지닌다. 고을 치소(邑治)는 남북 중심축선에 위계를 설정한 배산임수 체계이며, 전조후침(前朝後寢)의 관아시설, 그리고 3단1묘의 제례처 등 도성에 준한 토지이용과 배치규범을 적용하고 있다. 교통요충지에 자리한 고을 치소는 어귀 장터마당을 결절점으로 안길을 따라 북쪽으로 향하면 관아 문루에 다다르는 노단경이 형성되고, 고갯길 또는 물길을 따라 외부 바깥길로 이어지는 체계를 갖는다. 즉, 동선체계는 바깥길-고갯길-어귀길-장터마당-안길-또는 샛길로 수용력과 위계에 따라 분절되며 3거리 길로 접합되는 양상이다. 지방관아의 토지이용은 3조(三朝)의 개념(외조, 치조, 연조)을 반영한 위계적 구성인데, 동헌의 후원과 객사의 별원을 포함하여 3문3조2원(三門三朝二園)의 공간체계를 보여준다. 고을의 뒷동산 소나무 숲, 명당수인 남천, 안산(案山)에 해당하는 조산(造山), 비보숲 읍수(邑藪) 등 풍수적 경관짜임이 작용되었는데, 겨울철 북서풍 차단과 여름철 상승기류 형성 등 에너지 보존, 색체 항상성, 자연재해 방지와 심리적 안정성 등 쾌적성 조건에 부합되는 환경지속성이 추출된다. 한적한 곳에 자리한 향교는 별도의 원림을 가꾸지 않았으며, 누정은 심신수양, 안분지족, 자연회귀 같은 상징적 가치, 정치적 행사와 윤리관 반영, 유흥상경 등 문화경관 양상이 다양하게 표출되는데, 객사에는 기와를 얹은 와정(瓦亭)이, 동헌과 내아에는 네모꼴 연못을 두고 소박한 모정(茅亭)이 도입되는 차별성을 보여준다. 관아에 지표경관으로 문루가 자리하고, 군사훈련 및 심신수양을 겸한 사정(射亭)이 필수시설로 도입되었다. 아사의 앞뜰은 네모꼴 마당(庭)으로 조경처리를 하지 않은 반면, 정청의 뒤뜰(後園)과 객사의 별원(別園) 등은 장식적으로 가꾸었다. 이러한 관아조경은 공간 성격 및 위계를 반영하되 기능적 지속성(차폐와 방화, 미기후조절 등)과 심리적 건전성, 상징성 등을 복합적으로 고려한 경관미학이라 하겠다. 한편, 소나무, 느티나무, 배나무, 버드나무, 향나무(또는 노송), 연(蓮), 화목(花木) 등이 조경식물로 활용되었는데, 환경심리적 가치가 부가된 배후숲, 조산숲과 비보숲 등과 함께 건전한 문화경관 요소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일반화 시킬 수 있느냐 하는 문제는 조선시대 읍치의 공간구조 및 환경설계 원칙이 제도적 틀 안에서 정형성으로 작용되고 있어 연구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산성취락연구(山城聚落硏究) : 남한산성(南漢山城) 광주읍치(廣州邑治)의 형성(形成)과 쇠퇴(衰退) (The Establishment and Transformation of the Mountain Fortress Town of Kwangju County in Kyonggi Province)

  • 홍금수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313-340
    • /
    • 2004
  • 남한산성(南漢山城)은 병자호란을 상징하는 경관요소로서 치욕스러운 과거의 기억을 간직한 채 한강남쪽 평지 한 가운데 솟아있다. 남한산 아래의 고위평탄면상에는 산성의 수축을 계기로 고골(古邑)에서 이전해온 광주부(廣州府)의 치소(治所)가 자리하였는데, 조선시대에 성내동(城內洞)으로 불리다가 1910년에 읍내동(邑內洞), 1914년에는 다시 산성리(山城里)로 개칭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생활환경이 열악한 일개 산촌에 불과했던 산성마을은 행정중심지로 계획되었으며 정책적으로 모임(募入)한 300여 호에서 출발하며 전성기에는 600호 가까운 규모로 성장하였다. 성내에는 종묘봉안처(宗廟奉安處)(좌전(左殿)), 사직봉안처(社稷奉安處)(우실(右室)), 행궁(行宮)을 겸한 광주부(廣州府)의 관아(官衙), 수어영(守禦營)과 광주부(廣州府) 소속의 공해, 시장(市場) 등 유교적인 도회도식(都會圖式)에 규정된 기본요소로 구성된 상징경관이 형성되었다. 성내동민(城內洞民)은 복호(復戶)의 혜택이 주어진 산성 안팎의 토지를 경작하고, 상품을 교역하는 한편, 모군(募軍)으로 자신의 노동을 상품화하면서 궁핍한 생활을 이어갔다. 사회경제적인 상황의 변화와 함께 1917년 산성으로 들어오는 길목에 자리한 주막리(酒幕里)가 광주군 신 청사의 입지로 결정되면서 산성취락은 해체단계를 맞아 한적한 벽촌으로 남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