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Spatial Structure of Eupchi(邑治) and Landscape Architecture of Provincial Government Office(地方官衙)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rough 'Sukchunjeahdo(宿踐諸衙圖)' - Focused on the Youngyuhyun Pyeongan Province and Sincheongun Hwanghae Province -

『숙천제아도(宿踐諸衙圖)』를 통해 본 조선시대 읍치(邑治)의 공간구조와 관아(官衙) 조경 - 평안도 영유현과 황해도 신천군을 중심으로 -

  • Shin, Sang sup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and Urban Design, Woosuk University) ;
  • Lee, Seung yoen (Dept. of Landscape and Civil Engineering, Woosuk University)
  • 신상섭 (우석대학교 조경도시디자인학과) ;
  • 이승연 (우석대학교 조경토목공학과)
  • Received : 2016.02.29
  • Accepted : 2016.05.12
  • Published : 2016.06.30

Abstract

'Sukchunjeahdo' illustration-book, which was left by Han, Pil-gyo(韓弼敎 : 1807~1878)in the late Joseon Dynasty, includes pictorial record paintings containing government offices, Eupchi, and Feng Shui condition drawn by Gyehwa(界畵) method Sabangjeondomyobeop(四方顚倒描法) and is the rare historical material that help to understand spatial structure and landscape characteristics. Youngyuhyun(永柔縣) and Sincheongun(信川郡) town, the case sites of this study, show Feng Shui foundation structure and placement rules of government offices in the Joseon Period are applied such as 3Dan 1Myo(三壇一廟 : Sajikdan, Yeodan, Seonghwangdan, Hyanggyo), 3Mun 3Jo(三門三朝 : Oeah, Dongheon, Naeah) and Jeonjohuchim(前朝後寢) etc. by setting the upper and lower hierarchy of the north south central axis. The circulation system is the pattern that roads are segmented around the marketplace of the entrance of the town and the structure is that heading to the north along the internal way leads to the government office and going out to the main street leads to the major city. Baesanimsu(背山臨水 : Mountain in backward and water in front) foundation, back hill pine forest, intentionally created low mountains and town forest etc. showed landscape aesthetics well suited for the environmental comfort condition such as microclimate control, natural disaster prevention, psychological stability reflecting color constancy principle etc. and tower pavilions were built throughout the scenic spot, reflecting life philosophy and thoughts of contemporaries such as physical and mental discipline, satisfied at the reality of poverty, returning to nature etc. For government office landscape, shielding and buffer planting, landscape planting etc. were considered around Gaeksa(客舍), Dongheon(東軒), Naeah(內衙) backyard and deciduous tree s and flowering trees were cultivated as main species and in case of Gaeksa, tiled pavilions and pavilions topped with poke weed in tetragonal pond were introduced to Dongheon and Naeah and separate pavilions were built for the purpose of physical and mental discipline and military training such as archery. Back hill pine tree forest formed back landscape and zelkova, pear trees, willow trees, old pine trees, lotus, flowering trees etc. were cultivated as gardening trees and Feng-Shui forest with willow trees as its main species was created for landscape and practical purposes. On the other hand, various cultural landscape elements etc. were introduced such as pavilions, pond serving as fire protection water(square and circle), stone pagoda and stone Buddha, fountains and wells, monument houses, flagpoles etc. In case of Sincheongun town forest(邑藪), Manhagwan(挽河觀), Moonmujeong(文武井), Sangjangdae(上場岱) and Hajangdae(下場岱) Market place, Josanshup<(造山藪 : Dongseojanglim(東西長林)>, Namcheon(南川) etc. were combined and community cultural park with the nature of modern urban park was operated. In this context, government office landscape shows the garden management aspect where square pond and pavilions, flowering trees are harmonized around side pavilion and backyard. Also, environmental design technique not biased to aesthetics and ideological moral philosophy and comprehensively considering functionality (shielding and fire prevention, microclimate control, etc.) and environmental soundness etc. is working.

조선후기 문신 한필교(1807~1878년)가 관직을 역임했던 읍치를 대상으로 제작한 "숙천제아도(宿踐諸衙圖)" 화첩의 평안도 영유현과 황해도 신천군 읍치를 분석 자료로 활용하여 실증사료로서의 가치추적, 공간구조 등의 전형성 정립, 관아조경 및 문화경관 특성 도출 등을 시도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풍수형국도' 성격을 겸하며 사방전도묘법으로 그려진 "숙천제아도"의 읍치도는 조선시대 지방고을의 터잡기와 공간구조는 물론 환경설계원칙 등을 파악할 수 있는 사료적 가치를 지닌다. 고을 치소(邑治)는 남북 중심축선에 위계를 설정한 배산임수 체계이며, 전조후침(前朝後寢)의 관아시설, 그리고 3단1묘의 제례처 등 도성에 준한 토지이용과 배치규범을 적용하고 있다. 교통요충지에 자리한 고을 치소는 어귀 장터마당을 결절점으로 안길을 따라 북쪽으로 향하면 관아 문루에 다다르는 노단경이 형성되고, 고갯길 또는 물길을 따라 외부 바깥길로 이어지는 체계를 갖는다. 즉, 동선체계는 바깥길-고갯길-어귀길-장터마당-안길-또는 샛길로 수용력과 위계에 따라 분절되며 3거리 길로 접합되는 양상이다. 지방관아의 토지이용은 3조(三朝)의 개념(외조, 치조, 연조)을 반영한 위계적 구성인데, 동헌의 후원과 객사의 별원을 포함하여 3문3조2원(三門三朝二園)의 공간체계를 보여준다. 고을의 뒷동산 소나무 숲, 명당수인 남천, 안산(案山)에 해당하는 조산(造山), 비보숲 읍수(邑藪) 등 풍수적 경관짜임이 작용되었는데, 겨울철 북서풍 차단과 여름철 상승기류 형성 등 에너지 보존, 색체 항상성, 자연재해 방지와 심리적 안정성 등 쾌적성 조건에 부합되는 환경지속성이 추출된다. 한적한 곳에 자리한 향교는 별도의 원림을 가꾸지 않았으며, 누정은 심신수양, 안분지족, 자연회귀 같은 상징적 가치, 정치적 행사와 윤리관 반영, 유흥상경 등 문화경관 양상이 다양하게 표출되는데, 객사에는 기와를 얹은 와정(瓦亭)이, 동헌과 내아에는 네모꼴 연못을 두고 소박한 모정(茅亭)이 도입되는 차별성을 보여준다. 관아에 지표경관으로 문루가 자리하고, 군사훈련 및 심신수양을 겸한 사정(射亭)이 필수시설로 도입되었다. 아사의 앞뜰은 네모꼴 마당(庭)으로 조경처리를 하지 않은 반면, 정청의 뒤뜰(後園)과 객사의 별원(別園) 등은 장식적으로 가꾸었다. 이러한 관아조경은 공간 성격 및 위계를 반영하되 기능적 지속성(차폐와 방화, 미기후조절 등)과 심리적 건전성, 상징성 등을 복합적으로 고려한 경관미학이라 하겠다. 한편, 소나무, 느티나무, 배나무, 버드나무, 향나무(또는 노송), 연(蓮), 화목(花木) 등이 조경식물로 활용되었는데, 환경심리적 가치가 부가된 배후숲, 조산숲과 비보숲 등과 함께 건전한 문화경관 요소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일반화 시킬 수 있느냐 하는 문제는 조선시대 읍치의 공간구조 및 환경설계 원칙이 제도적 틀 안에서 정형성으로 작용되고 있어 연구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구태익.이재근, 1994, 계화화법에 관한 기초연구 한국정원학회지 제12권 1호
  2. 권내현, 1998, 조선후기 읍치와 그 거주민 구성에 관한 일고찰 한국사학보 3권
  3. 김광원, 2011, 조선시대 안동읍치의 경관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 김기덕, 2004, 조선후기 지방관아건축의 배치구성에 관한 연구 건축역사연구 통권37호
  5. 김기덕, 2002, 조선후기 충청도 관아건축 배치체계, 청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6. 김선주.허경진.송인호.박정혜, 2012, 숙천제아도, 민속원
  7. 김용기 외 2명, 1999, 조선시대 감영의 입지와 공간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17(2)
  8. 김한배, 1992, 한국전통마을과 읍성의 경관성 한국전통조경, 도서출판 조경
  9. 김현규, 2007, 조선시대 지방도시 읍치의 성립과 계획원리에 관한 연구 건축역사연구 제16권 2호, 권51호
  10. 박용철, 2008, 조선시대 선산읍치의 풍수입지 연구, 대구한의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 박정혜, 2012, 19세기 경화세족의 사환기록과 숙천제아도 숙천제아도, 민속원
  12. 송인호, 2002, 사방전도묘법 연구 건축역사연구 통권31호
  13. 서유구, 1764-1845, 임원경제지
  14. 신상섭, 2014, 숙천제아도를 통해본 조선시대 중앙관아의 공간구조와 조경기법 문화재 47권 3호
  15. 신상섭, 2013, 전라구례오미동가도를 통해본 운조루의 공간배치계획과 경관고찰 문화재 46권 4호
  16. 안대회, 2007, 조선후기 사대부의 집과 삶의 기록 한문학보 제17집
  17. 안대회, 2005, 산수 간에 집을 짓고, 돌베게
  18. 예명혜 외 3명, 2002, 조선시대 읍치의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칠곡도호부를 중심으로- 국토계획 37(3)
  19. 오갑수, 2002, 조선시대 공주목 관할지역 지방읍치와 읍세의 분석, 건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 이영미, 2011, 주체와 타자의 시선에 의해 표상된 색채기호 호남학연구원
  21. 이은창, 1984, 조선시대의 관아원림 연구 효성여자대학교 논문집 제29집
  22. 이재환, 2007, 조선후기 경상도 읍치의 공간구성 체계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3. 이재환.예명혜, 2004, 조선시대 군위읍치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20(12)
  24. 이중환 저.이익성 역, 1971, 택리지, 을유문화사
  25. 전영옥, 1991, 조선시대 관영원림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6. 정명섭.곽동엽.조영화, 2005, 조선후기 상주읍치의 공간구성 특성에 관한 연구 건축역사연구 17(1)
  27. 주남철, 1984, 관아건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지 제28권 116호
  28. 최수명, 1995, 학제적 접근의 필요성과 전망 한국농촌계획학회지 제1권 1호
  29. 한국전통조경학회, 2009, 동양조경문화사, 도서출판 대가
  30. 허경진.김선주, 2012, 숙천제아도 서지학으로 본 숙천제아도 해제, 민속원
  31. 허경진, 2000, 숙천제아도 미술사 논단 제11권
  32. 허균, 2002, 한국의 정원 선비가 거닐던 세계, 다른세상
  33. 황상돈.박찬용, 1999, 조선시대 읍성의 관아정원에 관한 기초연구 한국정원학회지 17(3)
  34. 규장각 : http://kyujanggak.snu.ac.kr
  35. 규장각 원문정보 : http://147.46.103.182/OIS/GZD/VIEWER
  36. 다음백과사전 : http://100.daum.net/encyclopedia
  37. 민속원 : http://www.minsokwon.com
  38. 민족문화대백과사전 : http://www.encykorea.com/encykorea.htm
  39. 위키백과 : http://ko.wikipedia.org/wiki
  40. 조선왕조실록 : http://sillok.history.go.kr/id/kda_10802020_006
  41. 한국고전종합DB : http://www.itkc.or.kr
  42. http://blog.daum.net/choisad/12444639
  43. http://blog.ohmynews.com/worldandme/466094
  44. http://encykorea.aks.ac.kr/Contents/Contents?contents_id=E0033435
  45. http://koreandb.nate.com/history/people
  46. http://ko.jedi.wikia.com/wiki/%EC%9D%B4%ED%99%94%EC%A0%95?oldid=41416
  47. http://news.hankooki.com/lpage/culture
  48. http://preview.britannica.co.kr/bol/topic.asp?mtt_id=4152
  49. http://www.imaeil.com/sub_news/sub_news_view.php?news_id=19505&yy=2009
  50. http://www.newscj.com/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