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Influence of the Water System on the Location and Spatial Structure of Hongju-seong

수체계가 홍주성의 입지와 공간구조 변천과정에 미친 영향

  • Lee, Kyung-Chan (Dept. of Urban Engineering, Wonkwang University) ;
  • Kang, In-Ae (Institute of Urban Culture, Wonkwang University)
  • 이경찬 (원광대학교 도시공학과) ;
  • 강인애 (원광대학교 도시문화연구소)
  • Received : 2020.11.18
  • Accepted : 2020.12.07
  • Published : 2020.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the water system on the location, spatial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of Hongju-eupseong, centering on Hongjumok-eupchi. During the Joseon Dynasty, the water system in Hongjumok-eupchi is composed of artificially constructed Seong-an Runnel and ponds based on a branch-shaped natural waterways flowing from south to north and west to east. Compiling the results of various literature records, excavations and analysis of map data, it can be seen that the water system has an important influence on the construction of Hongju-seong. Firstly, Hongju-seong from the Goryeo Dynasty to the late Joseon Dynasty is located using a circular shape of topographical structure and a small erosion basin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Hongseongcheon and Wolgyecheon streams without significant change in location. In particular, Wolgyecheon and Hongseongcheon are natural moats, which are harmonized with Sohyangcheon and riverside topographical structures, affecting the location and construction method of Hongju-seong, water related facilities, and the spatial structure of eupseong. It is understood that location characteristic of Hongju-seong reflects the urban location structure harmonized with waterways in ancient China and Korea. Secondly in harmony with the water system and topographic structure of Hongju-seong, it is an important factor in deciding the land use of the town, the arrangement of the town hall facilities and inducing various non-subsidiary measures such as the establishment of embankment forest with a secret function and the closure of the south gate. In addition, artificial drainage facilities such as Seongan runnel and ponds are being actively introduced from early on to protect the walls or towns from flooding of Wolgyecheon. Especially there were typical methods for protecting the walls from water damage such as the Joseon Dynasty stone castle structure that was integrated with saturn(soil wall) in the Goryeo Dynasty, retreating wall in the northern gate area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the method of constructing wall using korean tile and stone floors between reinforced soil layers in the western and northern wall.

본 연구는 홍주목 읍치 일대의 물(水) 공간과 연계하여 홍주성의 형성·변천과정과 더불어 조선 후기 홍주읍성의 공간구조와 축성방식이 지니는 특성을 해석해보고자 하는 목적을 지니고 있다. 조선시대 홍주목 읍치 일대의 수체계는 남에서 북으로, 서에서 동으로 흐르는 가지형 구조의 자연하도를 기반으로 인공적으로 조성된 성안물길과 연못(池)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다양한 문헌기록, 발굴조사 결과 및 지도자료 등에 대한 분석결과를 종합해보면 수체계가 홍주성의 조영과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는데 대표적으로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고려시대 이후 조선 후기에 이르는 홍주성은 큰 위치 변화 없이 금마천과 용봉천을 외수로 삼고 홍성천과 월계천을 중심으로 한 환포형의 지형구조와 하천 합수부의 내측(汭)에 형성된 소규모 침식분지를 이용하여 위치하고 있다. 이러한 홍주성의 입지특성은 고대 중국과 한국에서의 물길을 고려한 도시 입지선정 방법을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둘째, 홍주성 일대 수체계의 골격을 형성하는 홍성천과 월계천, 소향천 등은 다양한 측면에서 홍주성의 입지와 축성방식, 물 관련시설, 읍성 공간구조 등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또한 홍주성 내외부의 미지형구조는 월계천 및 홍성천의 하도특성과 어우러져 홍주성의 토지이용 및 읍치시설 배치형태를 결정하는데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셋째, 홍주읍성에서는 물을 고려한 다양한 비보조치가 이루어졌다. 홍성천과 금마천 사이의 숲 조성, 조선 후기 읍기(邑基)를 방해한다 하여 이루어진 남문 폐쇄 등은 그 대표적인 조치의 일환으로 이해된다. 넷째, 월계천의 영향으로부터 읍성 또는 읍내 시가구역을 보호하기 위하여 일찍부터 성안물길을 설치하여 물길을 분지시키거나 연못(池)을 조성하는 등 인공 배수시설을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있다. 특히 홍주성의 축성방식과 관련하여 수해로부터 성벽을 보호하기 위한 다양한 조치가 이루어졌다. 고려시대 토성과 일체화된 조선시대 석성 구조, 조선 후기 북문지 일대의 퇴축 성벽, 서벽과 동벽에서 보이는 외벽과 내벽 사이의 석렬이나 와편층을 활용한 성벽 축조방식은 그 대표적인 방법이었다.

Keywords

References

  1. 龍彬(2005). 風水...與城市營建. 江西科學技術出版社.
  2. 吳床洲(2009). 中國都城防洪硏究. 中國建築工業出版社,
  3. 길지혜, 황기원, 손용훈(2015). 역사적 도시환경의 보존형태 분석을 통한 유산적 가치 고찰,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3(2):67-77. https://doi.org/10.14700/KITLA2015.33.2.067
  4. 길지혜, 황기원, 손용훈(2015). 조선시대 한양도성 연지의 입지 및 공간적 특성 고찰,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3(4):38-51. https://doi.org/10.14700/KITLA.2015.33.4.038
  5. 강인애(2011). 수체계로 본 수원화성 건설의 계획적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9(4):137-147.
  6. 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2019). 홍주읍성 북문지유적
  7. 백제문화연구원, 홍성군(2009). 홍주성내 의병공원 조성부지 1차 문화유적 발굴조사 보고서.
  8. 가경고고학연구소(2013). 홍성 하수관거 정비사업(BTL) 부지 내 홍주읍성(추정) 객사터 유적
  9. 文宗實錄 卷9, 文宗 元年 9月 5日 更子條
  10. 충청남도읍지 洪州郡誌(1906) 城池條(서울대학교 규장각 소장)
  11. 홍성군(2016). 홍성 홍주읍성 정밀실측조사보고서.
  12. 장동수, 김학범, 황정환(1996). 경주 읍수의 변천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31(3):37-49
  13. Lee, K. C. and Kang, I. A.(2017). Interpret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ownscape of Market Area in Hongju Eup-seong based on the Urban Tissue, Journal of East Asian Landscape Studies. 11(4):43-54.
  14. 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2010). 홍성 홍주성 북문지.서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