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음주거절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26초

남자대학생의 음주 동기, 음주거절효능감, 음주결과기대가 고위험음주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drinking motives, refusal self-efficacy, and outcome expectancy on high risk drinking)

  • 이은경;박진화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7권4호
    • /
    • pp.1047-1057
    • /
    • 2016
  • 본 연구는 남자 대학생을 대상으로 음주 동기, 음주거절효능감, 음주결과기대 및 고위험음주의 관계를 파악하고 고위험음주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분석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D광역시 소재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남자대학생으로 본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연구 참여를 동의한 139명이었다. 구조화된 설문지로 일반적 특성, 음주 동기, 음주거절효능감, 음주결과기대, 음주량을 통한 고위험음주를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학년, 학과, 흡연 상태, 음주 동기 하위 영역 중 고양 동기, 음주거절효능감 하위 영역 중 사회적 압력 상황에서 음주거절효능감이 고위험음주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대학생을 위한 고위험음주 예방을 위한 중재 전략을 수립할 때 학과별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교육이 필요하며 흡연 관리가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고위험음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흡연에 대한 금연교육과 함께 음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부정적 측면에 대한 교육과 건전한 방법으로 정서를 조절하는 전략이 요구된다.

자기효능증진 절주프로그램이 음주 여대생의 음주관련 지식, 음주거절 자기효능, 음주결과기대 및 문제음주행위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Self-efficacy Promoting Reducing Alcohol Program on Drinking related Knowledge, Drinking Outcome Expectancy and Problematic Drinking Behavior of Women College Students)

  • 박경;최순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9호
    • /
    • pp.364-373
    • /
    • 2015
  • 본 연구는 음주 여대생을 대상으로 자기효능증진 절주프로그램이 음주관련지식, 음주결과기대 및 문제음주행위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여 음주여대생과 대학생들의 음주문화 개선을 위한 효과적인 음주예방 절주프로그램으로 활용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대상자는 WHO의 문제음주 절단점 기준인 AUDIT 8점 이상인 실험군 22명, 대조군 24명 총 46명으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설계를 이용한 유사 실험연구이다. 연구결과는 본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이 제공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음주관련지식(F=14.33, p<.001)은 더 높았고, 음주결과기대(F=18.28, p<.001)와 문제음주행위(F=5.57, p=.003)는 더 낮게 나타나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본 자기효능증진 절주프로그램은 음주 여대생 뿐만 아니라 캠퍼스 내 대학생들의 음주문화 개선을 위한 효과적인 절주프로그램으로 활용가능 할 것으로 사료된다.

음주예방 프로그램이 여고생의 음주관련 지식과 태도, 음주거절 자기효능 및 음주행위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Drinking Prevention Program on Drinking Related Knowledge, Attitude, Drinking Refusal Self-Efficacy and Behavior of High School Girls)

  • 최순희;박민정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213-220
    • /
    • 2008
  •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determine the effect of drinking prevention program on the levels of drinking related knowledge, attitude, drinking refusal self-efficacy and behavior in high school girls. Method: This was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post test design. The subjects were 133 high school girls who were conveniently assigned to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May to September, 2005 and analyzed using Chi-square test, t-test and ANCOVA. Results: 1. The 1st hypothesis, "The drinking-related knowledge score of experimental group will b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control group in posttest" was supported (F=256.30, p= .001). 2. The 2nd hypothesis, "The drinking-related attitude score of experimental group will b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control group in posttest" was supported (F=43.35, p= .001). The 3rd hypothesis, "The drinking refusal self-efficacy of experimental group will b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control group in posttest" was supported (F=43.86, p= .001). 4. The 4th hypothesis, "The number of drinking of experimental group will be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control group in posttest" was supported (F=6.12, p= .015). 5. The 5th hypothesis, "The drinking amount of experimental group will be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control group in posttest" was supported (F=8.52, p= .004). 5. Conclusion: This drinking prevention program was effective in increasing the drinking-related knowledge and attitude, and the drinking refusal self-efficacy, and in reducing the drinking behavior of high school girls.

  • PDF

간경변증 환자의 재입원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Affecting the Readmission Experience of Liver Cirrhosis Patients)

  • 윤미림;은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111-120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간경변증 환자의 재입원 경험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탐색하여 간경변증 재입원을 줄이기 위한 전략을 개발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연구대상자는 2019년 5월부터 6월까지 2개월 동안 S 시 중소병원에 입원한 75명의 간경변증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는 SPSS(Version 25.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재입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 자가 간호는 60점 만점에 평균 27.49±10.53점이었고, 사회적 지지는 90점 만점에 평균 52.80±16.44, 음주 거절 효능감은 80점 만점에 평균 42.39±22.76점이었다. 재입원 방법은 계획된 입원과 계획되지 않은 입원으로 분류하였는데, 계획되지 않은 재입원은 계획된 재입원보다 퇴원 후 한 달 이내의 음주 경험(OR: 4.16), 합병증 유무(OR: 5.11)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설명력은 19.7%이었다. 간경변증 환자에게 조기에 관리하여 합병증의 발생을 줄이고, 음주에 대한 자가 간호와 사회적 지지 및 음주 거절 효능감을 증가시켜 계획되지 않은 재입원을 줄이고 간경변증의 진행과 악화를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겠다. 음주 경험과 합병증 발생은 자가 간호, 사회적 지지, 음주 거절 효능감을 증가시키는 중재를 통해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간경변증 환자에게 음주하지 않도록 하며, 합병증 관리를 하는 간호 전략이 필요하겠다.

성인대상 알코올중독 예방 조기개입의 단기효과: 예비 연구 (The Short Term Effects of an Early Intervention Program for Alcoholism Prevention in Adults: A Pilot Study)

  • 강경화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11호
    • /
    • pp.550-561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알코올중독 예방을 위한 조기개입 프로그램이 성인 문제음주자의 알코올지식, 음주결과기대 및 음주거절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한 후 현장 적용 가능성을 살펴보는데 있다. 본 연구는 비동등성 대조군 전 후 설계를 이용한 유사실험연구이며, 연구 대상은 현재 직업을 유지중인 남성 중 알코올사용장애 선별 검사(AUDIT) 결과상 12-25점이다. 조기개입 프로그램 참여자는 실험군 13명, 대조군 12명 총 25명으로 실험군은 4회기 조기개입 프로그램에 참여하였고, 대조군은 알코올 자료집만 제공받았다. 통계분석은 Chi-square test, t-test, Mann-Whitney U test를 활용하였다. 조기개입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알코올지식(t=1.258, p= .002), 부정적 음주결과기대(t=-1.346, p= .042) 및 음주거절효능감(t=2.817, p= .010)이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향후 문화적 특성을 고려한 문제음주자 선정 기준의 적용, 참여자 모집과 동기면담을 활용한 동기증진 개입이 필요할 것이다. 특히 문제음주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기 위하여 웹 기반 알코올정보 제공 프로그램도 도움이 될 것이다. 문제음주자가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지역사회 현장에서 조기개입 프로그램이 적용되기를 기대한다.

가상현실에서의 아바타 음주권유가 갈망감 유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Effect of an Avatar Encouraging Drinking in Virtual Reality on Alcohol Craving)

  • 최유경;조상우;한기완;구정훈;정영철;김재진;남궁기;김인영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8년도 학술대회 1부
    • /
    • pp.823-828
    • /
    • 2008
  • 본 연구는 음주거절훈련을 위한 전 단계로 가상현실을 통한 자극 제시가 알코올 중독 환자의 갈망감에 어떠한 변화를 주는 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향후 음주 거절 훈련 프로그램의 개발 뿐만 아니라 알코올 중독 환자들을 위한 새로운 치료 및 훈련 도구로서의 가상현실기법의 활용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한 기초적인 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가상현실 자극은 알코올 중독자들의 음주유발 상황으로 알려진 음주권유(사회적 압력)상황과 알코올 노출 여부 그리고 긍정적 상황 부정적 상황으로 구성하였다. 대상자는 2006년 12월부터 2007년 9월까지 입원중인 알코올 중독 환자 12명이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WlN 11.5 프로그램으로 통계처리 하였으며, Wilcoxon Matched-pairs Signed-Ranks Test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배경에서 아바타의 음주권유 여부가 일반적인 배경만 제시되는 경우보다 더 높은 갈망감을, 알코올이 노출된 장면이 그렇지 않은 장면보다 더 높은 갈망감을 나타내었고 긍정적 부정적이냐는 상황은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내지 못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가장현실을 활용한 훈련이 실제의 사회적 압력과 유사한 음주 압력 상형과 환경을 느끼도록 하며, 가상현실 기법이 기존의 알코올 치료 기법들과 연합되어 효과적인 치료 도구로써의 활용가능성을 많이 가지고 있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 PDF

남성근로자의 음주동기, 음주거절 효능감, 직무 스트레스가 문제음주에 미치는 영향 (Factors associated with Problem Drinking in Korean Male Employees for Drinking Motivation, Job Stress, and Drinking Refusal Self-efficacy)

  • 하영미;정미라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48-56
    • /
    • 2015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relationships between drinking motivation, drinking refusal self-efficacy, job stress and problem drinking, and identify contributing factors on employees' problem drinking. Methods: A total of 191 employees recruited from two worksites.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Results: A 65.5% of employees has shown as hazardous drinking. Employees' problem drinking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coping motives as a sub-factors of drinking motives (${\beta}$=.25) and social pressure as a sub-factors of drinking refusal self-efficacy(${\beta}$=-.57), explained 51.2% of the total variance. Conclusion: Consider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healthy workplace culture for preventing employees' problem drinking should be builded. In addition, alcohol education program and effective employee assistance program need to be developed.

음주예방 프로그램이 여고생의 음주관련 지식과 태도, 음주거절 자기효능 및 음주행위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Drinking Prevention Program on Drinking Related Knowledge, Attitude, Drinking Refusal Self-Efficacy and Behavior of Vocational High School Girls)

  • 최순희;박민정
    •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7-26
    • /
    • 2010
  •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drinking prevention program on the levels of drinking related knowledge, attitude, drinking refusal self-efficacy and behavior of vocational high school girls. Methods: Pre-post test design. The subject was used for a group of high school girls. The data were collected on May and September, 2006 and June, 2007 and analyzed using paired t-test. Results: The drinking-related knowledge score after one year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pretest (t=-14.02, p=.001) and the drinking-related attitude score was lower (t=2.85, p=.006). The drinking refusal self-efficacy and the drinking behavior measured as number of drinking events, amount of alcohol and number of heavy drinking event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pretest and post test after one year. Conclusion: Drinking prevention program should be given to increase the drinking refusal self-efficacy and decrease or prevent the drinking behavior of high school girls every semester at least.

  • PDF

간호학과 남학생의 문제음주 실태와 관련 요인 (Factors Affecting Problem Drinking in Male Nursing Students)

  • 지은주;이은경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440-447
    • /
    • 201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problem drinking in male nursing students.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using a cross-sectional survey. A total 126male nursing students completed a self-report questionnaire to assess alcohol consumption, motives for drinking, and self-efficacy in drinking refusal self-efficacy. Th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2 groups, moderate and problem drinkers. Multivariate analysis was used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problem drinking in these nursing students. Results: Problem drinkers was found to be related to young age (adjusted OR=0.83, 95% CI [0.71, 0.96], coping motives (adjusted OR=1.19, 95%CI [1.00, 1.42], and drinking refusal self-efficacy (OR=0.96, 95% CI [0.93, 0.99]). Conclusion: The findings highlight the important role that coping motives and drinking refusal self-efficacy play in the problems in the drinking behavior of male nursing students.

일부 대학생들의 음주량에 미치는 영향과 절주방안 (An influence on some university students' drinking quality and the plan for cutting down on drinking)

  • 김승대;김명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9호
    • /
    • pp.221-227
    • /
    • 2016
  • 이 연구는 음주 관련 사회적 특성 및 사회적 스트레스가 음주량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고, 음주량 감소와 음주강요를 거절할 수 있는 절주교육방안의 개발에 기초자료로 사용되기 위하여 연구하게 되었다. 2015년 4월 8일부터 4월 9일까지 2일간 대학생 300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지법을 통하여 일반적 특성과 함께 음주로 인한 사회적 스트레스를 연구의 특성에 맞게 일부 문항 수정을 하였으며, 4점 리커트 척도 10개 문항으로 도구의 신뢰도 Cronbach ${\alpha}=.82$였다. SPSS 18.0을 이용하여 빈도, ${\chi}^2$, 경로 분석 등을 시행하였다. 음주모임 빈도가 많아질수록(B=.206, p<.001), 성별이 여자보다 남자일 경우(B=.169, p<.05), 음주로 인한 사회적 스트레스가 낮을수록(B=-.397, p<.001) 음주량은 증가하였으며, 음주모임 빈도는 성별이 여자보다 남자일 경우(B=.274, p<.01), 월수입이 많아질수록(B=.178, p<.05), 음주로 인한 사회적 스트레스가 낮을수록(B=-.349, p<.01) 높아졌다. 음주량을 낮추고 절주를 실천하기 위해서는 절주하는 문화가 교육이나 홍보를 통해서 자발적으로 형성되지 않는 이상 흡연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음주비용을 대폭 증가시키는 법적인 규제 방안을 시행하여야 한다. 흡연이 좋지 못하다는 것을 보건교육 하듯이 음주가 좋지 못한 상황을 불러올 수 있음을 홍보와 절주교육을 해야 하며, 비음주자에 대한 차별을 없애야 하고, 음주로 인한 스트레스를 해소하려는 문화를 바꾸어 나가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