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음원변조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23초

표준셀 라이브러리를 사용한 FM 악기음합성기 설계 (FM Sound synthesizer Design using the Standard Cell Library)

  • 홍현석;조위덕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27-36
    • /
    • 1993
  • FM방식의 악기음원합성은 해당 악기의 음색과 음정에 맞는 FM의 기본 주파수와 변조 계수를 정하여 신호 파형을 생성하는 것으로, 다른 가, 감산방식 또는 PCM방식 등에 비해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다양한 악기음원합성이 가능하다. 따라서 현재 사용되고 있는 개인용 컴퓨터에 부착되는 사운드합성 카드에는 FM방식 음원합성기술이 적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FM방식 음원합성기술을 이용하여 실시간 악기음원합성이 가능한 논리회로를 설계하는데 관한 연구를 기술한다. 본 연구에서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에 의해 FM방식 음원합성기의 구조를 설계하고 주요 블록의 최적 변수 값을 실험하였다. 논리회로 설계 및 회로검증은 향후 주문형반도체(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제작을 위해 기존의 표준셀 라이브러리와 주문형반도체 전용 설계시스템을 사용하였다. 회로검증 결과는 간이 평가보드를 제작하고 PC와 접속시켜 생성된 악기음을 직접듣는 주관적 평가방법으로 최종 확인하였다.

  • PDF

다목적 홀의 음장 가변 시스템 (Sound Field Control System for Multipurpose Halls)

  • 강성훈;이재원
    • 한국음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음향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20권 2호
    • /
    • pp.283-286
    • /
    • 2001
  • 본 논문은 전기적으로 음장을 가변하여 청감적 인상에 변화를 주는 실험 결과를 기술하였다. 본 실험은 마이크로폰으로 무대의 음원을 수음하고 잔향기로 옆방향 반사음과 잔향음을 각각 생성하여 스피커로 출력하였다. 실험 결과 실내의 청감적 인상이 개선됨을 확인하였다. 또 음원 수음 시 발생하는 하울링, 실내 잔향과 다른 스피커의 음색, 잔향기에서 발생하는 음색 변조 둥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였다.

  • PDF

수중 데이터 통신을 위한 변조방식의 성능 비교 (The Performance Comparison of Digital Modulations for Underwater Data Communication)

  • 손근영;노용주;윤종락
    • 한국음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음향학회 2000년도 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19권 1호
    • /
    • pp.429-432
    • /
    • 2000
  • 수중에서 AUV신호나 화상데이터의 정확한 고속 전송 등을 위해 수중 데이터 통신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수중 데이터 통신에서 잔향과 배경 잡음 등의 해양 환경 특성을 극복하는 것은 신뢰성 있는 통신 환경을 이룩하는데 중요하다. 특히 해면과 해저로 이루어진 천해 환경에서 해면과 해저 반사파에 의한 영향은 수중 데이터 통신의 성능을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환경적 영향을 최소화하여 높은 성능의 통신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다중경로의 영향을 적게 받는 변조방식을 선택하는 것이다. 수중 데이터 통신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변조방식은 FSK, PSK, DPSK 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해면$\cdot$해저로 이루어진 해양 통신 채널에서 세 가지 변조방식의 성능을 수치모의실험을 통하여 비교$\cdot$분석하였다. 수치모의실험에서 해면 해저로 이루어진 천해의 해양 통신 채널은 음원 영상법을 적용하여 구성하였으며 각 변조방식의 성능은 BER(Bit Error Ratio)로 나타내었다.

  • PDF

온라인 음악 관리 서비스를 위한 사용자 음원 인식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User Music Recognition System For Online Music Management Service)

  • 성보경;고일주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5권11호
    • /
    • pp.91-99
    • /
    • 2010
  • 최근 디지털 콘텐츠 서비스 분야에서 사용자 맞춤형 서비스를 위해 사용자 자원 인식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특히 온라인 기반 음악 서비스의 경우 사용자 취향 분석, 음원 추천 및 음악 관련 정보 제공을 위해 사용자 음원인식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현재 태그정보를 기초로 사용자 음원 인식 후 음악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지만, 태그정보의 변조 및 삭제 등의 취약점으로 인식 오류가 급증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의 보완 방안으로 음악 자체를 이용하는 내용기반 사용자 음원 인식 기법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음악의 파형에서 추출된 특징 정보를 기초로 온라인상에서 사용자 음원을 인식하는 방법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사용자 음원의 내용기반 인식을 위해 구조에 적합한 음원의 전처리 후 특징 추출을 하였다. 추출된 특징은 음악 서버에 특징 형태로 저장된 음원과의 매칭 과정을 통한 인식을 진행하여 태그데이터에 독립적으로 사용자 음원을 인식할 수 있게 되었다. 제안된 사용자 음원 인식 방법의 검증을 위해 600개의 음악을 무작위 선정하고, 각각을 5가지 음질로 변화하였다. 이렇게 생성된 3000개의 실험음원을 30만곡을 포함하는 음악 서버를 기준으로 인식실험을 진행하였다. 평균 인식율은 85%를 나타내었다. 제안하는 내용기반 음원 인식을 통하여 태그기반 음원 인식의 취약점에 대한 극복을 하였으며, 음원 인식의 성능은 실제 온라인 음악 서비스에 적용할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한국 동해에서 토모그래피용 신호를 이용한 음파 도달시간의 시변동성 (Temporal Variability of Acoustic Arrivals in the East Sea of Korea Using Tomographic Method)

  • 오선택;나정열;오택환;박정수;나영남;김영규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92-99
    • /
    • 2001
  • 1999년 10월에 수행한 한국 동해 중북부 해역의 토모그래피 실험은 저주파수음원을 블라디보스톡 부근의 대륙붕 해역에 위치시켰고 수직선배열 수신기를 울릉도 부근에 고정시켜 원거리 음향 신호의 변화특성을 파악코저하였다. 음원은 위상 변조된 신호이며 울릉도 부근해역의 수직선배열 수신기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신된 자료에 대해 도달시간 및 그 변화를 파악하였다. 이를 위해 위상 변조된 신호를 복조하였으며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도달시간 확산 및 상관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단주기성 변화가 존재하고 있으며 이는 내부파에 의한 매질의 수직 변동에 의한 영향이라 할 수 있다.

  • PDF

심해 장거리 통신에서의 고차 변조 기법의 활용 가능성 검증 (Verification of the feasibility of higher-order modulation for long-range communication in deep water)

  • 김동현;김재수;한주영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428-438
    • /
    • 2021
  • 심해 장거리 통신에서는 전달 손실이 적은 낮은 반송 주파수가 효율적이지만, 좁은 대역폭을 가지는 제약이 따른다. 대역폭의 감소는 전송률의 감소를 의미하며, 제한된 대역폭을 가진 환경에서 전송률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고차 변조 기법으로 설계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은 고차 변조 기법으로 설계된 장거리 수중음향통신 데이터 분석 결과를 제시한다. 2020년 10월 동해에서 예인 음원을 이용한 장거리 해상실험 (23 km ~)이 수행되었고, 수직 선 배열을 통해 데이터를 획득하였다. 본 연구팀은 위상 변조 방식이 적용된 Phase Shift Keying (PSK) 계열 신호와 위상 및 진폭 변조 방식이 적용된 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QAM) 계열의 신호를 송신하였으며, 구체적으로 각 계열별 두 종류의 신호를 설계하였다; 1) PSK : quadrature PSK and 8PSK, 2) QAM : 8QAM and 16QAM. 데이터 분석을 위해 수신 신호와 채널 임펄스 응답 사이의 상관성을 활용하여 심볼 간 간섭을 완화시키는 시역전 처리가 적용되었다. 23 km 거리 데이터에 대해 모든 변조 방식이 성공적으로 복조됨으로써 장거리 환경에서 고차 변조 기법의 활용 가능성을 실험적으로 확인하였다.

MTF-STI를 이용한 유리창 도청음의 명료도 분석 (Intelligibility Analysis on the Eavesdropping Sound of Glass Windows Using MTF-STI)

  • 김희동;김윤호;김석현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8-15
    • /
    • 2007
  • 음향 공동-유리창 연성계를 대상으로 도청음의 음성 명료도를 검토한다. MLS신호를 음원으로 유리창의 가속도와 속도 응답을 가속도계와 레이저 도플러 진동계를 사용하여 측정한다. 변조전송함수 (MTF)를 사용하여 공동-유리창 진동계의 음성전달특성을 규명한다. 변조전송함수에 근거하여 음성전송지수 (STI)를 구하고, 유리창 진동음의 음성명료도를 평가한다. 가속도음과 속도음의 음성명료도를 비교하고, 최종적으로 대화음의 명료도를 주관적 평가로 확인한다.

도플러 효과를 이용한 실감 음향 분석 및 구현 (The Analysis and Implementation of Realistic Sound using Doppler Effect)

  • 임용민;임형준;허준석;박준영;도윤형;이강환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7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523-526
    • /
    • 2017
  • 최근 3차원 가상현실에서의 몰입도를 높이기 위해 실감 음향 분야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현재의 가상현실에서 적용되는 실감 음향 생성 장치는 음원의 방위각과 위상에 대한 고려는 적용되어 있지만, 음향이 청자에게 다가오고 멀어질 때 발생하는 도플러 효과를 충분히 반영하고 있는 기술이 부족한 현실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가상현실에서의 몰입감을 향상하기 위하여 입체음향 채널의 공간 회전축 스피커를 통해 도플러 효과가 더해진 3차원 입체 증감 음향을 제공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가상의 3차원 공간상에 위치하는 음원을 사용자가 있는 실제 공간에 대응시키고, 가상 음원의 위치에 따라 각각의 공간 회전축 스피커가 출력하는 출력량, 위상차 그리고 회전 각도를 조절해 3차원 실감 음향을 제공한다. 공간 회전축 스피커가 회전하면서 발생하는 회전음원의 자연적인 도플러 효과와 출력 음원의 주파수 변조를 통한 인위적인 도플러 효과가 더해져 청자에게 음원의 원근감을 더욱 사실적으로 느낄 수 있는 입체 증감 음향의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 PDF

청감실험을 통한 고화질 TV set 소음평가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noise Rating of H.D. TV sets by Psycho-acoustic Experiments)

  • 이주엽;박현구;이태강;김희진;김선우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06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862-869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proper vocabularies for evaluating H.D TV set fan noise in residential condition. To achieve this goal, psycho-acoustic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with TV set fan noise modulated at specific frequency band. finally, a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vocabularies, and a factor analysis of psycho-acoustical responses were conducted. As a result of this study, followings are suggested. Analyzing the psycho-acoustical response corresponding to the various sound level, the higher the sound levels, the higher the response values were. It is estimated that the sound level determined psycho-acoustical responses. On the degree of response to fan noise, the initial level of negative feeling is located on $35{\sim}40$ dB(A). The factor of evaluating H.D. TV set fan noise has induced three the appropriate korean adjectives; Irritate, Monotonous, stuffy and dryness. The result of this study may be used to evaluate the acoustic threshold level for indoor noise or a basis for specifying the desired acoustic environment of dwellings.

  • PDF

청감실험을 통한 고화질 TV set 소음평가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Noise Evaluation of H.D. TV sets by Psycho-acoustic Experiments)

  • 이주엽;이태강;김희진;김선우
    • 한국소음진동공학회논문집
    • /
    • 제16권10호
    • /
    • pp.1014-1023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proper vocabularies for evaluating H.D TV set fan noise. To achieve this goal, psycho-acoustic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with TV set fan noise modulated at specific frequency band. Finally, a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vocabularies, and a factor analysis of psycho-acoustical responses were conducted. As a result of this study, followings are suggested. Analyzing the psycho-acoustical response corresponding to the various sound level, the higher the sound levels, the higher the response values were. It is estimated that the sound level determined psycho-acoustical responses. On the degree of response to fan noise, the initial level of negative feeling is located on $35{\sim}40$ dB(A). The factor of evaluating H.D. TV set fan noise has induced three the appropriate korean adjectives; Irritate, Monotonous, stuffy and dryness. The result of this study may be used to evaluate the acoustic threshold level for indoor noise or a basis for specifying the desired acoustic environment of dwellin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