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음영지역

Search Result 295,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The Prediction of Electric Field Intensity from DTV Transmitting Signal (DTV 송신 신호의 전계강도 예측에 대한 연구)

  • Suh, Kyoung-Whoan;Lee, Joo-Hwan;Jung, Hyuk;Choi, Sung-Wo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0.07a
    • /
    • pp.384-387
    • /
    • 2010
  • 지상파 방송이 아날로그에서 디지털 방송으로 전환됨에 따라 아날로그 TV 방송신호와 디지털 TV(DTV) 방송신호간의 생성과 복조방식이 상이함에 따라 전파환경에 의한 방송품질의 변화가 예상된다. 따라서 DTV 방송신호의 수신을 위한 전파 음영지역 해소가 품질 확보에 필수적인 관심사로 대두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대책으로 타당성 및 신뢰성 있는 전계강도 예측 방법에 근거하여 적정지역의 송신소 및 중계기 설치가 전파 품질 개선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여겨진다. 본 논문에서는 국제적으로 30 MHz ~ 3000 MHz 대역 지상파 방송서비스의 전파특성 예측에 활발히 이용되는 ITU-R 권고 P.1546 전파모델을 이용하여 점-대-지역 전계강도 예측을 위한 계산 방법을 제시하고, 수치 계산 결과를 비교 및 분석한다. 제시된 방법은 DTV 수신지역의 전계강도 예측을 통한 신호의 품질 분석은 물론, 양호한 전파환경 구축에 필요한 중계기 위치설정, 인접대역에 의한 간섭 및 양립성 분석 등에 직접 활용이 가능하다.

  • PDF

Implementation of Location Based Services Using Satellite DMB System (위성 DMB 시스템을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 구현)

  • Kwon, Seong-Geun;Lee, Suk-Hwan;Kim, Kang-Wook;Kwon, Ki-Ryong
    •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 /
    • v.15 no.1
    • /
    • pp.32-39
    • /
    • 2012
  • In this paper, the implementation of location based services (LBS) using S-DMB (satellite-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ystem was proposed. In S-DMB System, the frequency of transmitted signal is about 2 GHz which has a characteristics of strong straightness but weak diffraction so that there are many shade areas such as indoors and underground spaces. Therefore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atellite should be retransmitted by the earth repeaters called as gap filler. Because each gap filler has its own identification value, the gap filler ID introduces the area in which the gap filler was installed. Generally, the 51st data symbols of S-DMB pilo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atellite are padded by dummy value and gap filler ID is embedded in this pilot symbol by the gap filler when S-DMB signals are retransmitted by gap fillers. So using gap filler ID of S-DMB system, LBS such as region registration, distance and time to destination, alarm of local area information could be implemented. In the experiment to prove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LBS system using the gap filler ID of the S-DMB system, the firmware of S-DMB chip composing of RF and baseband parts was lightly modified so that application processor was able to manipulate the gap filler ID and the its related regional information.

Experiment on Low Light Image Enhancement and Feature Extraction Methods for Rover Exploration in Lunar Permanently Shadowed Region (달 영구음영지역에서 로버 탐사를 위한 저조도 영상강화 및 영상 특징점 추출 성능 실험)

  • Park, Jae-Min;Hong, Sungchul;Shin, Hyu-Soung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42 no.5
    • /
    • pp.741-749
    • /
    • 2022
  • Major space agencies are planning for the rover-based lunar exploration since water-ice was detected in permanently shadowed regions (PSR). Although sunlight does not directly reach the PSRs, it is expected that reflected sunlight sustains a certain level of low-light environment. In this research, the indoor testbed was made to simulate the PSR's lighting and topological conditions, to which low light enhancement methods (CLAHE, Dehaze, RetinexNet, GLADNet) were applied to restore image brightness and color as well as to investigate their influences on the performance of feature extraction and matching methods (SIFT, SURF, ORB, AKAZE). The experiment results show that GLADNet and Dehaze images in order significantly improve image brightness and color. However, the performance of the feature extraction and matching methods were improved by Dehaze and GLADNet images in order, especially for ORB and AKAZE. Thus, in the lunar exploration, Dehaze is appropriate for building 3D topographic map whereas GLADNet is adequate for geological investigation.

A study on the hybrid communication system to remove the communication shadow area for controller system of navigational aids (전파 음영지역 해소를 위한 항로표지관리용 하이브리드 통신 시스템에 관한 연구)

  • Jeon, Joong Sung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37 no.4
    • /
    • pp.409-417
    • /
    • 2013
  • Mu-communication board supported by multi-communication is designed with Atxmega 128A1 which is a low power energy consuming of 8-bit microcontroller. ATxmega128A1 microcontroller consists of 8 UART(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transmitter) ports which can be setting appropriate user interface having command line interpreter(CLI) program with each port, 2 kbytes EEPROM, 128 kbytes flash memory, 8 kbytes SRAM. 8 URAT ports are used for the multi communication modem, GPS module, etc. and EEPROM is used for saving a configuration for program running, and flash memory of 128 kbytes is used for storing a Firm Ware, and 8 kbytes SRAM is used for stack, storing memory of global variables while program running. If we uses the hybrid communication of path optimization of VHF, TRS and CDMA to remote control AtoN(aid to navigation), it is able to remove the communication shadow area. Even though there is a shadow area for individual communication method, we can select an optimum communication method. The compatibility of data has been enhanced as using of same data frame per communication devices. For the test, 8640 of data has been collected from the each buoy during 30 days in every 5 minutes and the receiving rate of the data has shown more than 99.4 %.

Localization Performance Enhancement on GPS Interfering Spot (GPS 음영지역 극복을 위한 이동로봇의 실험적 위치추정)

  • Kim, Ji-Yong;Lee, Ji-Hong;Byun, Jae-Min
    • Proceedings of the IEEK Conference
    • /
    • 2009.05a
    • /
    • pp.115-117
    • /
    • 2009
  • This paper presents localization performance enhancement on GPS interfering spot for mobile robot. Localization system applied Extended Kalman filter algorithm that utilized Diffrential GPS and odometry, inertial sensors. In this paper, different noise covariance is applied to Extended Kalman Filter according to the GPS quality. Experiment results show that proposed localization system improve considerably localization performance of mobile robots.

  • PDF

Performance of Mobile WiMAX Femtocell AP (Mobile WiMAX Femtocell 기지국의 성능 분석)

  • Hwang, Inyong;Kim, Hyungkee;Kim, Seokjo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3.11a
    • /
    • pp.230-232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실내 음영지역에서 사용되는 모바일 와이맥스의 펨토셀 기지국(WFAP; WiMAX Femtocell AP)에 대한 성능을 분석하였다. 시뮬레이션을 통해 와이맥스 펨토셀 기지국의 패킷에러율(PER), Outage, throughput을 확인하였다.

Estimation of Road Surface Freezing Section using GIS (GIS를 이용한 도로의 노면결빙구간 평가)

  • Choi Byoung-Gil;Kim Joong-Si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Conference
    • /
    • 2006.04a
    • /
    • pp.327-332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GIS 공간분석을 이용하여 음영에 따른 노면결빙예상구간을 정량적으로 평가하는데 있다 산악지역의 도로는 절토 및 터널구간이 많아서 겨울철에는 결빙구간이 발생될 우려가 있으며, 이는 교통 안전사고를 크게 야기시킬 수 있다. 따라서 도로의 기본설계에서부터 각 구간에서의 일조 환경 및 노면결빙예상구간을 정량적으로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는 분석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동해고속도로 중 약 29km구간에 대하여 3차원 모델링, 일조 시뮬레이션, 지오데이터베이스 구축, GIS 중첩 기능에 의한 공간분석을 통해 노면결빙 예상구간을 추출할 수 있었다. 연구결과, GIS를 이용할 경우 기상조건 별로 도로의 일조영향에 따른 노면결빙 예상구간을 정량적으로 추출할 수 있었으며, 연구대상지역 중 상당한 구간이 결빙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GIS를 이용한 렌더링 기법이 기존의 음영기복 방법보다 정확하며, 3차원 상에서 그림자의 변화를 시각적으로 판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향후 본 논문이 도로관련 법제도상의 노면결빙구간에 대한 규정을 제정하는데 크게 이바지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도로 설치 구조물의 배치 및 도로포장의 종류 등을 고려한 추가적인 음영구간추출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 PDF

Comparative Analysis of Growth and Development of Paddy Rice (Oryza sativa L.) by Light Intensity under Farm-type Solar Photovoltanic Power Station (추적식 영농형 태양광발전시스템 구축에 따른 음영별 하부작물 벼(Oryza sativa L.)의 생육비교)

  • Eon-Yak Kim;Ye-Jin Lee;In-Jin Kang;Hye-Min Son;Min-Ho Shin;Chang-Hyu Bae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2.09a
    • /
    • pp.85-85
    • /
    • 2022
  • 영농형 태양광발전은 태양의 일사량을 전기발전과 영농에 공유하는(solar-sharing) 방식이다. 본 연구는 신재생에너지의 활용의 극대화를 위하여 추적식 영농형 태양광발전시스템을 구축하고 시설하부에서 일정 기간 재배중인 작물의 하부 환경과 생육을 조사하여 영농형태양광 하부작물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구축한 추적식 영농형 태양광발전시스템은 4열 6단의 24장 모듈(8m × 6m)을 가지며, 발전시설 중심축 기둥 간 중심간격 14m로 단일지주식 스크루 공법으로 순천대학교 부속농장 답작포(순천시 죽평리)에 설치하여 하부 환경과 하부작물의 생육을 조사하였다. 태양광발전시설 하부작물의 생육을 조사하기 위하여 순천 농협육묘장에서 벼(신동진)를 육묘하여 2022년 6월 16일 이앙하였다. 태양광발전시스템 하부 지역을 4방위 방향에 따라 강음영(중심축으로부터 1~3m), 중음영(5m), 약음영(7~9m) 구역으로 설정하여 생육을 조사한 결과, 방위에 따른 초장은 남쪽에서 음영간 차이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1번기 태양광 발전시설에 의하여 음영이 중첩된 2번기 시설의 동쪽에서 대조구 대비 초장이 상대적으로 낮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음영강도에 따른 초장은 대체로 강음영구에서 낮게 나타났으며, 약음영구로 갈수록 높게 나타났다. 엽수는 방위에 따라서, 그리고 음영의 강도에 따른 차이가 초장에 비하여 작게 나타났다. 출수기의 경우 방위별로는 남쪽에서 음영별 차이가 작게 나타났으며, 음영강도에 따라서 차이를 보였다. 또한 태양광시설 하부에 데이터수집장치(Model 1650, Spctrum Technonogies, USA)를 설치하여 음영에 따른 토양전도도, 토양함수량, 토양온도, par light 등 생육환경을 조사, 비교하였다.

  • PDF

Cartoon Character Rendering based on Shading Capture of Concept Drawing (원화의 음영 캡쳐 기반 카툰 캐릭터 렌더링)

  • Byun, Hae-Won;Jung, Hye-Moon
    •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 /
    • v.14 no.8
    • /
    • pp.1082-1093
    • /
    • 2011
  • Traditional rendering of cartoon character cannot revive the feeling of concept drawings properly. In this paper, we propose capture technology to get toon shading model from the concept drawings and with this technique, we provide a new novel system to render 3D cartoon character. Benefits of this system is to cartoonize the 3D character according to saliency to emphasize the form of 3D character and further support the sketch-based user interface for artists to edit shading by post-production. For this, we generate texture automatically by RGB color sorting algorithm to analyze color distribution and rates of selected region. In the cartoon rendering process, we use saliency as a measure to determine visual importance of each area of 3d mesh and we provide a novel cartoon rendering algorithm based on the saliency of 3D mesh. For the fine adjustments of shading style, we propose a user interface that allow the artists to freely add and delete shading to a 3D model. Finally, this paper shows the usefulness of the proposed system through user evaluation.

Outdoor location tracking system design using vehicle and sensor information (차량 및 센서 정보를 활용한 실외 위치 추적 시스템 설계)

  • Lee, Chul-Woo;Lee, Hyun-Sup;Kim, Jin-Deo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1.05a
    • /
    • pp.217-219
    • /
    • 2011
  • 현재 차량 위치 추적 시 사용빈도가 가장 많은 방법은, 지도상에 자신의 위치를 수치로 보여주는 GPS 수신기를 사용하여 지도상 실외의 위치를 측위 한다. 위의 GPS를 이용한 내비게이션은 차량의 진행방향, 출발 도착 지점을 설정하여 차량을 운행한다. 또한 GPS 음영지역 및 신호 지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지자기센서와 가속도센서를 사용하는 시스템도 있다. 그러나 센서를 활용할 경우 차량의 방향 정보를 얻을 수 있지만 음영 및 신호 왜곡 시간이 길어질 경우 정확한 차량의 위치를 판단 할 수 없다. 즉, GPS의 신호에 오류가 있을 경우 차량의 이동거리를 알 수 없으므로 차량의 회전 정보는 효용 가치가 떨어진다. 따라서 이를 보정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차량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 GPS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차량의 속도정보와 스마트폰의 지자기센서를 활용한 실외 위치 추적 시스템과 WiFi 정보를 활용한 차량용 WPS시스템을 설계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