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음악 장르

Search Result 259,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The Adaptable Music Genre Recommendation System to The Individual Taste (개인 취향에 맞는 음악 장르 추천 시스템)

  • 강성춘;이고은;박정근;손영선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2003.09b
    • /
    • pp.114-117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가 음악을 직접 선곡하지 않고 락, 트로트, 댄스, 힙합, 발라드 등 5가지의 장르 중 사용자가 선호하는 음악의 장르를 추천하는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실시간으로 연주되는 음악에서 Bass Drum 신호를 추출ㆍ분석하여, 기본적으로 한 마디에 소요되는 시간, 주법, 진폭 등 세가지 파라메터를 이용하여 5가지 장르로 분류하였다 선택 곡 수와 들은 시간으로 퍼지 추론을 통해 각 장르에 대한 사용자 만족도를 평가한다. 평가된 만족도에 의해 사용자가 선호하는 장르의 음악을 제공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 PDF

The Content-based Genre Classification using Representative Part of Music (음악의 대표구간을 이용한 내용기반 장르 판별에 관한 연구)

  • Lee, Jong-In;Kim, Byeong-M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2008.04a
    • /
    • pp.211-214
    • /
    • 2008
  • 일부 음악 장르분류에 관한 기존 연구에서는 특징 추출을 위한 구간 선택 시 사람이 직접 음악의 주요 구간을 지정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방법은 분류 성능이 좋은 반면 수작업으로 인한 부담으로 새롭게 등록되는 음악들에 대해 지속적으로 적용하기가 곤란하다. 이러한 이유로 최근 음악 장르 분류와 관련된 연구에서는 자동으로 추출구간을 선정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는데 이러한 연구의 대부분이 고정된 구간 (예, 30초 이후의 30초 구간)에서 특징을 추출하는 관계로 분류의 정확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음악 전체 구간에 대하여 반복구간을 파악하고, 그 중 음악을 대표할 수 있는 단일 대표구간을 선정한 후, 대표구간으로 부터 특징을 추출하여 장르 분류 시스템에 적용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실험 결과, 기존 고정구간을 사용한 방법에 비해 괄목할 만한 성능 향상을 얻을 수 있었다.

  • PDF

Study on the Performance of Spectral Contrast MFCC for Musical Genre Classification (스펙트럼 대비 MFCC 특징의 음악 장르 분류 성능 분석)

  • Seo, Jin-Soo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29 no.4
    • /
    • pp.265-269
    • /
    • 2010
  • This paper proposes a novel spectral audio feature, spectral contrast MFCC (SCMFCC), and studies its performance on the musical genre classification. For a successful musical genre classifier, extracting features that allow direct access to the relevant genre-specific information is crucial. In this regard, the features based on the spectral contrast, which represents the relative distribution of the harmonic and non-harmonic components, have received increased attention. The proposed SCMFCC feature utilizes the spectral contrst on the mel-frequency cepstrum and thus conforms the conventional MFCC in a way more relevant for musical genre classification. By performing classification test on the widely used music DB, we compare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feature with that of the previous ones.

Performance Analysis of Automatic Music Genre Classification with Different Genre Data (음악 장르 분류법에 따른 자동판별 성능분석)

  • Song, Min-Kyun;Moon, Chang-Bae;Kim, Hyun-Soo;Kim, Byeong-M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1.06c
    • /
    • pp.288-291
    • /
    • 2011
  • 기존 음악 장르 분류의 경우 음악의 특징 추출 또는 기계학습을 중점적으로 연구되어왔다. 하지만 자동 분류에 필요한 장르 데이터는 음악을 제공하는 웹 사이트마다 다르고, 각 웹 사이트의 장르 분류는 해당 음악이 아닌 앨범의 장르를 표시한다. 보다 나은 자동 분류를 위해서는 일관된 장르 데이터의 제공이 필요한데,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연구의 일환으로 여러 웹사이트에서 수집한 장르 데이터에 따른 판별 성능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장르 분류 방법에 따라 신경망 학습 및 판별성능이 큰 차이가 발생하였다.

An investigation of subband decomposition and feature-dimension reduction for musical genre classification (음악 장르 분류를 위한 부밴드 분해와 특징 차수 축소에 관한 연구)

  • Seo, Jin Soo;Kim, Junghyun;Park, Jihyun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36 no.2
    • /
    • pp.144-150
    • /
    • 2017
  • Musical genre is indispensible in constructing music information retrieval system, such as music search and classification. In general, the spectral characteristics of a music signal are obtained based on a subband decomposition to represent the relative distribution of the harmonic and the non-harmonic components.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the subband decomposition parameters in extracting features, which improves musical genre classification accuracy. In addition, the linear projection methods are studied to reduce the resulting feature dimension. Experiments on the widely used music datasets confirmed that the subband decomposition finer than the widely-adopted octave scale is conducive in improving genre-classification accuracy and showed that the feature-dimension reduction is effective reducing a classifier's computational complexity.

A Study on Music Genre Help to Burn Calories (열량 소비에 도움을 주는 음악장르 연구)

  • Yoon, Ji-Sung;Bae, Myung-J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6.01a
    • /
    • pp.291-292
    • /
    • 2016
  • 비만의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비만을 치료하는 방법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운동 시 열량 소비에 더욱 도움을 주는 음악장르를 알아보는데 목적을 두었으며 6가지 장르의 음악을 선정하여 10분간 사이클을 타며 칼로리를 비교분석 하였다. 평균적으로 디스코, 댄스, 힙합음악을 들을 때 더 많은 칼로리를 소모하였다.

  • PDF

Music Recommendation System Based on User Preference Analysis Using Hidden Markov Model (은닉 마코프 모델을 이용한 사용자 선호도 분석 기반의 음악 추천 시스템)

  • Kim, Geon-Su;Lee, Dong-Hun;Yun, Tae-Bok;Lee, Ji-H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2008.04a
    • /
    • pp.56-59
    • /
    • 2008
  • 현재의 음악 서비스들의 대부분은 음악을 가수 이름이나 장르와 같은 키워드들로 구분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하지만 음악의 장르가 다양해지고, 장르별로 음악의 유형도 다양해짐에 따라 키워드 기반은 음악 제공 방법만으로는 사용자가 원하는 음악을 제공하는데 한계가 있다. 이런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음악 자체의 성질을 기반으로 음악을 분석하는 컨텐츠 기반의 음악 분석 방법이 필요하다. 또한 사용자가 원하는 음악을 제공 받을 수 있도록 사용자의 음악 선호도를 분석하여 그에 맞는 음악을 제공하는 방법도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음악의 시퀀스 정보와 특징을 추출하여 음악 모델을 구축하고, 이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음악 선호도를 분석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사용자의 선호도에 맞는 음악을 제공하기 위하여 선호도 분석 방법을 통해 음악을 추천해주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 PDF

A Study on Beginning of Soul Music in 1960's Korea Popular Music (한국 소울가요의 태동에 관한 연구 -1960년대 한국 대중음악을 중심으로-)

  • Won, Jae-Woong;Cho, Tae-Seon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1.05b
    • /
    • pp.622-625
    • /
    • 2011
  • 1960년대 한국의 대중음악은 미국을 중심으로 한 서구음악의 유입과 음악 감상실의 유행, 방송국 개국 등의 많은 환경적 변화를 통하여 크게 발전하였다. 1960년대 초반에는 서양식 유행가와 일본식 유행가라는 2가지 장르의 가요가 인기를 끌었고, 1960년대 후반에는 로큰롤, 록, 소울, 포크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장르의 음악이 고르게 성장했다. 본 연구는 1960년대 음악적 사회적 환경의 변화와 당시 유행했던 곡들을 중심으로 다양한 가요장르의발전에 대해 살펴보는 연구이다.

  • PDF

Deep Learning Music Genre Classification System Model Improvement Using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s (GAN) (생성적 적대 신경망(GAN)을 이용한 딥러닝 음악 장르 분류 시스템 모델 개선)

  • Bae, Ju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24 no.7
    • /
    • pp.842-848
    • /
    • 2020
  • Music markets have entered the era of streaming. In order to select and propose music that suits the taste of music consumers, there is an active demand and research on an automatic music genre classification system. We propose a method to improve the accuracy of genre unclassified songs, which was a lack of the previous system, by using a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 (GAN) to further develop the automatic voting system for deep learning music genre using Softmax proposed in the previous paper. In the previous study, if the spectrogram of the song was ambiguous to grasp the genre of the song, it was forced to leave it as an unclassified song. In this paper, we proposed a system that increases the accuracy of genre classification of unclassified songs by converting the spectrogram of unclassified songs into an easy-to-read spectrogram using GAN. And the result of the experiment was able to derive an excellent result compared to the existing method.

A Study on the Location of Game-themed Music by PC Game Genre : Focusing on types of music, structural elements of music, and images (PC게임 장르에 따른 게임 테마음악의 위치화 연구 : 음악종류, 음악의 구조적 요소, 이미지를 중심으로)

  • Park, Kwan-Ik;Hwang, Kyung-Ho;Lee, Hyung-Seok
    •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 /
    • v.20 no.2
    • /
    • pp.75-90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functional role of music, which is one of the main elements that make up PC games. To this end, theme music by genre of PC game was divided through analysis and then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was analyzed by visually positioning the distance between 'music type', 'structural element of music' and 'image' using multiple correspondence matching analysis.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location between the types of music by game genre, the structural elements of music,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im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