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음악생리학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3초

리드믹, 음악생리학과 음악인의학, 행위예술과학을 중심으로 본 디지털 융복합 교육의 방향성 연구 (A Study on the Direction of Digital Convergence and Multidisciplinary Education based on Rhythmik, Music Physiology and Musicians' Medicine, Performance Science)

  • 엄희정;김희철;노경원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3권12호
    • /
    • pp.1726-1733
    • /
    • 2019
  • 움직임은 삶의 모든 것이며 음악은 우리의 전반적인 삶과 함께하고 있다. 움직임과 소리를 바탕으로 탄생한 예술은 기술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발전하며 시대를 반영해 왔으며 디지털 시대에 새로운 문화콘텐츠를 만들어가고 있다. 융합 예술과 교육에 있어 음악과 신체의 움직임이 접목되는 빈도에 비해 다양한 분야의 학문적 지식과 경험을 가진 전문가와 연구기관의 부재는 현실적 문제이다. 외국 대학의 선례를 통해 음악, 움직임을 구성하는 가장 기초적인 원리인 '리듬'을 연구하는 학문인 리드믹을 소개하고 함께 연구되는 분야인 음악생리학과 음악인의학 그리고 행위예술과학에 대해 살펴보며 국내 도입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격변하는 디지털 시대에 유일하게 '나 자신'이 주체가 되는 움직임을 생리학과 의학을 통해 체계적으로 인지하고 음악을 매개체로 과학적으로 움직이고 표현하는 연구 분야를 개척해 융합시대와 교육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한다.

정신병원 치유정원의 음경관 디자인을 위한 소리효과 분석 - 심리적 및 생리적 효과를 중심으로 - (Analyses on Sound Effects for Soundscape Design of Healing Garden at Psychiatric Hospitals - Focused Psychological and Physiological Effects -)

  • 안득수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82-95
    • /
    • 2015
  • 본 연구는 정신질환자에 대한 청각적 요소의 심리적, 생리적 영향을 분석하여 정신병원 치유정원의 음경관 조성을 위한가이드라인을 얻는데목적이있다. 피실험자는전라북도에소재한정신병원의입원환자중주치의의추천을받은경증의 정신분열증 환자 27명을 대상으로 했으며, 조사는 2011년 10월에 이루어졌다. 조사는 피실험자에게 물소리, 새소리, 풍경소리 및 음악소리 등의 단일음과 이들의 일부로 구성된 4개의 복합음을 각각 들려주고, 뇌파 및 심리적 효과를 측정하였다. 물소리는 기분 좋고 활기를 불어넣을 수 있는 이미지로, 새소리는 듣기 좋고 유쾌한 소리로 인식되어 정신병원의 치유정원을 설계할 때에는 반드시 소리의 활력성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물소리는 선호도도 높고, 심리적 활력성에 미치는 영향도 여타의 단일음 보다 탁월하다. 마음의 평정심에는 음악소리가 큰 영향을 미치며, 물소리는 심리적 활력성과 평정심에 모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심리적 영향에 대한 단일음과 복합음을 비교하면 활력성에는 물소리, 평정심에는 음악소리와 같이 단일음이 복합음보다 영향력이 크다. 복합음에 대한 선호도는 물소리와 새소리로 구성된 복합음이 상대적으로 높고, 대체적으로 물소리가 포함된 복합음이 선호되었다. 단일음에 대한 생리적 반응을 분석한 결과, 마음의 평정심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물소리나 새소리의 자연음보다는 인공음인 음악소리가 더 효과적이다. 생리적 반응에 있어서 평정심을 고취시키기 위하여 복합음을 도입할 경우에는 음악소리와 새소리 또는 음악소리와 물소리를 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복합음보다 단일음인 음악소리가 가장 효과적이다. 심리적 반응 및 생리적 반응을 종합적으로 분석하면 마음을 가장 평온하게 하는 것은 음악소리와 물소리이며, 가장 큰 활력을 불어 넣는 것은 물소리이다.

음악선호도에 따른 음악요법이 여대생의 생리적, 심리적 변수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Music Therapy on the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Status of Women College Students Based on Their Preference of Music)

  • 정현철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321-330
    • /
    • 2008
  • Purpose: This study was intended to determine how the choice of music affects the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status of women college student during music therapy. Methods: A nonequivalent experimenta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used. 19 out of 54 subjects were assigned to listen to their favorite music and 17 to their unfavorite music for 20 minutes using MP3 players and headphones. Anxiety, blood pressure, pulse and blood glucose levels of the subjects were measured before treatment. The data was analyzed by Mann-Whitney and Wilcoxon signed rank test using the SPSS/WIN 10.0 program. Results: The result showed that systolic blood pressure, blood glucose and anxiety level decreased significantly in the favorite music group. however systolic blood pressure, pulse rate and anxiety level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 unfavorite music group. The favorite music group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level of satisfaction than the unfavorite music group. Conclusion: Choice of music affects the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status of an individual. Favorite music listening would enhance the effect of music therapy. Therefore, selection of music must be considered in light of the subject's preference and characteristics.

  • PDF

콘서트홀 음향 - 음악과 홀을 융합시키는 물리학, 생리학, 심리학 - (CONCERT HALL ACOUSTICS - Physics, Physiology and Psychology fusing Music and Hall -)

  • 안도요이찌
    • 한국음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음향학회 1992년도 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제11권 1호
    • /
    • pp.3-8
    • /
    • 1992
  • The theory of subjective preference with temporal and spatial factors which include sound signals arriving at both ears is described. Then, auditory evoked potentials which may relate to a primitive subjective response namely subjective preference are discussed. According to such fundamental phenomena, a workable model of human auditory-brain system is proposed. For eample, important subjective attributes, such as loudness, coloration, threshold of preception of a reflection and echo distrubance as well as subjective preference in relation to the initial time delay gap between the direct sound and the first reflection, and the subsequent reverberation time are well described by the autocorrelation function of source signals. Speech clarity, subjective diffuseness as well as subjective preference are related to the magnitude of inter-aural crosscorrelation function (IACC). Even the caktail party effects may be eplained by spatialization of human brain, i.e., independence of temporal and spatial factors.

  • PDF

조신(調神)을 통한 질병(疾病) 치료(治療) 연구(硏究) (I) -관어이조신치료질병적연구(關於以調神治療疾病的硏究)(I)-

  • 정호진;백유상;정창현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18권4호통권31호
    • /
    • pp.27-43
    • /
    • 2005
  • 통과대(通過對)${\ulcorner}$내경(內經)${\lrcorner}$ 중출현적조신적개념급용조신치병적방법적연구(中出現的調神的槪念及用調神治病的方法的硏究), 득출여하결론(得出如下結論): 조신이양생지의(調神以養生之意), 용우지금(用于至今). ${\ulcorner}$내경(內經)${\lrcorner}$중신지의(中神之意), 우기표현위여우주자연지신(尤其表現爲與宇宙自然之神)[천신(天神)]상응적인체지신(相應的人體之神)[인신(人神)]상(上), 즉천인상응적사상교위돌출(卽天人相應的思想較爲突出) 형신상호관계상(形神相互關係上), 재유지형신합일적사상적동시(在維持形神合一的思想的同時), 비기양형경가중시어조신(比起養形更加重視於調神). 재양생방면(在養生方面), 조신의조시간급공간(調神依照時間及空間), 분위사시조신화오장신조신(分爲四時調神和五臟神調神). ${\ulcorner}$소문(素問).사기조신대론(四氣調神大論)${\lrcorner}$적요지시이사시출현적자연계적변화규율(的要旨是以四時出現的自然界的變化規律), 응대청정적우주정신래수련신심(應對淸靜的宇宙精神來修練身心). ‘이념요법(移念療法)’시통과개변재인체오장내정기적운행위치(是通過改變在人體五臟內精氣的運行位置), 진행치료적방법(進行治療的方法). 기내용개괄료기타각종정신요법(其內容槪括了其他各種精神療法). 대지언고론요법적한의학해석(對至言高論療法的韓醫學解釋), 불시이이유오행혹음양이론작위의거(不是以已有五行或陰陽理論作爲依據), 이시가종사상의학중조도. 기원인시사상의학적출발점(其原因是四象醫學的出發點), 불시이단순적육체무병작위기목적(不是以單純的肉體無病作爲其目的). 저일점(這一點), 종명확지표현재수세보원적성명사단론중(從明確地表現在壽世保元的性命四端論中). 대생리병리독특적유심론관(對生理病理獨特的唯心論觀), 시이제마선생탁월관점(是李濟馬先生卓越觀点). 한방음악치료초월료이행동주의심리학위중심(韓方音樂治療超越了以行動主義心理學爲中心), 발전기래적기유적음악요법적국한성(發展起來的旣有的音樂療法的局限性), 약여약물(若與藥物), 침구치료병용(鍼灸治療倂用), 불근가이치료신경정신질환(不僅可以治療神經精神疾患), 환가이치료기타각종신체질환(還可以治療其他各種身體疾患). 기공시이응신(氣功是以凝神), 의수(意守), 의념등표현(意念等表現), 작위기주요조신방법적일종수신법(作爲其主要調神方法的一種修身法).

  • PDF

국민학교(國民學校) 교과서내(敎科書內)의 보건교육내용(保健敎育內容) 및 그 습득도(習得度) (Contents of Health Education for Pupils and the Perceptibility after Graduation of Primary School)

  • 전보윤;김두희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18권1호
    • /
    • pp.99-112
    • /
    • 1985
  • 보건교육(保健敎育)에 관한 상태(狀態)를 파악(把握)하기 위하여 국민학교과정(國民學校過程)을 대상(對象)으로 보건관계(保健關係) 사항(事項)들을 조사(調査)하고 그 과정(過程)을 이수(履修)한 중학교(中學校) 입학직후(入學直後)의 보건지식(保健知識) 수준(水準)을 측정(測定)하였다. 보건지식(保健知識) 측정(測定)은 표준, 동아 수련장에서 선택(選擇)한 문제(問題)로 50개(個) 문항(問項)을 택(擇)한 설문지(設問紙)를 담임교사를 통(通)하여 설문(設問) 하였으며 총(總) 대상학생수(對象學生數)는 도시학생(都市學生) 491명(名) 농촌학생(農村學生) 468명(名), 총(總) 959명(名)으로 1984년(年) 4월(月) 10일(日)부터 5월(月) 10일(日) 사이에 실시(實施)하였다. 국민학교(國民學校) 전(全) 학년(學年), 전(全) 과목(科目)에서의 보건(保健)에 관한 항목(項目)은 총(總) 782건(件)으로 내용적(內容的)으로 분류(分類)해 보면 정신보건(精神保健)과 운동(運動) 및 휴식(休息) 에 관한 건(件)이 가장 많고, 다음으로 환경보건(環境保健), 보건생활(保健生活)이며, 사고(事故), 개인위생(個人衛生), 영양(營養) 및 음식(飮食), 사회의학(社會醫學) 및 보건기구(保健機構), 생리학(生理學) 및 해부학(解剖學), 보학통계(保學統計), 인구문제(人口問題), 질병관리(疾病管理), 식품위생(食品衛生), 학교보건(學校保健), 기생충(寄生蟲) 및 전염병관리(傳染病管理), 우생학(優生學) 및 유전학(遺傳學) 순(順)이었다. 학과목별(學科目別)로 보면 국어(國語)에는 총(總) 114건중(件中) 정신보건(精神保健)이 44.7%, 가장 많이 포함(包含)되고, 산수(算數)에는 총(總) 26건중(件中) 보건통계(保健統計)가 46.4%로, 사회(社會)에는 총(總) 118건중(件中) 환경보건(環境保健)이 23.1%로, 자연(自然)에 있어서는 총(總) 30건중(件中) 생리학(生理學) 및 해부학(解剖學)이 60.1%로, 도덕(道德)에는 총(總) 176건중(件中) 정신보건(精神保健)이 40.3%로, 음악(音樂)에 있어서는 총(總) 23건중(件中)에 정신보건(精神保健), 사고(事故)가 각각(各各) 21.8%씩 차지했고 미술(美術)에는 총(總) 28건중(件中) 운동(運動) 및 휴식(休息)이 42.9%로, 체육(體育)에는 총(總) 201건중(件中) 운동(運動) 및 휴식(休息)이 38.6%로, 실과(實科)에 있어서는 총(總) 61건중(件中) 영양(營養) 및 음식(陰食)이 36.2%로 가장 많이 포함(包含)되어 있었으며 국사(國史)에는 사회의학(社會醫學) 및 보건기구(保健機構) 뿐 다른것은 없었다. 보건사항(保健事項)의 總(總) 건수중(件數中) 과목별(科目別)로 보면 체육(體育) 25.8%, 도덕(道德) 22.5%, 사회(社會) 15.1%, 국어(國語) 14.6%, 실과(實科) 7.8%, 자연(自然) 3.8%, 미술(美術) 3.6%, 산수(算數) 3.3%, 음악(音樂) 2.9%, 국사(國史) 0.6%의 순(順)이었다. 전학년별(全學年別)로는 6학년(學年) 29.1%, 4학년(學年) 21.2%, 5학년(學年) 18.9%, 3학년(學年) 11.6%, 1학년(學年) 11.5%, 2학년(學年)의 7.7%의 순(順)이었다. 보건문제(保健問題)가 관련된 과(課)는 평균(平均) 35.4%이었으며 학년별(學年別)로 보면 4학년(學年), 6학년(學年)이 각각(各各) 38.2%로 최고(最高)였고 2학년(學年)이 29.3%로 최하(最下)였다. 체육(體育)에는 전(全) 과(課)에 포함(包含)되어 있었다. 보건(保健)에 관한 지식습득도(知識習得度)로 보면 도시학생(都市學生)의 평균점수(平均點數)는 56.3점(點)이고 농촌학생(農村學生)의 평균(平均)은 53.9점(點)으로써 두 집단간(集團間)의 지식습득도(知識習得度)에는 유의(有意)한 차(差)가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