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음악

Search Result 2,894,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Music Recommendation System Based on User Preference Analysis Using Hidden Markov Model (은닉 마코프 모델을 이용한 사용자 선호도 분석 기반의 음악 추천 시스템)

  • Kim, Geon-Su;Lee, Dong-Hun;Yun, Tae-Bok;Lee, Ji-H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2008.04a
    • /
    • pp.56-59
    • /
    • 2008
  • 현재의 음악 서비스들의 대부분은 음악을 가수 이름이나 장르와 같은 키워드들로 구분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하지만 음악의 장르가 다양해지고, 장르별로 음악의 유형도 다양해짐에 따라 키워드 기반은 음악 제공 방법만으로는 사용자가 원하는 음악을 제공하는데 한계가 있다. 이런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음악 자체의 성질을 기반으로 음악을 분석하는 컨텐츠 기반의 음악 분석 방법이 필요하다. 또한 사용자가 원하는 음악을 제공 받을 수 있도록 사용자의 음악 선호도를 분석하여 그에 맞는 음악을 제공하는 방법도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음악의 시퀀스 정보와 특징을 추출하여 음악 모델을 구축하고, 이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음악 선호도를 분석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사용자의 선호도에 맞는 음악을 제공하기 위하여 선호도 분석 방법을 통해 음악을 추천해주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 PDF

Multi-Modal Scheme for Music Mood Classification (멀티 모달 음악 무드 분류 기법)

  • Choi, Hong-Gu;Jun, Sang-Hoon;Hwang, Een-J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1.06a
    • /
    • pp.259-262
    • /
    • 2011
  • 최근 들어 소리의 세기나 하모니, 템포, 리듬 등의 다양한 음악 신호 특성을 기반으로 한 음악 무드 분류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음악 무드 분류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하여 음악 신호 특성과 더불어 노래 가사와 소셜 네트워크 상에서의 사용자 평가 등을 함께 고려하는 멀티 모달 음악 무드 분류 기법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우선 음악 신호 특성에 대해 퍼지 추론 기반의 음악 무드 추출 기법을 적용하여 다수의 가능한 음악 무드를 추출한다. 다음으로 음악 가사에 대해 TF-IDF 기법을 적용하여 대표 감정 키워드를 추출하고 학습시킨 가사 무드 분류기를 사용하여 가사 음악 무드를 추출한다. 마지막으로 소셜 네트워크 상에서의 사용자 태그 등 사용자 피드백을 통한 음악 무드를 추출한다. 특정 음악에 대해 이러한 다양한 경로를 통한 음악 무드를 교차 분석하여 최종적으로 음악 무드를 결정한다. 음악 분류를 기반한 자동 음악 추천을 수행하는 사용자 만족도 평가 실험을 통해서 제안하는 기법의 효율성을 검증한다.

An explorative study on the perceived emotion of music: according to cognitive styles of music listening (음악정서인식에 대한 탐색 연구: 음악인지유형 중심으로)

  • Choi, Jin Hee;Chong, Hyun Ju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40 no.4
    • /
    • pp.290-296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erceived emotion of music according to cognitive styles of music listening. A total of 91 music-related graduate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y were given a questionnaire about perceived emotions of music, musical elements, and Music Empathizing-Music Systemizing Inventory. To analyze statistically, Descriptive statistics, paired t-test, ANalysis Of VAriance (ANOVA), multi-variate analysis, and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Results showed that participants had relatively universal experience in perceived emotions of both types of music, and also showed that musical elements contributed to the experience differed by cognitive styles of music listening.

Feature Extraction and Search for Broadcasting Background Music Identification in A Large-Scale Music DB (대규모 음악 DB에서 방송 배경음악 식별을 위한 특징 추출 및 검색)

  • Park, Jihyun;Kim, Junghyun;Kim, Hyemi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20.07a
    • /
    • pp.605-606
    • /
    • 2020
  • 최근 방송 사용 음악에 대한 저작권료 배분의 투명성을 위하여 방송음악 식별 기술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음악 DNA라 부르는 음악의 신호적 특징을 이용하는 기존의 음악식별 기술이 존재하지만, 방송 배경음악의 특성으로 인해 방송 사용 음악 식별에 그대로 활용하기는 어렵다. 방송이나 영화에 사용되는 배경음악은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주로 소비하는 가요나 팝과 같은 음악과 비교하여 그 수가 매우 많고, 하나의 음악 테마에 대하여 조금씩 다르게 편곡한 유사 음악들이 다수 존재한다. 즉, 방송 배경음악을 식별을 위해서는 유사한 음악이 많은 대규모 음악 DB를 대상으로 잡음이 섞여 있는 음악을 식별하여야 한다. 한편, 대부분의 음악 식별 시스템은 빠른 검색을 위하여 모든 데이터를 메모리에 올려두고 처리하는 방식으로 동작하는데, 대규모 음악 DB를 지원하기 위해서는 시스템 자원을 적게 사용하면서도 식별율이 떨어지지 않는 특징 추출 파라미터와 인덱싱 파라미터를 찾는 것이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요구사항을 만족하는 배경음악 특징의 추출방법과 이 특징을 효율적으로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검색 구조를 기술한다.

  • PDF

An Analysis on the Application of Korean Traditional Music to Film (한국 전통 음악 어법을 활용한 영화 음악의 연구)

  • Chung, Soo-Hyun;Chang, Min-Ho
    • Journal of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 /
    • v.13 no.7
    • /
    • pp.247-259
    • /
    • 2019
  • This study aims to develop Korean film music by using Korean traditional music with proper technique. As of 2019, current Korean film music is mostly modeled after Western music. The usage of traditional music instruments i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usage of western instruments and is merely used in Korean historical movies as embedded music. This supports the many views that Korean traditional music seems too difficult to appeal to the general audience in these modern times. Furthermore, there aren't any such cases to apply traditional music techniques to western instruments whereas there have been many occasions where traditional music instruments imitate western instruments with its tones. The suspected reason for this is due to the lack of proper understanding and techniques of traditional music that Korean film composers have utilized, and its limited exposure in popular music. However, traditions are special and unique way to represent the history, culture, lifestyle and characteristic of countries. Therefore, it is our duty to protect our own traditions. As both a Korean, and as a musician, new film music is needed which uses traditional music instruments and its techniques. When film composers create music with better understanding of Korean traditional music, this unique music will be able to transcend borders and spread throughout the world.

Use of Music Technology in Music Therapy (음악치료에서의 음악테크놀로지 활용)

  • Park, Ye Seul
    • Journal of Music and Human Behavior
    • /
    • v.12 no.2
    • /
    • pp.61-77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music therapists'use and perception of computer-based music technology.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either electronically or in-person to 367 music therapists with credentials. Of the 367 initially distributed questionnaires, 101 were returned and 61 were analyzed after excluding 40 incomplete responses. The survey was comprised of two sections: the use of music technology and perceived importance of music technology in music therapy practice. The results showed that 65.6% of the respondents had used music technology in their clinical practice. The most frequently used type of music technology was Finale, followed by Garage band, and Cubase. With regard to the areas where music technology was used, it was implemented primarily for adolescents for musical or emotional goals, and was applied most frequently as a musical resource. In addition, most respondents showed a positive attitude toward music technology and added that they would need to be trained to use music technology for their clinical practice. These results provide practical information on how music therapists use and perceive computer-based music technology, and its implication for music therapy clinical practice.

Ordinary Life Plays as Musical Activities - Objectives and Methods (음악활동으로서의 일상생활놀이 - 교육목표 및 방법)

  • Rho, Joohee
    • Journal of Music and Human Behavior
    • /
    • v.2 no.1
    • /
    • pp.47-65
    • /
    • 2005
  • One of important goals for early childhood music learning program is to build a positive attitude toward music. Positive attitude toward music is a basic condition on effective music education for all ages of children including early childhood. Although scholars realize such importance of positive music attitude, much research for creating educational environment to foster a positive music attitude has not been performed. Edwin E. Gordon who found a music learning theory for early childhood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enriched musical environment. Very young children should be provided best quality of music in an interactive way. Audie's important method of education is to provide young children with a variety of musical activities containing the materials in the ordinary life. Through this method, children accept music as close as friends who are always beside themselves, which naturally builds a solid foundation for audiation for children.

  • PDF

Automatic Musical Fountain Scenario Generation using Example-based approach (예제기반 방식을 이용한 자동 음악분수 시나리오 생성)

  • Yoo, Min-Joon;Lee, In-K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8.06b
    • /
    • pp.135-140
    • /
    • 2008
  • 최근 주변에서 다양한 음악분수를 찾아볼 수 있다. 음악분수의 연출을 위해서는 음악과 동기화되는 물의 움직임을 정의하는 음악분수 시나리오가 요구된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이러한 시나리오는 전문가들에 의하여 생성되기 때문에, 비용적인 문제로 인하여 다양한 음악에 대한 시나리오가 생성되지 못하고 있는 현실이다. 본 논문에서는 예제 기반 방식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음악 분수의 시나리오를 생성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즉 기존에 전문가들에 의하여 생성되었던 음악분수의 시나리오를 분석하여 데이터베이스화 시킨 후, 이를 새롭게 합성하여 시나리오를 생성한다. 또한 음악분수 시나리오 생성에서 중요하게 요구되는 음악과 물 모양의 동기화를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임의의 음악이 들어왔을 때, 이 음악의 비트를 추출한 후 비트를 단위로 시나리오를 합성하게 된다. 사용자 실험결과 본 기술에 의하여 자동 생성된 시나리오는 전문가가 생성한 시나리오와 큰 차이가 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본 기술을 이용하면 음악분수 시나리오를 생성할 때 요구되는 시간을 크게 줄일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음악분수의 유지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다.

  • PDF

Background Music Identification in TV Broadcasting Program Algorithm using Audio Peak Detection (오디오 피크 검출을 적용한 TV 방송 프로그램 내 배경음악 식별 알고리즘)

  • Lee, Jung-Sung;Kim, Hyoung-Go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3.06a
    • /
    • pp.34-35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오디오 피크 검출을 적용한 TV 방송 프로그램내 배경음악 식별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한 알고리즘은 음악 핑거프린트 추출 및 전송부, 음악구간 검출부, 음악 핑거프린트는 고속 매칭 및 정보전송부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음악 핑거프린트 추출 및 전송부에서는 음악 원음 오디오 데이터를 퓨리에 변환하여 스펙트럼 계수를 추출한다. 추출된 스펙트럼의 성분 중에서 일정한 문턱값 이상의 에너지를 가지는 값을 피크로 검출하고 검출된 피크를 이용하이 핑거프린트를 생성하고 데이터 베이스화한다. 음악구간 검출부에서는 입력된 방송 프로그램 오디오 데이터에 GMM(Gaussian Mixture Model)을 적용하여 음악과 음악 외 오디오 데이터를 분류한다. 음악 핑거프린트 고속 매칭 및 정보전송부에서는 음악구간이라고 인식된 쿼리 오디오 데이터를 음악 핑거프린트 추출 및 전송부와 동일한 과정을 통해 핑거프린트를 생성하고 데이터 베이스화된 음악 원음의 핑거프린트들과 비교하여 가장 유사한 음원의 정보를 TV의 화면에 자막으로 보여준다.

  • PDF

Music Recall Technique for Affect Modification using Stimulative-Sedative Music : Case Study of Anorexia Nervosa (자극성-진정성 음악을 이용한 부적 정서 조절의 음악회상기법 (Music Recall Technique) : 신경성 식욕부진증 환자의 사례 연구)

  • Gill, Su Yeon
    • Journal of Music and Human Behavior
    • /
    • v.2 no.1
    • /
    • pp.1-15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Music Recall Technique for affect modification using programmed series of classical music, and further to apply the technique as therapeutic intervention for clients with anorexia nervosa. Music Recall Technique is composed of two sub-technique: first one is 'Music Recall(MR)' which is the way to reproduce of existing music on one's head and mind after listening to the music, and second intervention is 'Creative Music Recall(CMR)' which is the way to modify the exposed musical pieces or newly learned musical pieces. A client with anorexia nervosa with severe anxiety, anger and depression participated in this case study. The MRT is implemented in different stages pertaining to client's level of utilizing the music recall skill for the period of 10 sessions. Situations eliciting negative emotions were identified and music recalling was reinforced for the pertaining situation in order for the negative emotion to be coped and reduced by the end of session time. The client participated for 10 sessions, and was asked to fill out self-report on the affect change using MRT. Visual Analogue Scale was used for pre and post test for each session to measure the self perceived level of negative affect.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was also used to measure the anxiety level following the implementation of MRT. As results, negative emotions, such as anxiety, anger and depression were modified during stimulative-sedative music recall process. These negative emotions were decreased mostly during stimulative MR, especially, in the beginning process. Each negative affect on negative situation measured by VAS during each and entire session have been decreased. Negative emotion measured by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state-trait anger expression inventory, and hopelessness-depression inventory were decreased as well. The results suggest that stimulative music using contemporary classic music was effective in reduction and modification of negative affect such as anxiety, anger and depression. It shows that Music Recall Technique can be a meaningful intervention for affect modification, and further it can be utilized as self-help in the outside of music therapy setting.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