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Analysis on the Application of Korean Traditional Music to Film

한국 전통 음악 어법을 활용한 영화 음악의 연구

  • 정수현 (상명대학교 뉴미디어음악학과) ;
  • 장민호 (상명대학교 뉴미디어음악학과)
  • Received : 2019.09.23
  • Accepted : 2019.10.28
  • Published : 2019.10.31

Abstract

This study aims to develop Korean film music by using Korean traditional music with proper technique. As of 2019, current Korean film music is mostly modeled after Western music. The usage of traditional music instruments i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usage of western instruments and is merely used in Korean historical movies as embedded music. This supports the many views that Korean traditional music seems too difficult to appeal to the general audience in these modern times. Furthermore, there aren't any such cases to apply traditional music techniques to western instruments whereas there have been many occasions where traditional music instruments imitate western instruments with its tones. The suspected reason for this is due to the lack of proper understanding and techniques of traditional music that Korean film composers have utilized, and its limited exposure in popular music. However, traditions are special and unique way to represent the history, culture, lifestyle and characteristic of countries. Therefore, it is our duty to protect our own traditions. As both a Korean, and as a musician, new film music is needed which uses traditional music instruments and its techniques. When film composers create music with better understanding of Korean traditional music, this unique music will be able to transcend borders and spread throughout the world.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 전통 음악의 어법을 활용하여 영화 음악을 발전시키기 위함이다. 2019년 현재 한국 영화 음악은 대부분 서양 악기 기반으로 만들어진다. 전통 음악이 쓰이는 빈도수를 확인해 보면, 서양 악기 기반의 음악보다 철저히 적음을 알 수 있으며, 1980년대 이전까지 한국 영화에서 다양하게 쓰이던 전통 악기와 전통 음악조차, 이제는 사극에서 내재적 음악으로 사용되는 데에 그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그리하여 전통 음악은 대중적으로 다가가기에 어렵다고 보는 관점이 많아지고 있으며, 많은 창작 음악 중에서도 영화 음악에는 거의 등장하지 않는다. 더 나아가 전통 악기의 음색을 사용하여 서양 악기를 흉내 내는 경우는 많은 반면, 전통 선법이나 장단, 시김새 등 전통 어법을 양악기로 연주하는 경우는 극히 드물다. 이는 필히 영화 음악을 작곡하는 음악가들의 전통 음악 어법이나 선법에 대한 제대로 된 이해가 부족함이 있을 것이며, 요즘의 음악 흐름에 전통 음악이 없기에 굳이 시도하지 않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하지만'전통'은, 그 나라의 역사와 문화, 생활, 성격 등을 모두 아우르며 그 민족을 나타내는 고유하고 특수한 것이다. 현재 디즈니사 영화나 할리우드 영화 등 세계적으로 유명한 영화를 살펴보면, 각 나라의 민속 음악을 활용하여 다양한 색채를 나타내는 월드 뮤직 형식이 많이 등장함을 알 수 있다. 이는 민속적인 색깔을 드러냄으로써 그 나라의 문화를 알리는 데 크게 일조한다. 하지만 한국의 색깔을 드러내는 영화나 음악은 찾아볼 수 없음이 현실이다. 이에 필자는 전통을 지켜내고자 하는 한국인으로서, 그리고 음악가로서 영화 음악에서 전통 어법을 사용한 음악이 필요하다는 것을 제안하였다. 제안 근거로 세계적으로 나라의 문화를 알리는데 일조한 중국 음악계의 '뉴웨이브' 양식과, 전통 어법이 서양 악기 양식으로 융화된 '탄둔'의 '와호장룡' 영화 음악을 예로 살펴보고, 그 음악으로 인한 효과를 한국 전통 음악에 대입했을 때도 훌륭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을 것임을 증명하였다. 그를 통하여 영화 음악 작곡가들이 전통 음악을 더 잘 이해하고 하나의 음악을 만들어 내었을 때, 한국인만이 할 수 있는 가치 있는 음악이 완성되어 한국을 넘어 세계로 뻗어져 나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4차 산업혁명을 살아가고 있는 현재 그리고 미래에 우리의 목소리를 더 낼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