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음극

Search Result 1,185,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Cathode Power Development of Hall Thruster for Small Satellite using Microwave cathode (마이크로웨이브 음극을 이용한 소형 인공위성의 홀 추력기용 음극전원 개발)

  • Kang, Seokhyun;Choo, Wongyo;Choi, Junku;Jeong, Yunhwang;Kim, Younho;Kang, Seongmin;Kuninaka, Hitoshi;Cha, Hanju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42 no.11
    • /
    • pp.974-980
    • /
    • 2014
  • A power supply of cathode has been developed for hall-effect thruster for small satellite. A microwave cathode has been applied to the electric propulsion system and cathode power is necessary in oder to work securely. Anode current is varied by a flow rate controlled by anode tank pressure. Then cathode current has to be controled in proportion by anode current. So cathode power supply has been designed to offer a current proportional to anode current. Also cathode power has been tuned to work securely for cathode to emit more electron than anode within 0.03A. The function test of cathode power was performed by constructing an equivalent load for anode and cathode. It has been tested in a vacuum chamber in order to ensure a stable operation of the thruster. And it was confirmed that thruster normally has been operated in the space environment after the launch.

Nano Plasma Electrode by FIB and its application (FIB로 제작된 나노 플라즈마의 응용)

  • 박기완;이태일;백홍구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Machine Tool Engineers Conference
    • /
    • 2004.04a
    • /
    • pp.487-489
    • /
    • 2004
  • 마이크로 사이즈 공음극 플라즈마 전극에 대한 제작 및 방전 실험을 진행하였다. 방전 전극은 200~500 um의 hole 형상을 제작하였으며 70~850 torr He 분위기에서 방전 실험하였다. 실험 샘플은 막힌 공음극 형상과, 관통된 공음극 두가지 형상을 실험하였다. 마이크로 공음극 플라즈마의 공음극 크기에 따른 결과에서 사이즈가 작을수록 총 전류 값은 낮아지나, 전류 밀도는 증가하였다. 막힌 공음극에서는 양저항 특성을, 관통된 공음극에서는 부저항 결과를 얻었다.

  • PDF

EFFECT OF MAGNETIC FIELD STRUCTURE NEAR CATHODE ON THE ARC SPOT STABILITY OF FILTERED VACUUM ARC SOURCE OF GRAPHITE (자장 여과 진공 아크 소스에서 음극 부근의 자기장에 따른 아크 스팟 안정성 연구)

  • 김종국;이광렬;은광용;정기형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1999.07a
    • /
    • pp.138-138
    • /
    • 1999
  • 자장 여과 진공 아크법(Filtered Vacuum Arc :FVA)에 의해 증착된 비정질 다이아몬드 박막은 기계적, 광학적 특성이 매우 우수하여 많은 연구자들의 관심의 대상이 되어 왔다. 그러나 아크의 불안정성은 자장 여과 아크 소스의 연속적인 운전을 제한하고, 결과적으로 낮은 생산성을 가져왔다. 본 연구에서는 음극의 형태 및 음극 부근에서의 자기장의 구조를 음극 부식 거동의 관점에서 수치모사 및 실험을 통해서 조사하였다. 소스 전자석과 인출 전자석의 자극 방향이 평행하게 된 구조에서 (magnetic mirror configuration), 음극 후면에 반대 방향의 자극을 가지는 영구자석을 돔으로서 아크 불안정성을 억제할 수 있었다. 또한 소스 전자석에 진동하는 전류를 인가함으로써 아크 스팟의 운동 면적을 효과적으로 확장할 수 있었다. 시간 변화에 따른 빔 전류의 변화로부터 테이프형 음극이 우물형 음극에 비하여 더 안정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진동하는 소스 전자석의 전류와 직경 80mm의 테이퍼형 음극을 사용하여, 아크 전류 60A에서 약 2000분 동안 사용하였으며, 이때 부식된 부피는 사용 가능한 음극 부피의 약 90%였다. 그리고 약 350mA의 안정한 빔 전류를 현재의 조건에서 얻었다.

  • PDF

Ignitron 수은정류기의 실고현상

  • Lee, Cheol
    • 전기의세계
    • /
    • v.11
    • /
    • pp.26-30
    • /
    • 1963
  • Ignitorn의 점고자에 전압을 인가하면 수은이 접하고 있는 부분의 어떤 결정면에서 음극점을 발생하여 이 음극점과 전고자 상부 단자간에 arc를 발생하고 다시 주 양극이 arc방전을 유발하여 점고를 완료한다. 즉 점고가 되려면 첫째 음극점이 발생하는것, 둘째 양극과 음극간을 파괴하는 두 조건이 필요하며, 첫째 조건이 만족되어도 둘째 조건이 만족되지 않으면 실고하게 된다. 또 이 두 조건이 구비되더라도 휘점이 영구히 보존되지 못하면 역시 실고하므로 휘점을 영구히 유지하여야 한다는 것도 점고의 필수조건이 되는 것이다. 즉 음극은 정규의 운정상태에서 음극점으로 인하여 그 전신 전자를 방출하고 있으며 음극으로 arc가 통하는 기간에 어떠한 원인으로 음극점이 없어지면 전자방출도 없어지고 정류기로서의 기능을 소실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점고현상은 이중방전현상으로서 각각의 조건을 따로 고려하는 것이 점고기구나 실고기구를 구명하는데 필요한 것이다.

  • PDF

냉음극방전등의 기동특성에 미치는 Co$^{60}$ 의 조사효과에 관한 연구 제1보

  • 지철근
    • 전기의세계
    • /
    • v.9
    • /
    • pp.11-17
    • /
    • 1962
  • 본 연구는 냉음극방전등의 기동특성에 방사성동위원소의 이온화작용을 이용하여 기동특성의 개량을 시도하려는 것이다. 냉음극이나 열음극방전등을 막론하고 일반으로 사용되는 것은 상용전압인 저전압에서는 직접 점등이 불능하기 때문에 순시 또는 한시적인 승압장치가 필요하나. 예컨데 네온 관과 같는 냉음극방전등에서는 한시적인 승압 및 방전전류의 제한때문에 누설변압기를 사용하고 또 형광방전관 및 저압수은방전관과 같은 열음극방전관은 저전압기동을 위한 음극의 가열과 순시적인 승압장치로 점등관 및 쵸크코일등을 사용하고 있다.이와같이 방전등에서는 고전압기동으로 말미암은 승압장치 때문에 경제적 부담과 전력의 손실을 초래하고 있다. 그러기 때문에 저전압기동을 해결하는 것과 방전등의 방전개시전압의 부정으로 인한 방전개시전압의 시간적인 변동을 해결하는 것이 중요한 방전등 기동특성의 개량이다. 그리고 일반방전등에서는 그다지 문제되여 있지 않지만 방전이 늦임도 기동의 한 요소로 되어있다.

  • PDF

A design of auxiliary cathode for improvement of uniformity of electrodeposit of thickness by simulation technique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도금층 균일화를 위한 음극보조물 설계)

  • Hwang, Yang-Jin;Lee, Gyu-Hwan;Je, U-S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9.05a
    • /
    • pp.119-120
    • /
    • 2009
  • 시뮬레이션을 활용하여 ABS 수지상의 전해도금에서 음극 보조물에 의한 도금 두께 변화를 관찰하였다. 분극 실험 및 효율 측정실험을 통하여 시뮬레이션 입력 데이터를 산출하였으며, 음극 보조물은 제품형상에 따라 최적으로 설계되어야 도금 두께 균일화가 가장 높은 것을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알 수 있었다. 시뮬레이션을 활용하여 설계되어진 음극 보조물을 실제 제품에 적용한 결과 음극 보조물을 적용하기 전에 비하여 도금 두께균일성이 증가하였고, 그로 인하여 표면 크랙현상이 개선되었다.

  • PDF

Recent Trend of Cathodic Protection Technology (음극방식기술의 최근 동향)

  • 김기준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8.05a
    • /
    • pp.7-7
    • /
    • 1998
  • 1812년 영국의 Humphrey Davy에 의해서 정립되기 시작한 음극방식(Cathodic P Protection)기술은 1900년대 중반이후의 유럽과 미국의 비약적인 발전을 거쳐 이제 세계적으로 철강의 방식법중 빼놓을 수 없는 주요한 기술이 되었다. 1970년대초부터 우리나라에 채용되기 시작한 음극방식기술은 현재 항만, 지중, 열교환기, 화학플랜트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아직 국내의 아쉬운 점이라면 기술도입 이후 신기술의 개발노력이 거의 이루어 지지 못하고, 해외에서 개발된 새로운 장치나 신기술들을 산발적으로 수입/적용해 왔다는 것이다. 이제 우리나라도 산업의 분야에 따라서는 상당한 방식시설을 보유 하고 있음에도 아직도 국내의 환경에 적합한 음극방식기술의 개발과 심도있는 연구 및 기술축적이 부족한 형편이다. 그 원인으로는 광범위하게 발전해 가는 해외기술 에 대한 정보부족을 먼저 꼽을 수 있으며 국내의 기술 및 연구개발에 투자가 미약 하다는 것이 또하나의 이유라 하겠다. 본 강의는 상기 원인중 음극방식에 대한 해외기술정보를 소개하기 위한 것으로 해외에서 최근에 개발된 음극방식관련 각종 장치를 소개하고 전반적인 산업분야의 음극방식법 응용연구의 방향을 발표하며, 부가하여 읍국방식관련 각종 규정의 소개를 하고자 한다. 제한된 정보로 방식산업에 직접 관계하는 분에게는 부족한 기술 정보가 될지 모르나 전반적인 음극방식기술에 대한 실태를 파악하는데는 조그마한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Studies on the permeability and dissolvability of cathodic electrolyzed water (음극전리수의 침투력과 용해력 연구)

  • Kim Jum-Ji;Kang Dong-Kyu;Ryoo Kun-Kul;Lee Yoon-Bae;Lee Jong-Kwon;Lee Mi-Young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5.05a
    • /
    • pp.292-294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전기영동 겔에 대한 음극전리수의 침투력과 녹차성분에 대한 음극전리수의 용해력을 일반 물과 서로 비교하였다. 음극전리수와 증류수로 제조한 CBB-R 염색시약으로 polyacrylamide 겔 상에서 단백질을 다양한 시간 동안 염색한 후 염색강도를 서로 비교하였다. 그 결과 음극전리수로 제조한 CBB-R 염색시약은 증류수로 제조한 CBB-R 염색시약보다 같은 반응 시간 동안에 먼저 단백질을 강하게 염색시켰다. 뿐만 아니라 $25^{\circ}C$에서 음극전리수는 일반 물에 비하여 녹차성분에 대해 극히 탁월한 용해력을 나타내었다.

  • PDF

수지충전식 전기투석 재생조를 이용한 LOMI 제염폐액의 전기화학적 재생연구

  • 심준보;박상윤;문제권;오원진;김종득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6.05d
    • /
    • pp.207-212
    • /
    • 1996
  • 실증규모의 수지충전식 전기투석 재생조를 사용하여 농축음극액내 바나듐의 전기화학적 환원 방법에 의한 재생거동을 조사하였다. 전기투석 분리재생 종료후 남아있는 개미산용액을 전해액으로 사용한 농축음극액내 전기투석된 철 및 코발트는 음극액의 pH를 약 4.3내외로 조절하면 전해환원에 의해 전착.제거된다. 또한 농축음극액내 바나듐은 +2가로 전해환원 되어 착화물을 이루고 있는 Vanadous picolinate 형태로 존재하기 때문에 음극액은 농축된 LOMI 제염제로 재생된다. 이 전해환원에 의한 농축음극액의 재생방법은 제염폐액의 전기투석 분리재생 후 피콜리네이트 착화제만을 재사용하는 기존의 재생개념보다 더욱 효과적으로 제염폐액을 재생시켜 재활용할 순 있는 방사성폐기물의 감용효율이 큰 향상된 제염폐액 재생공정이다.

  • PDF

A study on the technology and application of cathodic protection to reinforced concrete (철근콘크리트의 방식기술 및 음극방식의 적용에 관한 고찰)

  • Jeong, Jin-A;Ha, Ji-Myung;Oh, Se-Jin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40 no.7
    • /
    • pp.599-604
    • /
    • 2016
  • Cathodic protection was first introduced as a technology for preventing the corrosion of metals in seawater and underground environments in the early 19th century, eventually leading to the introduction of cathodic protection to the reinforced concrete technology sector in the 1970s. In the 1990s, it was demonstrated that the effectiveness of corrosion protection had increased through a number of developments and studies. Recently, cathodic protection was applied to some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and has gradually expanded in scope in South Korea. Technical expertise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underlying electrochemical principles and also because cathodic protection is important for normal physical maintenance. Therefore, in this study, we introduce the technical details and examples of applications of the cathodic protection of reinforced concrete, including the basic theory, principles, and other criter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