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융합콘텐츠화

Search Result 364,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A Study of Content Meta-data for Wellness Content Recommendation (웰니스 콘텐츠 추천을 위한 콘텐츠의 메타데이터 구성 연구)

  • Hong, Min-Sung;Kim, Ki-Won;Lee, Jae-D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4.01a
    • /
    • pp.39-41
    • /
    • 2014
  • 웰니스에 대한 관심이 대두되면서 웰니스와 IT 융합의 대표적인 연구로 웰니스를 위한 추천 시스템 등의 연구가 시도 되었다. 하지만 기존 연구들은 웰니스의 영역의 신체적, 정신적, 정서적, 사회적, 지적 영역 중 한 영역 또는 두 가지 이상의 영역에만 속하기 때문에 웰니스를 위한 추천에 적합하지 않다. 그렇기 때문에 웰니스 영역을 통합하여 관리할 수 있는 콘텐츠 분석 기법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웰니스를 위한 콘텐츠 추천을 위해 웰니스 영역이 통합되어 반영될 수 있는 콘텐츠 메타데이터 구성을 제안한다. 이를 통해 콘텐츠의 웰니스적인 특징을 분석할 수 있고, 나아가 웰니스를 위한 맞춤화된 추천 서비스가 가능해질 것이다.

  • PDF

A New Strategy for Vitalizing the Future Smart Contents Industries (차세대 스마트콘텐츠 산업 활성화 전략)

  • Kim, Kyungjun;Kim, Nam-guk;Hong, Kyung-a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5.07a
    • /
    • pp.317-320
    • /
    • 2015
  • 기존의 ICT기술과 콘텐츠 융합을 통해 스마트 콘텐츠는 차세대 디지털 라이프의 필수적인 요소로 인식되면서 보조적인 요소에서 주도적인 요소로서 그리고 새로운 변화의 주요 동인으로 역할을 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차세대 기술의 저변에서 흐르고 있는 스마트화의 관점에서 스마트콘텐츠 요소기술 및 동향과 이를 기반으로 한 차세대 지역 스마트콘텐츠 산업 활성화 방안을 제시한다.

  • PDF

Method of Synchronization for Multi-view sequences over Hybrid delivery environment (하이브리드 전송 환경하의 다시점 미디어 서비스 동기화 방안)

  • Park, JungWook;Kim, Byungchul;Kim, Kyuh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1.11a
    • /
    • pp.356-359
    • /
    • 2011
  • 최근 방송 시스템의 디지털화, 통신기술과 가전제품의 발전으로 스마트 TV 시대가 열리게 되었다. 이제 시청자들은 스마트 TV를 통해 기존의 디지털 방송과 IP(Internet Protocol) 통신이 융합한 하이브리드 방송 서비스가 가능해지면서 기존 방송망을 통한 실시간 콘텐츠 서비스와 더불어 IP망을 통한 VOD(Video on Demand) 서비스, 멀티뷰(Multi-view) 서비스의 이용이 가능하게 되었다. 그 중 멀티뷰 서비스는 시청자가 동일한 시간의 영상을 다양한 시점에서 동시에 볼 수 있는 서비스로서, 하이브리드 방송 환경 하에서 현 방송 규격인 MPEG-2 TS(Transport Stream) 콘텐츠와 IP망을 통해 전달되는 실시간/비실시간 콘텐츠가 멀티뷰 서비스가 이루어질 때 콘텐츠 간의 시간정보 규격이 서로 상이하여 동기화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이종망을 기반으로 한 하이브리드 방송 환경내의 다시점 콘텐츠의 동기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

Semantic Analysis and Visualization on The Palyupsimryun Mandala (팔엽심련만다라(八葉心蓮曼陀羅)의 의미분석과 시각화)

  • Kim, Kyungdeok;Kim, Youngduk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1 no.4
    • /
    • pp.668-677
    • /
    • 2021
  • In this paper, the characteristics and structural meaning of the Palyupsimryeon mandala, which represent the high spiritual world among Korean traditional cultural relics, are analyzed and visualized. Various studies on foreign mandalas are being introduced, but there is a lack of systematic analysis of the meaning of existing Korean mandalas. In this paper, we visualize the seeds of the Palyupsimryeon mandala in Korea by matching them with the image of the mandala, which is based on the shape of the mandala. Through this process, it shows that Korea's unique seed mandala has a form of mandala that combines the existing the Diamond World Mandala and the Matrix Mandala. Applications include Mandara's characterization, digital storytelling, and games.

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Food-Oriental Medicine Integration Data (식품-한의 융합 식치 데이터 구축 연구)

  • Kim, yu-jin;Jang, dai-ja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271-272
    • /
    • 2019
  • 4차 산업시대로의 진입과 함께 인구 고령화 현상이 지속되면서 정보, 의료, 식품 분야 등의 역할이 중요해지고 있다. 특히 건강한 삶을 영위하기 위해 식품과 의료가 융합한 식치 정보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과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는 것에 비해 이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식품과 한의 정보를 수집하고 융합하여 식품 또는 식재료의 영양, 성질, 효능, 질병 등이 결합된 하나의 식치 데이터를 시스템 상으로 구축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고조리서, 한의서, 역사서 등의 고문헌과 논문, 특허 등의 현대 과학적 연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들을 일정 기준에 따라 분류하고 코드화 하였다. 이후 정제된 각각의 데이터들 간의 연관성을 파악하고 연결 지어 식품과 한의 정보가 통합된 하나의 새로운 식치 데이터를 구축하였다.

  • PDF

App contents plans for convergence education of French literature (프랑스 문학의 융합교육을 위한 앱 콘텐츠 설계)

  • Nam, Sukhee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2 no.1
    • /
    • pp.281-286
    • /
    • 2014
  • Humanities knowledge makes the learners overcome the boundaries of study and can be applied variously by means of contents for study. This paper suggests application contents plans designed as the learning tools for blended learning, which can be sure of the possibility to the extension of other fields. Literary education with application contents has effects followings: First, smart device based on the web under the ubiquitous circumstances has the information system like the neuron's. So the application selects the necessary information and makes the contents for infusion into the education. Also it provides with more abundant and extended information system. With this approach, learners are able to get further literary knowledge and promote the ability for tapping them for new knowledge as well. Lastly, literature applied to the class with web contents is based on the foundation that creates new knowledge necessary for culture, arts, and so on. As a result, the education using web contents achieves the boundless of study, which is the final goal of the blended learning.

A Study About The Development and Effect of The Blending Class for The Media Contents Manufacture (뉴미디어 콘텐츠 제작 융합수업 개발과 효과 연구)

  • Park, Seung-Kyu;Lee, Min;Seo, In-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7.11a
    • /
    • pp.127-130
    • /
    • 2017
  • 방송 콘텐츠는 매우 잘 분업화 된 시스템에 의해 서로의 협력으로 제작된다. 그러나 대학의 교육과정은 각 학과의 특성과 목적에 맞추어 독립적인 학문과 실험이 이루어지므로 학생들은 완성된 콘텐츠 제작 과정을 경험하기가 쉽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방송 콘텐츠 제작을 위해 프로그램 연출 및 영상, 음향, 카메라, 조명 등 다양한 분야의 경험을 가진 교수진의 협력을 바탕으로 방송용 콘텐츠를 만들어 가는 융합수업의 개발과 학습 효과를 분석하고 있다.

  • PDF

2013년 방송통신 정책방향

  • Ra, Bong-Ha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30 no.1
    • /
    • pp.10-16
    • /
    • 2012
  • 모바일 혁명으로 대변되는 제2의 인터넷혁명시대의 도래에 따라 방송통신산업에도 큰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구글, 애플 등 플랫폼 사업자를 중심으로 생태계 경쟁이 심화되면서, SW 콘텐츠 개발자 등에게 새로운 성장기회가 형성되고 있고 정보의 생성 및 유통속도가 가속화되면서 클라우드, 빅데이터 등 신산업이 부상하고 있다. 또한, 인터넷 중심으로 방송통신망이 융합되면서 스마트TV 등 인터넷 동영상서비스가 확산되고, 방송시장 내에서도 유료방송서비스간 경쟁이 심화되고 있다. 스마트 생태계 구축경쟁과 인터넷 중심 융합으로 특징지워지는 새로운 방송통신 패러다임은 기존 방송통신산업구조와 규제체계의 전환을 촉구하고 있으며, 방송통신 융합을 촉진하고 방송통신산업을 육성하기 위해서는 C(콘텐츠)-P(플랫폼)-N(네트워크)-T(기기)를 아우르는 종합적인 접근이 요구되고 있다. 본 고에서는 우선 방송통신 분야의 정책환경 변화를 살펴본 후 네트워크 고도화, 방송통신 R&D, ICT 중소 벤처기업 육성, 방송통신콘텐츠산업 경쟁력 제고 등 방송통신 산업이 한 단계 더 도약하기 위해 필요한 주요 정책과제들을 살펴본다.

스마트TV 기술 개발 방향 및 정책

  • Kim, Seon-Jung;Jo, Gi-Seong;Ryu, Won;Lee, Ho-Jin;Gwak, Jong-Cheol
    • Broadcasting and Media Magazine
    • /
    • v.16 no.1
    • /
    • pp.54-64
    • /
    • 2011
  • 스마트폰 열풍이 세간에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던 즈음에 스마트 TV라는 다소 생소한 단어가 IT업계를 술렁이게 하고 있다. 거대 기업 애플과 구글이 전세계의 스마트폰과 스마트TV에 대한 장악력을 높이고 있고, 이에 맞서 국내에서는 삼성과 LG가 가세하여 스마트 기기에 대한 플랫폼 및 콘텐츠 지배력을 가지고 경쟁을 벌이고 있다. 유무선망이 통합되고 콘텐츠의 융합화가 가속화되면서, 개별 서비스 단위에서 융합서비스로 트렌드가 변화하고 있으며, 스마트 TV도 모바일과의 연계를 통해 웹 서비스 및 소셜 네트워크와 융합된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하려는 추세이다. 스마트TV는 단순 TV서비스에서 모바일과 연계하여 N-스크린 서비스로 발전하고 있고, 플랫폼에 대한 경쟁력이 약한 국내 기업의 경우에는 플랫폼 경쟁력을 강화하면서 동시에 서비스의 차별화를 통해 경쟁력을 갖추어 야 할 것이다.

FMM: Fusion media middleware for actual feeling service (실감 서비스 제공을 위한 융합 미디어 미들웨어)

  • Lee, Ji-Hye;Yoon, Yong-Ik
    •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 /
    • v.13 no.2
    • /
    • pp.308-315
    • /
    • 2010
  • User Generated contents(UGC) interchange with internet users actively in Web2.0 environment. According to growth of content sharing site, the number of non-expert's contents increased. But non-expert's contents have a simple media just recorded. For providing actual feeling like effects and actions to non-expert's contents, we suggest Fusion Media Middleware(FMM). The FMM can increase user satisfaction by providing actual feeling. Furthermore, The content changes advanced media that has emotional impression. The FMM for providing actual feeling classify the inputted media as a scene based on MPEG-7. The FMM provide an actual feeling to simple media by inserting effects like a sound, image and text among the classified media. Using the BSD code of MPEG-21, the FMM can link up with inputted media and effects. Through the mapping BSD code the FMM control synchronization between media and effects. In this paper, Using the Fusion Media Middleware, the non-expert's contents express value as multimedia that has an actual feeling. Futhermore, the FMM creates flow of new media circul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