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윤리 교육

Search Result 973,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Ethical perception from practice of ethics education (윤리 교육경험에 따른 윤리 지식수준에 관한 연구)

  • Kim, Yun-Jeong;Kwag, Jung-Suk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 /
    • v.7 no.2
    • /
    • pp.115-122
    • /
    • 2007
  • 이 연구는 보건계열 학과에 재학 중인 학생들의 윤리교육 경험과 윤리교육 필요성인지에 따른 윤리지식수준의 차이를 살펴보고자, 보건계열 학과에 재학 중인 596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법에 의한 설문조사법으로 2005년 4월 한달 동안 실시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연구도구로 독립변수는 의료 윤리 교육경험, 전문윤리 교육경험, 직업윤리 교육경험, 임상실습 경험, 전문윤리 교육 필요성 인지, 의료윤리 교육 필요성 인지이었고, 종속변수는 면허관련법규 지식수준, 전문윤리 지식수준, 의사결정판단 지식수준, 팀웍 지식수준이었다. 수집된 자료를 SPSS 12.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와 t-test를 실시한 결과, 임상실습경험 직업윤리 교육경험 의료윤리 교육경험, 전문윤리 교육경험, 전문윤리 교육 필요성 인지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이 중 직업윤리 교육경험에 따라서는 4가지 윤리지식수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정상적으로 학교에서의 윤리교육이 이루어져야 하고, 일반 윤리교육에 비해서 직업 윤리교육이 강화되어야 한다고 사료되었다.

  • PDF

웹기반 연구윤리 교육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온라인 콘텐츠 개발에 관한 연구

  • Lee, Jong-Gi;Ha, Seo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Industrial Systems Conference
    • /
    • 2008.10b
    • /
    • pp.567-574
    • /
    • 2008
  • 국내에서 2005년 황우석 연구윤리 부정 사건 이후 연구윤리가 많은 도전을 받고 있다. 국내 연구윤리 교육 프로그램을 통한 연구윤리교육 확산을 위해, 온라인 콘텐츠를 개발하고자 한다. 먼저 온라인 콘텐츠의 구성은 다음 내용으로 준비한다. 첫째, 연구자를 위한 연구윤리 교육 자료 둘째, 국내의 연구윤리 위반 사례 셋째, 미국대학교의 연구윤리 사례 넷째, 우리 실정에 맞는 연구책임자급 교육내용의 준비이다. 이와 같은 연구윤리 교육 콘텐츠를 준비한 후, 연구윤리교육을 위한 시스템 구성에 대한 내용을 살펴본다. 본 연구는 먼저 온라인 콘텐츠의 개발에 초점을 자지고 있다. 아울러 오픈 소스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이러한 연구윤리 교육 콘텐츠를 탑재 하고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 구성의 내용들을 정리하였다.

  • PDF

A study of the effect analysis and development of informatics ethics education program based on subject integrations (교과융합 정보윤리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분석)

  • Kim, SungYul;Lee, OkHwa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 /
    • v.19 no.4
    • /
    • pp.21-31
    • /
    • 2016
  • As the science and technology advances, the side effects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use become a social issue and the social demands to strengthen the informatics ethics in the curriculum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becomes great. The contents of informatics ethics education is included in the current curriculum for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but they are embedded in multiple subjects without the holistic guidelines for the informatics ethics curriculum. Therefore it can have duplications of the contents or missing among subjects as those subjects are elective in the secondary school. In this study, we proposed a holistic curriculum for informatics ethics education and developed the education program based on subject integrated curriculum model and the cyber internet ethics education model to solve problems of informatics ethics education. The program was practised for 291 students of $10^{th}$ graders for 5 months and effectiveness was proven by the high attainment of ethics understanding. This subject integrated education program is proposed to solve the structural problems of informatics ethics education in 2015 curriculum.

The Present and Effects of Korean Social Work Ethic Education - Focused on Ethical Sensitivity - (사회복지윤리교육의 현황 및 효과에 관한 연구 - 윤리적민감성을 중심으로 -)

  • Choi, Myung-Min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 /
    • v.61 no.4
    • /
    • pp.381-402
    • /
    • 2009
  • This Study explores and describes the present status and effects of Korean social work ethic course , reflecting increasing concerns about social worker's ethics. Using the member list of the Council of Korean Social Welfare Education, this study first examines the extent to which the ethic course is established and how the course is managed. Then, for the purpose of investigating the practical effects of the enrollment in the ethic course, using the test scores designed to measure the students' sensitivity to ethical issues, this study compared test scores between students who attended the course and those who did not. This study also compared pre-post test scores of students who attended the course. The results show that enrollment in the course contributes to significant changes in the students' ethical sensitivities, in spite of social work education system that does not very yet empathize the ethics curriculum very strongly. Further, enrollment in the ethic course is proved to be a more powerful factor to ethical sensitivity than any other demographic or education related factors. These findings suggest a stronger emphasis abd serious consideration of the course, as well as more efforts to bring up professionals and invest in research in the field of social work ethic education.

  • PDF

Deriving Improvement Scheme through Analyzing the Actual Condition of Engineering Ethics: Based on User (공학윤리 교육과목 실태분석을 통한 개선방안 도출: 수요자를 중심으로)

  • Lee, Tai-Sik;Jun, Young-Joon;Noh, Jae-Yoon;Park, Min-Seo
    •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 /
    • v.11 no.3
    • /
    • pp.96-107
    • /
    • 2008
  • Purpose of the study is to derive improvement scheme by analyzing the actual condition of engineering ethics educational curriculum. Documentary survey was conducted to derive the concept of engineering ethics, background of how engineering ethics educational curriculum was introduced, the purpose and educational method of engineering ethics education, and the present condition of domestic and foreign engineering ethics education. On this basis, survey was taken on engineering ethics class students and company recruiters. Therefore, improvement scheme that suits domestic engineering ethics education curriculum has been suggested.

Ethical Issues in the Fo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Enhancement of Bioethics Education in Korean Universities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윤리적 이슈와 대학의 생명윤리교육 방향 제고)

  • KIM, Sookyung;LEE, Kyunghwa;KIM, Sanghee
    • Korean Journal of Medical Ethics
    • /
    • v.21 no.4
    • /
    • pp.330-343
    • /
    • 2018
  • This article explores some of the ethical issues associated with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suggests new directions for bioethics education in Korean universities. Some countries have recently developed guidelines and regulations based on the legal and ethical considerations of the benefits and social risks of new technologies associated with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Foreign universities have also created courses (both classroom and online) that deal with these issues and help to ensure that these new technologies are developed in an ethically appropriate fashion. In South Korea too there have been attempts to enhance bioethics education to meet the changing demands of society. However, bioethics education in Korea remains focused on traditional bioethical topics and largely neglects the ethical issues related to emerging technologies. Furthermore, Korean universities offer no online courses in bioethics and the classroom courses that do exist are generally treated as electives. In order to improve bioethics education in Korean universities, we suggest that (a) new course should be developed for interprofessional education; (b) courses in bioethics should be treated as required subjects gradually; (c) online courses should be prepared, and (d) universities should continually revise course contents in response to the development of new technologies.

Current Status and Teachers' Perception About Research Ethics Education and Creating Ethical Research Environment for Gifted Students in Science (과학영재를 위한 연구윤리교육 및 윤리적 연구환경조성의 현황과 이에 대한 영재담당 교사들의 인식 조사)

  • Lee, Jiwo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38 no.6
    • /
    • pp.853-864
    • /
    • 2018
  • In this study, we surveyed the 68 teachers from eight science high school and four science academy for the gifted through questionnaires about research ethics education and ethical research environment in Korea. First, we examined the current state of research ethics education. Half of the responding schools included research ethics education in their curriculum. Although only half of the schools have this in their curriculum, more than half of the total number of teachers surveyed personally taught research ethics in class, and almost 90% of the teachers said they taught the research ethics during students' research activity. However, 63.24% of teachers said that research ethics education was not enough still. Second, we investigated the ethical research environment. In terms of knowledge and experience, the teachers were competent, and they were creating an environment that enabled peers and self-verification. However, research ethics, regulations and verification systems are not well equipped in schools. Since the principals are highly interested in research ethics education, there seems to be enough improvement on the ethical research environment. Finally, teachers said that additional research ethics education, change in student attitude, development and continuous maintenance of the verification system, encouragement to develop ethical environment, and clear guidelines were needed for ethical research of students. The result of this research will be able to provide the following. First, it will help set up a direction for research ethics education at every gifted school. Second, it will provide insights on how schools and teachers can create an ethical research environment for the students of science-gifted students.

Ethical knowledge perception and related factors in department of public health students (보건계열 학생들의 윤리 지식수준에 관한 연구)

  • Kim, Yun-Jeong;Jang, Yun-Ju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 /
    • v.8 no.1
    • /
    • pp.37-43
    • /
    • 2008
  • 이 연구는 보건계열 학과에 재학중언 학생들의 윤리의식에 미치는 영향요언을 살펴보고자 4개 전문대학 보건계열 학과에 재학중인 학생 65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방법은 개별자기기입법에 의한 설문조사법이었고, 설문은 윤리 지식수준을 측정하기 위한 문항과 윤리교육에 대한 경험과 필요성을 묻는 문항, 윤리의식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묻는 문항, 윤리의식을 배우는 역할모델을 묻는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수거된 설문은 596부이었고, 회수율은 91.7% 이였다. 연구결과, 의료관계법규 지식수준과 팀웍 지식수준이 다른 윤리 지식 수준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의료관계법규 지식수준은 전문 윤리교육 필요성을 인지하고 있는 학생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가 윤리 지식수준은 전문 윤리교육 필요성을 인지하고 있는 학생에서, 3학년에서, 직업 윤리교육경험이 있는 학생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의사결정판단 지식수준은 전문 윤리교육 필요성 인지, 임상실습경험, 윤리의식 영향요인, 전문 윤리교육청험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중 가장 큰 영향을 미친 변수는 임상실습경험이었다. 팀웍 지식수준은 역할모델이 종교단체라고 응답한 학생에서, 윤리의식 영향요인이 가정이라고 응답한 학생에서, 전문 윤리교육을 경험한 학생에서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윤리교육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있는 학생일수록 윤리 지식수준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이 외에도 다양한 변수를 고려하여 후속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되었고, 본 연구를 통하여 보건계열 학과에 재학 중인 학생들에게 윤리에 대한 사고 기회를 부여했다는 점과 윤리 의식수준을 점검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사료되었다.

  • PDF

A Study on Method of Information Communication Ethics Education in the Information Society (정보화사회의 정보통신윤리교육 방안 연구)

  • Kang, Yeo-Im;Kim, Jong-Woo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4.01a
    • /
    • pp.56-65
    • /
    • 2004
  • 정보통신윤리는 정보화사회에서 인간의 존엄성과 인간의 본래적 가치를 지켜 인간 중심의 건전한 정보 문화를 창출해 나갈 버팀목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본 연구는 정보화사회에서의 정보통신윤리교육의 필요성을 고찰하고, 정보통신윤리교육 내용을 교육과정 및 선행연구에 나타난 내용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토대로 정보통신윤리교육 내용을 재정립해 보았다. 아울러 인터넷에서 정보통신윤리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컨텐츠를 분석하고 이를 적용한 교수 학습 과정안을 제시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AI Ethics Dilemma Questions (인공지능 윤리 딜레마 문항 개발)

  • Eun-Gyeong Kim;Young-Jun L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01a
    • /
    • pp.225-226
    • /
    • 2023
  • 인공지능 기술이 사회 전반에 확산하며, 인공지능 윤리 문제 또한 큰 이슈가 되었다. 이에 따라 정부, 기업, 연구기관, 국제기구 등 다양한 단체에서 인공지능 기준안을 발표하고 있으나 이러한 인공지능 윤리 기준안을 발표하는 것으로 인공지능 윤리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 이에 인공지능 윤리교육이 절실히 필요하다. 그러나 학교급에서의 인공지능 윤리교육을 위한 프로그램이 미흡하다. 이러한 상황에서 Moral machine은 인공지능을 위한 윤리교육 도구로 학교급을 막론하고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Moral machine의 딜레마 상황은 교육용으로 다소 부적절한 요소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인공지능 윤리교육에 적합한 인공지능 윤리 딜레마 문항을 사람이 중심이 되는 인공지능 기준의 3대 원칙을 바탕으로 개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