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육종체계

Search Result 112,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닭의 개량과 번식(완)

  • 정선부
    • KOREAN POULTRY JOURNAL
    • /
    • s.159
    • /
    • pp.144-149
    • /
    • 1983
  • 닭의 개량이 선진국에서만 가능한 것이 아니고 우리도 자금을 투입해 체계적인 육종사업을 실시한다면 발전의 무한한 가능성을 지니고 있다.

  • PDF

대만의 오리산업(臺灣鴨産業)

  • Korea Duck Association
    • Monthly Duck's Village
    • /
    • s.65
    • /
    • pp.49-56
    • /
    • 2008
  • 대만정부는 1968년도에 오리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를 수행할 수 있도록 연구소를 설립하여 오늘날 5개의 연구서에서 수많은 석박사가 육종, 질병, 영양, 관리에 이르기까지 체계적인 연구를 하고 있고 농민들은 이들의 기술적인 지원과 교육을 받아 오리알과 고기를 효율적으로 생산함은 물론 전체 생산량의 약 40% 가량을 일본에 수출하여 외화소득을 올리고 있었다. 한국처럼 단순히 종압(종자용 어미오리)을 수입하여 병아리를 부화 생산하는 단계를 넘어서 육종을 활발히 하여 건강하고 경제적인 오리를 기르고 있었다. 우리나라에서 큰 문제가 되고 있는 질병인 오리 혈증 바이러스성 간염, 바이러스성 장염은 별로 큰 문제가 되지 않고 가금콜레라(양계의 C.R.D와 유사)가 첫번째 중요질병이라고 하는 등 질병 발생양상도 크게 차이가 있었다. 바이러스 간염의 경우 대만은 백신을 접종하여 거의 100% 예방하고 있는데 우리나라는 아직 개발완료 단계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 PDF

Establishment of Efficient Callus Induction System with Picloram Hormone in Lily Plants (Picloram을 이용한 효율적인 백합 캘러스 유도 체계 확립)

  • Kim, Jong Bo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7 no.3
    • /
    • pp.605-608
    • /
    • 2021
  • Lily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5 cut flowers in international flower market and lilies are distributed in Asia, Eurasia and North America. To develop a new lily cultivar, in addition to hybridization, mutation and selection methods, biotechnological techniques including tissue culture are also required. Establishment of tissue culture system is one of the requirement for the breeding program in Lily. Among many fields of plant tissue culture, establishment of regeneration system via embryogenic calluses are studied in many crops. In this study, research was carried out to decide the proper concentration of picloram which is used for the induction of embryogenic calluses. As a result, 3 different types of callused were observed after 3-4 weeks. They were CEC (compact embryogenic callus), FEC (friable embryogenic callus) and white callus type. 1.0 mg /l of picloram showed the best result for the production of embryogenic callus, however, due to its higher rate of browning in this concentration, 0.75 mg/l of picloram was selected as a proper concentration of picloram for the induction of CEC and FEC in Lily. These results can be contributed to the establishment of both regeneration system and mass propagation in lily in the future.

COLUMN - 과학원로에게 듣는다(35) - 밭작물의 학문적 체계 집대성한 '조재영'

  • Jeong, Jin-Ik
    • The Science & Technology
    • /
    • s.513
    • /
    • pp.64-67
    • /
    • 2012
  • 일본강점기에 수원고등농림학교를 졸업, 일본으로 건너가 조선인으로는 입학하기 어려웠던 규슈대학 농학부를 나온 후, 해방되던 해에 수원중앙농업시험장의 전작계장으로 부임한 인연을 시작으로 50년여 동안 우리나라 밭작물의 발전과 농학도 양성에 매달려 온 서하 조재영(西荷 趙載英) 박사(93)를 서울 서초구에 있는 한국학술원에서 만났다. 조박사는 1950년대에 보리, 밀 고구마 신품종을 개발, 농가에 보급해 '보릿고개'를 극복하게 했고 밭작물의 재배 및 육종 연구를 토대로 '재배학범' '전작'을 저술해 우리나라 작물학의 초석을 다져낸 이후, 오로지 그 일에 몰두하여 작물학 체계를 집대성해냈다. 황해도 연백 출생으로 대한민국 과학기술상 수상, 국민훈장 목련장 등을 수훈했다.

  • PDF

식물거점센터의 현황 및 역할

  • Im, Yong-Pyo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0.10a
    • /
    • pp.8-8
    • /
    • 2010
  • 식물거점센터는 교과부 지정 식물소재은행들의 생물자원의 체계적 통합 및 관리, 소재은행들과 연구소재 네트워크 형성, 표준화 관리 시스템 구축을 통한 소재의 효율적 관리, 인적 물적 자원 지원, 식물학, 농학, 생명공학, 유전학 등의 연구 기반 활성화 도모, 소재의 공동 영구보관 시스템 구축, 각 생물체별 데이터베이스 공동 구축, 공동 매뉴얼 작성 및 관련 연구, 공동 정보구축 지원, 중단소재은행의 자료 관리 시스템 구축을 목적으로 하여 2007년 4월 교육과학기술부에 의해 지정되어 출범하게 되었다. 식물거점센터는 한국배추게놈소재은행, 한국의 식물 DNA 은행II, 인삼유전자원소재은행, 감귤육종소재은행, 한국감자육종소재은행, 한약자원향장소재은행, 천연물 신약 표준화 소재은행, 대사질환소재은행 등 8개 소재은행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거점센터의 주요 역할은 OECD가 규정하는 resource center의 역할로 연구소재의 확보, 분류와 동정, 보관, 분량, 인력 양성, 컨설팅 등의 기능을 수행하고, 지점 소재은행은 연구소재 확보와 연구, 보관까지 수행하도록 하고, 지점센터의 데이터와 소재를 거점 은행에 제공하여 네트워크를 구축함으로써 전체적인 소재의 수급과 부족 상태를 파악하고 앞으로의 소재확보를 위한 전략 및 대책을 세울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역할을 통하여 가장 효과적으로 식물소재은행을 운영할 수 있는 방법을 함께 논의하여 공동으로 적용함으로써 연구 소재의 질과 식물소재은행의 운영을 표준화 할 수 있을 것이며 모든 소재은행과 함께 소재의 체계적인 기록 관리를 수행함으로서 소재의 이용과 신뢰성을 확보하고 연구자가 마음 놓고 연구를 수행할 수 있도록 자료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국가 경쟁력을 제고하도록 노력하고 있다.

  • PDF

Antitumor Effects of Cistanchis Herba Aqueous Extracts on MCF-7 Human Breast Cancer Cell-Xenograft Athymic Nude Mice, through Potent Immunomodulatory Activities (유방암 세포(MCF-7) 이식 누드 마우스에서 육종용 열수 추출물의 항암 효과 평가)

  • Hyeon-Ji Hwang;Dong-Chul Kim
    • The Journal of Korean Obstetrics and Gynecology
    • /
    • v.37 no.1
    • /
    • pp.1-22
    • /
    • 2024
  • 목 적: 본 연구의 목적은 유방암 세포(MCF-7) 이식 누드 마우스 모델을 이용하여 육종용 열수 추출물의 면역활성 효과를 통한 항암 활성을 체계적으로 평가하는 것이다. 육종용 열수 추출물은 유방암 치료제로 자주 사용되는 대표적인 경구용 항암제인 tamoxifen 경구 투여군과 비교하여 분석 연구하였다. 방 법: 총 110마리의 6주령 암컷 누드 마우스를 준비하여, 7일간 적응 후 체중이 일정한 마우스를 선정하여 우측 둔부 피하부위에 MCF-7 세포를 이식하였다. 종양세포 이식을 한 지 20일 후, 종양 크기 및 체중을 기준으로 그룹 당 8마리씩 본 실험에 사용하였다. MCF-7 이종 이식 21일 후부터 매일 1회씩 35일간 육종용 열수 추출물을 10 ml/kg의 용량(400, 200 및 100 mg/kg)으로 경구 투여하였으며, tamoxifen 역시 10 ml/kg의 용량(20 mg/kg)으로 경구 투여하였고, 정상 및 종양 이식 매체 대조군에서는 멸균증류수만 종양 이식 21일 후부터 동일한 방법으로 35일간 경구 투여 하였다. 결 과: 본 실험의 결과, MCF-7 세포 이식을 함으로써 현저한 비장 및 하악하 림프절 무게, 혈중 IFN-γ의 함량, IL-1β 및 IL-10의 함량, 비장내 TNF-α, 비장세포 및 복강 대식구의 활성의 감소가 관찰되었고, 비장 및 하악하 림프절의 림프구 감소에 의한 조직병리학적 위축 또한 관찰되었다. 그리고 체중 및 증체량의 감소 역시 관찰되었으며, 혈중 IL-6 함량의 증가, 난소 주위의 지방 무게의 감소 및 조직병리학적으로 난소 주위의 축적 지방 조직 위축 현상이 인정되어, 종양 이식 후에 전형적인 종양과 관련된 면역억제와 악액질 현상이 유발된 것으로 판단되었다. 한편 육종용 열수 추출물 400, 200 및 100 mg/kg 경구 투여군에서는 종양 이식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 현저한 항암활성이 투여 용량 의존적으로 관찰되었다. 또한 tamoxifen 20 mg/kg 경구 투여군에서는 종양 관련 악액질 소견이 오히려 악화되는 반면, 육종용 열수 추출물 경구 투여군에서는 면역활성 및 악액질 억제 효과가 관찰되었다. 결 론: 본 연구 결과, 육종용 열수 추출물의 적절한 경구 투여는 심각한 부작용 없이, 종양 관련 악액질 소견을 포함하여, 효과적인 유방암 치료 수단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Establishment of a New Breeding Scheme for Rapid Release of Variety Using bar Gene Transformed Rice (형질전환 벼 이용 품종 조기개발 체계 확립)

  • Won, Yong-Jae;Yi, Gi-Hwan;Cho, Jun-Hyeon;Ko, Jong-Min;Park, Hyang-Mi;Han, Chang-Deok;Yang, Sae-Jun;Kim, Soon-Chul;Nam, Min-Hee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v.31 no.1
    • /
    • pp.7-11
    • /
    • 2004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stablish a new breeding scheme which is connected with conventional breeding method and anther culture method. To develop a herbicide resistant and direct seeding rice, $F_1$ plants were subjected to anther culture and regenerated plants from 5 crosses were studied to confirm the introduction of bar gene. After PCR analysis, we selected 227 plants which were carrying herbicide resistance gene (bar) out of 1,508 regenerated plants from anther culture. Among 169 $A_2$ lines carrying herbicide resistant gene from 5 crosses including YR23235 (Dongjin Ds3(Ba $r^{R}$)/ Milyang165), 42 lines that had superior agronomic characters were selected for further research. Among them, YR23235Acp79 which showed herbicide resistance, direct seeding adaptability and superiority in major agronomic characters was named Milyang 204. This breeding scheme proved that the anther culture of $F_1$ plants crossed between transformant and cultivar or transform ant alone could be utilized in breeding programs for a rapid progeny fixation and development of a variety.y.

Genetic Analysis Strategies for Improving Race Performance of Thoroughbred Racehorse and Jeju Horse (서러브레드 경주마와 제주마의 경주 능력 향상을 위한 유전체 분석 전략)

  • Baek, Kyung-Wan;Gim, Jeong-An;Park, Jung-Jun
    • Journal of Life Science
    • /
    • v.28 no.1
    • /
    • pp.130-139
    • /
    • 2018
  • In ancient times, horse racing was done in ancient European countries in the form of wagon races or mountain races, and wagon racing was adopted as a regular event at the Greek Olympic Games. Thoroughbred horse has been bred since 17th century by intensive selective breeding for its speed, stamina, and racing ability. Then, in the 18th century, horse racing using the Thoroughbred species began to gain popularity among nobles. Since then, horse racing has developed into various forms in various countries and have developed into flat racing, steeplechasing, and harness racing. Thoroughbred racehorse has excellent racing abilities because of powerful selection breeding strategy for 300 years. It is necessary to maintain and maximize horses' ability to race, because horse industries produce enormous economic benefits through breeding, training, and horse racing. Next-generation sequencing (NGS) methods which process large amounts of genomic data have been developed recently. Based on the remarkable development of these genomic analytical techniques, it is now possible to easily carry out animal breeding strategies with superior traits. In order to select breeding racehorse with superior racing traits, the latest genomic analysis techniques have to be introduced. In this paper, we will review the current efforts to improve race performance for racehorses and to examine the research trends of genomic analysis. Finally, we suggest to utilize genomic analysis in Thoroughbred racehorse and Jeju horse, and propose a strategy for selective breeding for Jeju horse, which contributes job creation of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