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유형학적 접근

검색결과 102건 처리시간 0.041초

작업유형에 따른 생리학적 작업능력의 비교 분석 (Comparison analysis of physiological work capacity for different tasks)

  • 박지수;김홍기;최진영
    • 대한인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인간공학회 1996년도 추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33-40
    • /
    • 1996
  • 본 연구의 목적은 작업생리학적 접근방법(physiological approach)을 이용하여 생리학적 작업 능력(PWC; physiological work capacity)을 추정할 경우 작업형태와 작업방법에 따른 차이점을 비교분석해 보고자 함이다. 작업유형으로는 자전거 에르고미터(cycle ergometer)와 트레드밀 (treadmill)을 사용하였고, 작업방법으로는 각각의 작업유형에 대하여 램프 테스트(ramp test 와 인크리멘탈 테스트(increemntal test)의 차이점을 비교하였다. 또한 외국인들의 생리학적 작업능력(PWC)과 한국인들의 생리학적 작업능력(PWC)을 비교,검토하여 NIOSH(National Institute of Safety and Healty)기준치를 사용하는데 문제점이 없는가를 검토해 보고자 하였다. 작업방법 에 따른 차이점은 자전거 에르고미터의 경우 램프 테스트(ramp test )253.63 ml/min로서 인크리 멘탈 테스트(increemental test) 2859.74ml/min 의 87.70 % 정도로 나타났으며, 트레드 밑의 경우 ramp test 2859.22ml/min로서 incremental test 289.46ml/min의 98.77%정도로 나타났다. 작업유형 에 따른 결과는 자전거 에르고미터의 ramp test 트레드밀의 ramp test 는 ramp test는 트레드밀의 ramp test의 88.72% 정도로 나타났으며, 자전거 에르고미터의 incremental tests는 트레이드밀 작 업의 98.% 정도로 나타났다.

  • PDF

알토 도서관 건축의 유형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ypological Characteristics of Aalto's Library Design)

  • 정태용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9권2호
    • /
    • pp.33-41
    • /
    • 2010
  •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typological characteristics of Alvar Aalto's library design.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Aalto's architecture are the result of accommodating Modern architecture with regional qualities of Finland. Besides this, Aalto's typological approach in design made his color. The library might be the best example for understanding his design approach in that he showed 3 main features of type; wholeness, self-control and transformation. He established architectural types in his 30s through Viipuri public library and developed so-called fan type library plan. Aalto's library type is not a simple copy of exterior and interior form. It acts as a principle of configuration of his library architecture and applied to the building. Therefore, Aalto's library architecture can be recognized as the results of typological design approach in that it shows the transformation of type in according to factors including site, size, region and cultural tradition. In conclusion, Aalto's libraries reveal the typological characteristics in the field of building layout, dynamic space and the effective use of light.

경직형과 이완형 운동구어장애자의 음운변동 특성

  • 이옥분;박상희
    • 대한음성언어의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음성언어의학회 2003년도 제19회 학술대회
    • /
    • pp.234-235
    • /
    • 2003
  •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기질적 조음장애 중 운동구어장애자의 유형에 따른 음운변동 패턴을 연구하여 각 집단만의 신경학적 손상으로 인한 조음운동 패턴을 분석하고자 하는데 있다. 운동구어장애자의 조음 오류에 대해서 SDO(substitution, distortion, omission) 분석적 접근을 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따라서 음운변동 분석을 함으로써 이들의 오류패턴의 유형을 찾고, 언어중재 시에 이들의 조음기관 관련 근운동의 훈련을 보다 체계적으로 실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본다. (중략)

  • PDF

편측 공간무시에 관한 고찰: 유형 및 이론, 해부학적 영역, 평가와 치료 (A Review of Spatial Neglect: Types, Theories, Neuroanatomy, Assessments and Treatment)

  • 정은화
    • 재활치료과학
    • /
    • 제6권1호
    • /
    • pp.11-23
    • /
    • 2017
  • 편측 공간무시는 주로 우측 대뇌반구의 병변으로 인한 뇌졸중 이후 발생하는 신경학적 질환으로, 병변 반대 측 신체와 공간에 대한 처리 기능과 주의집중에 문제가 발생한다. 기능적 신경이미지 연구에서 편측 공간무시는 큰 수준의 중대뇌 동맥, 페리실비안 연결망, 주의집중 연결망의 손상과 연관성이 있다고 보고하였다. 편측 공간무시는 부정적인 예후와 관련이 있기 때문에 정확한 진단과 중재를 위해 편측 공간무시의 유형과 이론 그리고 전통적 평가와 기능적 평가를 포함한 임상적 평가가 고려되어야 한다. 편측 공간무시의 치료는 하향식 접근방법과 상향식 접근방법으로 구분하며, 두 접근방법을 결합하는 형태가 가장 효과적일 수 있다. 편측 공간무시의 모든 최신 중재방법 중에서 프리즘 적응이 가장 적절한 중재법으로 연구되고 있으나, 편측 공간무시의 유형과 병변 위치 등을 고려하여 환자에게 적절한 중재를 적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한국어 형태소의 계량언어학적 연구 -신문 사설을 중심으로- (QUANTITATIVE STUDY ON KOREAN MORPHEMES IN JOURNAL EDITORIALS)

  • 배희숙;시정곤;백혜승;최기선
    •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학술대회논문집(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2001년도 제13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 /
    • pp.17-24
    • /
    • 2001
  • 말뭉치 기반 언어 연구에서 균형성은 매우 중요하게 대두되는 문제이다. 말뭉치의 균형성을 맞추려면 여러 유형의 말뭉치가 갖는 언어적 특성을 고려하여야 한다. 그러나 계량언어학적방법으로 접근한 한국어 말뭉치의 유형별 언어 연구는 아직 미미하다. 본 연구는 언론 매체의 주요 부분인 신문의 사설을 말뭉치로 구성하여 그 언어적 특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계량언어학의 전형적 방법에 따라 계량화 작업을 먼저 다루고, 이어 신중한 계량화 작업으로 얻어진 자료를 조사 분석하였다.

  • PDF

소비자-브랜드 감성적 관계에 대한 사랑의 삼각이론적 접근 -이동통신 서비스와 단말기 브랜드를 중심으로- (Approach on the Emotional Relationship between Consumers and Brands based on Triangular Theory of Love -With focus on Mobile Phone Service and Product Brands-)

  • 최원주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44권
    • /
    • pp.7-43
    • /
    • 2008
  • 본 연구는 소비자-브랜드의 감성적 관계를 형성하는 데 있어 가장 강력하며 전략적인 브랜드 사랑을 사랑의 심리학적 측면에서 계량적으로 접근함으로써 소비자-브랜드 관계의 새로운 방향을 찾고자 하였다. 소비자-브랜드 관계에서 브랜드 사랑은 어떠한 의미인가? 브랜드 사랑은 소비자-브랜드의 감성적 관계에서 가장 근본적인 것이다. 소비자들은 브랜드 소유를 통해 그들의 삶에 의미를 더하며 자신을 표현함으로써 브랜드를 사랑한다. 사랑이야말로 소비자-브랜드 관계를 가장 대인관계 차원에서 이해하는 척도이며, 감정 이입적 파트너십에서 가장 핵심적인 요소라고 할 수 있다. 소비자의 브랜드 사랑은 브랜드 이미지, 신뢰를 좌우할 뿐만 아니라, 브랜드 충성도를 통해 시장에서의 경쟁우위까지 영향을 미친다. 또한 브랜드의 위기 시,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매개체로서, 오히려 관계의 전환점으로 작용하여 소비자의 브랜드 사랑 강도를 더욱 상승시키기도 한다. 이러한 시대적, 이론적 배경에서 본 연구는 소비자-브랜드의 감성적 관계로서의 사랑에 대한 심리학적 접근을 하였다. 사랑 이론과 분류 가운데 대표적인 Sternberg의 삼각이론을 중심으로 브랜드 사랑의 유형을 발견하였다. 이동통신서비스와 단말기 브랜드를 대상으로 서베이를 통해 552개의 설문지를 회수하고 요인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에서 발견된 브랜드 사랑 유형은 Sternberg의 사랑 유형과 매우 유사한 형태로 나타났으며, 제품 유형에 따라 브랜드 사랑 유형이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브랜드 커뮤니케이션에서 브랜드 사랑이라는 개념은 중요한 전략적 아이디어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한국 성인의 음주, 흡연, 운동 및 영양행태에 대한 군집별 특성 및 관련요인 (Classification of Clusters, Characteristics and Related Factors according to Drinking, Smoking, Exercising and Nutrition among Korean Adults)

  • 김꽃별;은상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5호
    • /
    • pp.252-266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성인의 건강행태군집 유형을 확인하고 이와 관련된 요인들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4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차분석 하였다. 음주, 흡연, 운동 및 영양 변수를 이용하여 19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군집분석하였고, 이 유형들과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건강상태의 연관성을 확인하기 위해 SPSS WIN 22 복합표본 설계 모듈을 이용하여 카이제곱 검정과 다항로지스틱 분석을 실시하였다. 한국 성인의 건강행태군집 유형은 흡연군, 식습관군, 건강 관심군, 수동적 태도군 그리고 음주군의 총 6개 유형으로 분류되었고 수동적 태도군의 빈도가 26.0%로 가장 높았다. 건강행태 군집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분류된 군집과 건강행태변수를 이용해 판별분석한 결과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행태 군집은 성, 연령, 교육 수준, 직업, 소득 수준, 결혼 상태 및 지역 규모등 인구 사회학적 특성별로 분포가 달랐으며, 고혈압 및 당뇨와 같은 일부 만성질환의 유무별로도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사회학적 특성, 지역, 고혈압 및 당뇨는 수동적 태도군 보다는 나머지 건강행태군집에 속하는 것과 유의한 연관을 보이는 변수였다. 본 연구 결과는 건강행태를 개별적으로 접근하기 보다는 군집으로 접근하는 것의 유용성에 대한 근거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유형학적 접근에 의한 디지털 주도 공간디자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f Digital Driven Space Design with a Typological Approach)

  • 황용섭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3권4호
    • /
    • pp.188-195
    • /
    • 2004
  • The evolutions of human mental capability and technology opened a new era called "Digital Space." Moreover, Digital Space as technology is already accelerating the process of "self-expansion." The expansion, on the foundation of its conceptual and morphological variety, acquired the potential to furnish various types of spatiotemporal experience. This phenomenon, as a necessary consequence of focusing on the resulting value of the human-space relation which came next to its ontological value, requests the value of the space design as an attempt of various phenomenal experience in the relation of technology, human, and space to be educationally established. From a typological point of view, no true creation exists in any form of design. It is practically impossible to design in the void without any restrictions, and all design is based on preceding examples. This is because production of artificial is based on the universal principles or structure residing in history, namely, typology. Considering Digital Space from technological and cultural standpoints, it can obviously be called a new type of space, and beyond that, it becomes a new type of a methodological tool of design.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ystematize the paradigm of the space design in the digital era by studying the concept of space in Digital Space from the standpoints of history and context, that is typology, and in accordance with it, classify the phases of the space design that is led digitally.at is led digitally.

애착의 평가 (THE MEASUREMENT OF ATTACHMENT)

  • 이경숙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5권1호
    • /
    • pp.28-39
    • /
    • 2004
  • 본 글에서는 애착유형과 정도를 측정하는 심리학적 평가도구들에 대해 발달연령적 접근으로 살펴보았으며 각 도구들의 신뢰성, 타당성과 관련된 연구들을 고찰하였다. 영유아기의 애착평가도구로는 낯선상황절차(SSP), 애착Q-Set(AQS)을, 유아/아동기 도구로는 $3{\sim}4$세 유아용 애착평가도구인 Cassidy-Marvin의 애착유형체계, Crittenden의 PAA, Main과 Cassidy의 애착유형평가와 인형놀이기법을 이용한 MSSB와 애착유형별 가족그림분석을 소개하였다. 아동/청소년기 도구로는 부모와 또래와의 애착을 재는 자기보고식 질문지인 IPPA를, 청소년기/성인기 도구로는 성인애착면접(AAI)과 성인들간의 낭만적 애착을 재는 ASQ를 소개하였다.

  • PDF

수생태계 연결성 회복을 위한 하천관리방안 (A Study on River Management for the Restoration of Aquatic Ecosystem Connectivity)

  • 박종윤;이지완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3년도 학술발표회
    • /
    • pp.492-492
    • /
    • 2023
  • 담수 생물종 시식역의 보전을 위해 하천 연결성 유지와 회복이 중요하지만, 하천관리에 있어 이를 고려하기 위한 기초자료나 관련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특히 인공장벽(artificial barrier) 영향에 대한 대부분의 연구는 어류이동에 초점을 두고 있거나, 그 공간적 범위를 제한하는 경향이 있다. 본 연구는 강과 하천을 연속체 개념으로 접근하여 생태학적 과정을 방해할 수 있는 모든 인위적 구조물을 인공장벽으로 간주하고, 댐과 저수지, 보와 같이 하천의 종적 연결성을 저해하는 3개 유형의 인공 구조물에 대해 공간자료를 구축하였다. 수치지형도로부터 하천중심선과 수리시설물(보), 호소 및 저수지 경계를 교차(intersection) 분석하여 유형별 구조물의 위치 정보를 추출하고, 기존 자료와의 비교·검증을 통해 자료의 신뢰성을 도모하였다. 인공장벽에 대한 공간자료는 구조물의 유형에 따라 국가하천과 지방하천, 소하천으로 구분하고 낙동강 대권역 내 총 195개 표준유역에 대해 밀도(barrier density)를 계산하였는데, 여기서의 밀도는 하천 연장에 대한 총 인공장벽의 수로 정의(barriers/km)된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낙동강 유역 내 인공 장벽의 밀도와 유형, 하천별 공간분포에 대한 정량적 평가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수생태계 연결성 회복을 위한 하천관리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분석 방법과 결과 등 자세한 내용은 발표를 통해 제시될 예정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