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유형자산

검색결과 254건 처리시간 0.027초

건설기업 지식경영의 지적자산 측정 (Intellectual Asset Measurement of Construction Corporation's Knowledge Management)

  • 손영찬;백종건;김재준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3권3호
    • /
    • pp.94-102
    • /
    • 2002
  • "측정할 수 없는 것은 관리할 수 없다"는 말은 성과측정 시스템의 중요성을 잘 나타내 주는 말이다. 또한 이처럼 어려움을 나타내는 표현도 없다. 기업의 유형자산은 재무제표나 손익계산서 등의 구체적인 금액으로 측정이 가능하나 기업의 무형자산에 대한 가치측정은 많은 방법들이 도입되어 왔지만 어느 하나도 객관적인 틀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LG경제연구원에서 제시한 지식자산 축적모형(XYZ모형)을 통하여 건설기업의 무형자산(지적자산)의 크기를 객관적으로 정량화 시키었다. 이를 통하여 현 건설기업의 내재가치 수준을 추정할 수 있다.

건설기업 지적자산 측정모델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Intellectual Assets Measurement Model of Construction Corporation)

  • 손영찬;백종건;김재준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2년도 학술대회지
    • /
    • pp.257-260
    • /
    • 2002
  • 기업경영에 있어서 성과측정 시스템은 매우 중요하다. 측정이 있어야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할 수 있기 때문이다. 기업의 유형자산은 재무제표나 손익계산서 등의 구체적인 금액으로 측정이 가능하나 기업의 무형자산은 지금까지 객관적이고 정량적인 측정방법을 볼 수 없었다. 이에 본 연구는 기업의 지적자산을 측정하는 모델을 통하여 건설기업의 무형자산(지적자산)의 크기를 객관적으로 정량화 시킬 수 있는 모델을 제시하고, 측정방법의 발전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비정상적 위험에 대비한 자산운용방안

  • 채준;김누리;이은정
    • 사학연금연구
    • /
    • 제1권
    • /
    • pp.157-185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비정상적 사건을 정의하고 이에 따른 비정상적 위험의 구체적인 유형을 파악하며, 이와 관련된 사학연금의 위험관리 체계에 대한 검토와 함께 비정상적 위험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자산운용방안을 제시하였다. 우선 비정상적 사건을 '과거 자료를 이용한 발생확률의 추정이나 발생여부에 대한 예측이 불가능하며 따라서 이의 발생 가능성을 사전에 고려하고 대비하는 사전적인 대처가 어려운 사건으로서 자산운용과 위험관리에 무시할 수 없는 영향을 미치는 사건'으로 정의하였으며, 이의 구체적인 형태로서 금융위기를 포함하는 9가지 사건 유형을 파악하였다. 동비정상적 사건들은 포트폴리오 투자를 통한 자산운용에서 개별자산군의 기대수익률과 위험 및 자산군 사이의 상관관계에 영향을 미쳐, 기존의 자산배분안의 최적성을 상실시키고 위험수준의 측정치인 VaR값을 과소 또는 과대추정하게 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비정상적 사건의 해외 사례에 대한 분석에서는 비정상적 사건의 영향이 개별 사건마다 다양한 양태로 발현되는 것이 관측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사학연금의 현행 자산배분 체계가 이와 같은 비정상적 사건의 영향에 적절하게 대응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진단하였으며, 비정상적 사건에 적절히 대응하기 위한 자산관리방안의 일환으로서 일별 수익률 자료를 사용한 비정상적 사건의 영향 평가방안을 제시하였다. 한편, 사학연금의 현행 위험관리 체계는 비정상적 사건의 발생에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산업제어시스템 자산 유형별 보안성 평가 연구 (A study on security evaluation by type of ICS Asset)

  • 김은지;김혜진;박민지;박태영;이지은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1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1036-1039
    • /
    • 2021
  • 산업제어시스템에 침해사고가 발생하여 서비스 제공이 중단될 경우 사회에 큰 혼란을 야기할 수 있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내부 자산의 보안 수준을 관리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위 논문은 산업제어시스템 내부 자산의 보안성 확립을 위한 산업제어시스템 자산 유형별 보안성 평가 프로그램을 제안한다. 동일 자산 그룹에 따라 보안조치를 선별적으로 적용하고 신규 취약점을 지속적으로 파악하는 프로세스를 프로그램에 적용하여 제어시스템 보안 수준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사내 프로그램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한다.

가변성을 고려한 핵심 자산의 결정 모델 기술 및 지원도구 (Decision Model Specification of Core Assets with Variability and its Tool)

  • 윤석진;이승연;신규상;양영종;박창순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4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31 No.2 (2)
    • /
    • pp.466-468
    • /
    • 2004
  • 개발한 자산의 재사용성을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프로덕트 라인에서 가장 중요한 제품간의 공통성과 가변성을 식별하고 이를 표현하는 기술이 잘 정의되어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다양한 제품의 요구사항을 만족시켜 줄 수 있도록 자산을 모델링 할 때 가변성을 제공하는 부분을 명세화하고 이를 독립적인 모델로 관리함으로써 자산의 재사용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이 필요하다. 본 논문은 핵심 자산 개발시 정의하는 결정 모델의 유형을 정의하고 결정요소들 간의 관계를 추적할 수 있는 지원 도구의 프로토타입을 제안한다

  • PDF

커뮤니티 자산 평가 체계 개발을 위한 커뮤니티 자산 유형 및 구성요소 분석 (An Analysis of Community Asset Types and Components for a Development of Community Asset Evaluation System)

  • 임순정;이효원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7권3호
    • /
    • pp.47-58
    • /
    • 2016
  • The new paradigm of urban regeneration, would promote the comprehensive communal view. Therefore, the community role has become an important and necessary for regeneration of communities. It is necessary for urban regeneration which should be matched with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to develop an evaluation framework that can objectively and accurately diagnose the status of community; so it can be an integrated prescription. A new alternative, asset-based approach may be an alternative to build the community based on opportunities and strengths, which focuses on community inside and things that community have. In this study, a community asset is defined as the tangible and intangible components in the community. A community asset evaluation system is developed through the content analysis related to previous studies of several researchers who investigated the asset-based approaches. Community assets are classified into seven types: human, social, cultural, natural, physical, economic, and political property. Each type is classified into components and establish as a framework with 3 levels in order to set the indicators which can be measured concretely.

대형항공사와 저비용항공사의 브랜드 자산 평가와 유형화 (Evaluating and Categorizing Brand Assets of Full-Service Carriers and Low-Cost Carriers)

  • 정승화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8호
    • /
    • pp.442-454
    • /
    • 2021
  • COVID-19 대유행으로 급속히 침체하였던 국내외 항공업계는 바이러스 백신 접종을 시작으로 조심스럽게 경영 정상화를 준비하고 있으며, 국내 및 근거리 해외 시장을 공유하고 있는 대형항공사와 저비용항공사 간의 경쟁 역시 다시 치열해질 것으로 예상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지금까지 국가, 도시, 일부 기업을 대상으로 이루어지던 브랜드 자산에 관한 연구를 국내 항공사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대상의 인식, 가치, 태도, 신념과 같은 개념을 연구하기 위해 양적·질적 연구 방법의 한계를 보완하고자 제안된 Q 방법론을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 항공사 브랜드 이용자들은 실속 추구형, 가치 지향형, 업무 관련형의 총 3가지 유형이 도출되었고, Q 표본으로부터 25개 진술문을 확보하고 20명으로 구성된 P 표본의 주관성을 관찰하여 유형별 특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대형항공사와 저비용항공사의 브랜드 자산 유형을 탐색하고, 소비자의 인식을 비교함으로써 항공사 브랜드 자산의 효율적 관리에 전략적 방향을 제시하고, 후속 연구를 위한 가설을 제공한다는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

창조적 장소자산으로서 예술자산의 유형과 사례 연구 (Case Study of Art Asset and Its Categories as Creative Place Asset)

  • 정수희;이병민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28-44
    • /
    • 2014
  • 글로컬라이제이션의 시대가 도래함에 따라, 세계는 각각의 지역이 가진 고유의 매력을 발굴하여 지역의 경쟁력을 강화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본 연구는 창조적 지역재생의 관점에서 장소마케팅과 장소자산이 어떠한 특징을 갖는가 하는 고민에서 시작되었다. 특히 장소자산의 구성요소로서 '예술'을 독립된 콘텐츠로 인식하고, 새로운 지역재생과 지역경제 활성화의 수단으로서 어떻게 도입되고 사용되는지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장소자산에 대한 기존 연구에 대한 검토를 바탕으로 예술자산의 개념을 새롭게 정리하였으며, 유형별로 분류하고 각각의 사례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지역재생의 창조적 장소자산으로서 예술자산의 가능성과 활용가치를 검토하고자 한다.

  • PDF

멀티플랫폼 환경에서 지상파TV 채널브랜드자산의 효과: 지상파TV 콘텐츠 선택과 이용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Effect of the Terrestrial TV's Channel Brand Equity in the Multi-Platforms Environment: Focusing on the Choice and Use of the Terrestrial TV Contents)

  • 오미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6호
    • /
    • pp.279-292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멀티플랫폼 환경에서 지상파TV의 채널브랜드자산이 시청자들의 지상파 콘텐츠 선택과 이용에 미치는 영향을 점검하였다. 연구결과, 지상파TV 채널브랜드자산이 멀티플랫폼 상 지상파TV 콘텐츠 이용 정도에 미치는 영향은 SBS인지도만이 지상파TV 콘텐츠 이용 정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상파TV 채널브랜드자산이 지상파 콘텐츠 시청 매체의 다양성에 미치는 영향은 어떤 채널에서도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상파 콘텐츠 시청 플랫폼 유형별 이용에 미치는 영향은 지상파TV 채널별로 플랫폼 유형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지상파TV 채널브랜드자산이 지상파 콘텐츠 이용 장르의 다양성에 미치는 영향은 KBS인지도와 SBS인지도만이 지상파TV 콘텐츠 이용 장르의 다양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지상파 채널브랜드자산이 지상파TV 콘텐츠 장르 유형별 이용에 미치는 영향은 각 채널별로 특정 장르유형을 중심으로 다르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채널브랜드자산이 멀티플랫폼 상에서 시청자들의 지상파TV 콘텐츠 선택 및 이용에 부분적이나마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제시해주며, 이는 경쟁적인 매체환경에서 방송채널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의미있는 시사점을 제공해 준다.

재구성 가능한 자산 아키텍처의 사용성 평가 (Usability Evaluation of Reconfigurable Asset Architecture)

  • 최한용
    • 산업융합연구
    • /
    • 제20권5호
    • /
    • pp.77-82
    • /
    • 2022
  • 소프트웨어 자산을 평가하기 위해 정형화되지 않은 평가 방법으로 자산의 평가가 이루어져왔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소프트웨어 자산에 대한 복잡도의 측정으로부터 확보된 최적화된 자산의 사용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자산의 내부정보에 대한 논리적 복잡도를 측정하여 아키텍처의 복잡성에 대한 척도를 이용하였으며, 재사용성에 관여된 지표를 측정하여 소프트웨어 자산의 사용성과 어떠한 관계를 갖는지 평가하였다. 따라서 HVs는 두 가지 유형의 자산에 대하여 다양한 자산의 구성 방식에 따라 일정한 비율을 유지하며 적용되는 특성을 갖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자산의 사용성면에서 최적화된 자산은 가능한 다양성을 확보한 상태에서 아키텍처 설계과정에 정형성을 갖고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