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유한요소모형

Search Result 595,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Galerkin Finite Element Model Based on Extended Mild-Slope Equation (확장형 완경사방정식에 기초한 Galerkin 유한요소 모형)

  • 정원무;이길성;박우선;채장원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10 no.4
    • /
    • pp.174-186
    • /
    • 1998
  • A Galerkin's finite element model incorporating infinite elements for modeling of radiation condition at infinity has been developed, which is based on an extended mild-slope equation. To illustrate the validity and applicability of the present model, the example analyses were carried out for a resonance problem in the rectangular harbor of Ippen and Goda (1963) and for wave transformations over circular shoals of Sharp (1968) and Chandrasekera and Cheung (1997). Comparisons with the results obtained by hydraulic experiments and hybrid element method showed that the present model gives very good results in spite of the rapidly varying topography. Numerical experiments were also performed for wave transformations over a circular concave well which may be an alternative to conventional wave barriers.

  • PDF

Analysis of Flow Characteristic and Suspended Soild Transport at Nakdong River using RAMS and SMS Models (RAMS 및 SMS 모형을 이용한 낙동강 본류 구간의 흐름분석 및 부유사 거동 모의)

  • Seo, Il-Won;Kim, Sung-Eun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2a
    • /
    • pp.97.2-97.2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남구미대교, 왜관낙동강대교가 통과하는 낙동강 본류의 구미, 칠곡구간 9.23km에 대하여 설계홍수량과 평수량에 대한 흐름분석과 공사시 발생가능한 부유사 농도를 산정하여 부유사의 거동에 대해 2차원 유한요소모형인 RAMS와 SMS 모형을 이용하여 모의하였다. 흐름모의를 실시한 결과, RAMS 및 SMS 모형에 의해 산정된 수위 및 유속 결과가 기본계획보고서에서 제시된 수위 및 유속과 유사하게 산정되고 있었으며, 교량 주변의 흐름분포도 RAMS 및 SMS모형의 결과가 유사하게 모의 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공사강도에 따른 발생가능한 부유사 농도를 산정하고 공사가 이루어질 위치 2지점을 가정하여 각각 RAMS 및 SMS모형을 이용하여 부유사 거동을 모의하였다. RAMS 및 SMS 모형에 의한 모의결과, 두 모형 모두 각 지점 하류 100m 부근의 부유사농도가 30~40, 15~20ppm의 범위로 부유사 농도를 보이고 있었다.

  • PDF

Generation Method of the Rectangular Grid Information for Finite Difference Model (유한차분모형을 위한 직사각형 격자정보 생성기법)

  • 정신택;조범준;김정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15 no.3
    • /
    • pp.190-195
    • /
    • 2003
  • For many coastal problems, such as wave transformation, tidal circulation, sediment transports and diffusion phenomena, we resort to numerical techniques. The representative numerical techniques are the method of finite differences and finite elements. The approximate algebraic equations, referred to as finite difference equations(FDEs), are subsequently solved at discrete grid points within the domain of interests. Therefore, a set of grid points within the domain, as well as the boundaries of the domain, must be specified. The generation of grids for FDEs, with uniform spacing, is very simple compared to that of finite elements. However, within a very complex domain, there are few grid generation tools we can use conveniently. Unfortunately, most of the commercial grid generation programs are developed only for finite element method. In this paper, grid generation method using digitizer, with uniform rectangular spacing, are introduced in detail. Didger and Surfer programs by Golden Software are necessary to produce comparatively accurate and simple depth data.

Analysis of 1-D Dispersion Property of ADCIRC Finite Element Model for the Simulation of Tsunami Propagation (지진해일 전파 수치모의를 위한 ADCIRC 유한요소모형의 일차원 분산특성 분석)

  • 윤성범;임채호;윤기승;최병호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15 no.2
    • /
    • pp.108-115
    • /
    • 2003
  • Two types of one-dimensional dispersion-correction scheme are developed to take into account the dispersion effects for the simulation of tsunami propagation using ADCIRC finite element model based on shallow-water equations The first is an implicit scheme, and the dispersion-correction is accomplished by controlling the weighting factor assigned to each spatial derivative term of different time levels. The other scheme is explicit and the dispersion is considered by adjusting the element size. The validity of the dispersion-correction scheme proposed in this study is confirmed through the comparison of numerical solutions calculated using the new schemes with analytical ones considering dispersion effect of waves.

Development of FEM Algorithm for Modeling Bed Elevation Change (하상변동 수치모의를 위한 유한요소법 알고리즘 개발)

  • Kim, Tae-Beom;Choi, Sung-Uk;Min, Kyung-Duc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588-593
    • /
    • 2006
  • 자연하천은 일반적으로 만곡수로나 사행수로 형태를 보이고 있으며, 직선수로에서와 달리 원심력에 기인한 이차류 영향을 받게 된다. 이차류에 의해서 수면에서는 만곡부 바깥쪽으로, 하상에서는 만곡부 안쪽으로의 흐름특성을 보이게 된다. 만곡부 안쪽으로 가해지는 하상 전단응력에 기인하여 하상에서의 입자가 만곡부 안쪽으로 이송되며, 결과적으로 만곡부 안쪽에는 점사주가, 바깥쪽에는 소(pool)가 생성된다. 또한 지형경사의 생성으로 입자에 가해지는 중력효과도 변화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자연하천의 흐름과 하상변동을 수치모의 하기 위해서는 만곡부 이차류 특성을 고려한 모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수심 적분된 흐름방정식과 하상토 보존방정식 (Exner equation)을 이용한 하상변동을 위한 비연계 수치모형을 위해서 하상토 보존방정식의 유한요소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하상토 보존방정식은 흐름 특성에 따른 평형 유사량의 공간변화율을 이용하여 일정 기간 동안의 하상 변화량을 계산한다. 이 때 이차류에 의한 하상 전단응력의 편각 및 지형경사 변화에 따른 실제 입자의 이송방향을 보정하여 평형 유사량이 계산된다. 이러한 보정식을 적용시키기 위해서는 유속성분의 공간변화량 및 지형경사의 공간성분이 필요하다. 유한요소법은 연속성 변수를 이산화시켜 근사해를 구하는 수치기법의 일종이기 때문에, 요소망이 불규칙적으로 구성되었을 경우 임의의 절점에서 연속성을 지닌 변수의 공간변화율을 계산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평형 유사량 계산 시에 절점이 아닌 요소 내부에서 평형 유사량을 계산하는, 하상토 보존방정식의 새로운 유한요소 알고리즘을 개발하고, 새로운 알고리즘을 적용시킨 수치모형의 검증을 행하였다. 경계조건 알고리즘의 검증으로 위해서 Soni 등 (1980)이 행한 상류 유입 유사량에 따른 하상변동을 수치 모의하고 실험치와 비교하였으며, Sutmuller와 Glerum (1980)이 수행한 만곡수로에서의 하상변동을 모의하고 실험과 비교하였다. 새로운 알고리즘을 적용시킨 하상토 보존방정식의 유한요소 수치모형의 결과는 매우 안정적이며, 실험과 매우 유사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본 수치모델은 현재 균일한 입자의 하상토만을 고려하므로, 입자분급이나 하상 장갑화 현상 등은 무시한다.

  • PDF

Free Field Response Analysis Using Dynamic Fundamental Solution (다층반무한 기본해를 이용한 자유장응답해석)

  • 김문겸;임윤묵;김민규;이종우
    • Journal of the Earthquake Engineering Society of Korea
    • /
    • v.5 no.2
    • /
    • pp.83-91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2차원 평면상에서 자유장응답 해석을 위하여 유한요소-경계요소 조합에 의한 수치해석기법을 개발하였다. 전체 계를 외부영역과 내부영역으로 구분하였다. 외부영역은 동적 다층반무한 기본해를 이용한 경계요소로 모형화되고 내부영역은 유한요소로 모형화하여 조합하였다. 다층지반의 외부에서 입사하는 지진에 의한 지진응답해석을 수행하기 위하여 동적기본해를 이용한 자유장응답해석을 수행하였다. 지진응답해석에서는 지반의 전단병형률에 따라 변화하는 비선형특성을 모형화하기 위해 등가선형화기법을 적용하였다. 지진응답해석의 검증에 의하여 해석결과를 상용프로그램의 결과와 비교하였다. 결과적으로 지진응답해석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수치해석기법을 개발하였고 구조물이 있는 경우로의 확장돠 가능하게 되었다.

  • PDF

Finite Element Method for Evaluation of Wave Forces (파랑하중의 산정을 위한 유한요소법)

  • 박우선
    •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 /
    • v.3 no.2
    • /
    • pp.9-12
    • /
    • 1990
  • 유한요소법은 구조물의 변위 또는 응력 등을 해석하기 위한 구조해석 분야에서 뿐만 아니라, 유체역학, 열역학 및 전자기학 등 각종 공학문제의 수학적 모형에 대하여 구해진 미분방정식을 푸는 기법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컴퓨터 기술의 급속한 발달로 인한 유한요소법의 적용범위는 더욱 확장되고 있다. 본 고는 유한요소법이 타 공학문제, 특히 유체에 관련된 문제에서 어떻게 이용되고 있는가를 소개하려 한다. 구체적으로, 해양구조물의 설계에 있어서 선결되어야 할 주요사항인 파랑하중 산정문제를 예로 들어, 유한요소법을 이용한 이의 수식화과정을 간략히 설명하였다.

  • PDF

Analysis of Non-conservative Pollutant Transport Using 2-D Stream Water Quality Model (2차원 하천수질모형을 이용한 비보존성 오염물질의 혼합거동 해석)

  • Seo, Il-Won;Song, Chang-Geun;Lee, Myung-E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1741-1745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하천에 유입되는 오염물질 중 대부분을 차지하는 비보존성 오염물질의 확산거동을 예측하기 위해 2차원 수심평균된 이송분산방정식에 유한요소모형을 적용하였다. 수치모형 구성을 위해 Galerkin법을 이용한 가중잔차법을 사용하였으며, 복잡한 하천경계를 보다 정확히 재현할 수 있도록 삼각 및 사각요소망의 혼용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모의대상 수질인자는 BOD, DO, 질소화합물, 인화합물, 수온, pH 및 대장균군수이며, 이 가운데 BOD와 DO는 상호 쌍을 이루는 방정식을 풀어야 하는 특수한 형태이므로 별도로 취급하였다. 순간주입 및 연속주입에 의한 비보존성 오염물질의 확산거동을 모의하였으며, 시간에 따른 민감도를 분석하기 위해 보존성 오염물질의 확산거동과 비교하였다. 해석해를 이용해 순간주입된 오염물질의 오염운을 구하는 식을 유도하고 해석해와 본 연구에서 개발한 수치모형에 의한 수치해를 비교하였다.

  • PDF

Modelling of Shear Localisation in Geomaterials

  • Lee, Jun-Seok;Pan
    • Geotechnical Engineering
    • /
    • v.13 no.3
    • /
    • pp.21-32
    • /
    • 1997
  • In this paper, an enhanced finite element model based on homogenisation technique is proposed to capture the localized failure mode of the intact rock masses. For this, bifurcation analysis at the element level is performed and, once the bifurcation is detected, equivalent material properties of the shear band and neighbouring intact rock are used to trace the post -peak behaviour of the material. It is demonstrated that mesh sensitivity of the strain softening model is overcome and progressive failure mode of rock specimen can be simulated relaistically. Furthermore, the numerical results show that the crack propagation and final failure mode can be captured with relatively coarse meshes and compares well with the experimental data available.

  • PDF